
■ 오늘은 테너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소프라노의 종류(소프라나, 소프라노의 음역, 음색, 분류, 콜로라투라, 리리코, 드라마티코 소
◆ 오늘은 성악에서 가장 높은 음역대를 부를 수 있는 여성 가수를 일컫는 '소프라노(soprano)'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먼저 '소프라노'라는 명칭에 대해서 다루어 보도록 하겠다. * 미리 말
narrare3.tistory.com
1. 테너(tenor)와 소프라니스트(Sopranist)
잘 아시다시피 테너는 - '클래식(또는 고전음악)' - 성악(聲樂, 사람의 목소리로 나타내는 음악의 총칭. '악기'로 나타내는 음악의 총칭은 '기악'이다)에서 남성 가수의 가장 높은 음역을 지칭하며, '남성 가수의 높은 음자리표'라고 할 수 있다(참조 : [위키백과], 테너).
더 자세하게는 테너보다 높은 음역대를 노래할 수 있는 소프라니스트(Sopranist)가 있는데, 소프라니스트(Sopranist, 남성 소프라노)는 20세기에 만들어진 신조어로, 변성기가 지난 상태에서 가성을 사용해 여성의 음역대를 노래할 수 있는 가수를 일컫는다.
즉, 요즘 관심이 부쩍 높아진 카운터테너(Countertenor)도 여기에 속하며(서양 중세에 등장한 거세가수인 카스트라토와는 다르다), 카운터테너도 음역에 따라 여성 성부처럼 알투스(Alto), 메쪼(Mezzo), 소프라노(Sopranist)로 분류하기도 한다(다시 말해 '소프라니스트'는 여성의 음역대를 노래할 수 있는 남성 가수의 총칭이자, 카운터테너의 음역대를 의미하기도 한다).
✅ 아래는 카운터테너와 카스트라토에 대한 참조 글이다.
✔카운터 테너와 카스트라토(파리넬리, 알토, 콘트랄토, 안드레아스 숄, 프랑코 파지올리, 필립
1. 카스트라토(castrato) 변성기가 되기 전에 거세를 해서, 성인이 된 후에도 여성의 음역대를 낼 수 있도록 한 '남성 소프라노'를 일컫는 말이다(보이소프라노와는 다르다). 이탈리아의 카스트라토
narrare3.tistory.com
✔콘트랄토(Contralto 뜻, 알토, 남성, 여성 콘트랄토, 음역대, 메조 소프라노, 카운터테너, 마리안
◆ 글쓴이는 클래식을 전공하였거나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이 아닌, 클래식을 좋아하는 일반인입니다. 따라서 본 글은 전문적이지 않을 수도, 또한 완벽한 정확성을 지니지 못할 수도 있음
narrare3.tistory.com
2. 테너의 종류
앞에서 말씀드린 남성 소프라노들은 얼마나 더 높게, 여성의 음역대를 구사하는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면, 대부분 진성으로 노래하는 테너에 있어서는 음역대 보다는 어떤 음색(Tone Color)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구분될 수 있겠다.
우리가 사람들의 목소리를 구분할 수 있는 것은, 그들의 음색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물론 매우 비슷하여 프로그램이나 기계의 힘을 빌려야 될 때도 있지만).
즉, 같은 노래를 부르더라도 부르는 사람이 다르면 듣는 사람으로 하여금 서로 다른 느낌을 받게 할 수 있다는 뜻이다.
참고로 테너의 음역대는 대략 1옥타브 도(C3)에서 2옥타브 라(A4)(합창) / 3옥타브 도(C5)(독창)(출처 : [나무위키])라고 한다.
'3옥타브 도(C5)'에 대해 당최 감이 안오시는 분들은 아래의 영상을 참조하시라. '3옥타브 도(C5)'는 '테너의 최고음'이라고 한다. 개인차가 있겠지만 실제의 육성을 들어보면 살벌(?)하다.
(1) 레제로 테너(테노레 레제로, tenore reggiero) :
테노레 레제로, 또는 레제로 테너는 테너 중 가장 가볍고 날렵한 음색을 지녔다. 독일 오페라의 전통으로는 희극적 성격을 연기하는 테너가 주로 맡으며, 때때로 리릭(리리코, lirico)테너의 레퍼토리를 부르기도 한다.
저음과 고음의 전환이 빠를 뿐더러, 기교가 매우 뛰어나다는 장점을 지닌다.
오페라의 배역으로 말하자면 《세빌리야의 이발사》의 알마비바 백작, 《후궁 탈출》의 페드릴로, 《마술피리》의 모노스타토스가 전형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최근 다시 시작한 남성 4중창단 경연 대회에 등장한 테너 서영택의 음색도 레제로 테너에 속한다.
✔테너 서영택, 나 하나 꽃 피어(Non, je ne regrette rien, 아니, 난 아무것도 후회하지 않아, 가곡, 조
먼저 나는 성악에 대해서는 잘 모르는 일반인이며, 중학교 때인가, 일테면 《산타루치아(Santa Lucia)》 같은 나폴리 민요를, 그것도 원어가 아닌 한글 가사로 배운 적이 있을 뿐인 한 사람임을 밝
narrare3.tistory.com
(2) 리릭(리리코) 테너(테노레 리리코, tenore lirico) :
테노레 리리코, 또는 리릭 테너는 레제로 테너보다 좀 더 힘이 있으면서도 서정성을 띤다는 특성을 지닌다. 따라서 오페라 배역에서 주로 사랑에 빠진 순수한 젊은이의 역할을 맡는다.
앞에서도 말했지만, 레제로와 리리코를 넘나드는 가수들이 많으며(밝고, 따뜻하며, 기교가 넘친다는 느낌을 주는 등 많은 부분에서 레제로와 리리코는 비슷하다),
오페라의 배역으로 말하자면 《라보엠》의 로돌포, 《청교도》의 아르투로, 《람메르 무어의 루치아》의 에드가르도 등이 리릭 테너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다.
✔[5월 관련 클래식 음악] 슈만, 아름다운 5월에, 시인의 사랑, 멘델스존 무언가, 5월의 산들바람,
■ 글쓴이는 클래식 음악을 전공하였거나관련 분야에서 일하는 사람이 아닌,클래식 음악을 좋아하는 일반인입니다.음악에 대한 감상은 전적으로 개인적인 것임을 밝힙니다. 흔히 '계
narrare3.tistory.com
(3) 스핀토 테너(테노레 스핀토, tenore spinto) :
테노레 스핀토, 또는 스핀토 테너는 리릭(리리코)과 드라마틱(드라마티코, Dramatico)테너의 중간 정도로 분류되며, 약간의 금속성, 울림이 있으며, 고음을 잘 유지할 수 있는 힘이 요구된다.
다시 말해 리릭보다 밀어붙이는 힘이 조금 더 넘치고 묵직한 음색을 지닌다(스핀토는 '찌르다'는 의미를 갖고 있으며 '가벼운 드라마틱 테너'로 지칭되기도 한다).
오페라의 배역으로 설명하자면 《카르멘》의 돈 호세, 《팔리아치》의 카니오, 《마탄의 사수》의 막스 등이 스핀토의 전형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4) 드라마틱 테너(테노레 드라마티코, tenore dramatico) :
테노레 드라마티코, 또는 드라마틱 테너는 오케스트라의 음향을 뚫고 나갈 정도의 파워와 더불어 가장 묵직한 음색을 지녔다. '드라마틱'이라는 단어에서도 알 수 있듯이, 성량과 감정 표현에 있어서 가장 강렬하고 풍부하며 압도적이라는 특징을 갖는다('영웅 테너'라는 별칭도 있다).
오페라의 배역으로 보자면 《아이다》의 라다메스, 《오셀로》의 오셀로, 《토스카》의 카바라도시 등이 이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특히 《트리스탄과 이졸데》, 《지그프리트》 등을 작곡한 바그너(Richard Wagner, Wilhelm Richard Wagne)의 작품 등에서 드라마틱 테너가 대부분 활약한다).
■ 이상으로, 남성 성부 중 가장 높은 음역대를 지닌 '테너(tenor)'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았다.
✔봄 관련 클래식(가곡, 슈베르트, 봄의 찬가, 봄의 믿음, 가곡의 왕, 루트비히 울란트, 서정 시인
◆ 유난히 추웠던 지난 겨울 때문에라도 이제 봄을 기다리는 마음은 더욱 간절하다. 한 풀 꺾인 바람과 온기가 감도는 공기, 모든 것이 깨어나는 봄의 한가운데를 걷는 꿈을 꾸며, 봄 관련 클래
narrare3.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