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야기가 있는 정원, 궁금한 심리학 용어

✔궁금한 심리학 용어, 공정한 세상 가설(just-world-hypothesis, 멜빈 러너, 노력하면 성공한다, 인과응보, 권선징악, 인지적 편향, 오류, 피해자 비난, Victim blaming)

by 이야기가 있는 정원 2023. 5. 2.
728x90
반응형
728x170

 

 

 

 

 

 

 

◆ 저번 시간에는  어떤 집단에 속하는 구성원의 개인별 집단 공헌도(생산성)가 집단 크기가 커질수록 점점 낮아지는 경향을 가리키는 용어인 링겔만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링겔만 효과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3.03.29 - [이야기가 있는 정원, 궁금한 심리학 용어] - ✔궁금한 심리학 용어, 링겔만 효과(Ringelmann effect, 사회 심리학, 생산성, 효율성, 사회적 태만, 사회적 게으름, 규모의 불경제, 성실성, 명확한 목표, 줄다리기)

 

✔궁금한 심리학 용어, 링겔만 효과(Ringelmann effect, 사회 심리학, 생산성, 효율성, 사회적 태만, 사

◆ 저번 시간에는 실제로 일어날 가능성이 없는 일에 대해 지나치게 근심하고 걱정한 나머지, 마치 요술 램프의 지니를 불러내듯 수시로 꺼내보면서 불안해하는 증후군인 '램프 증후군(과잉 근

narrare3.tistory.com

 

 

 

 

1. 노력하면 성공한다?

 

 

아직도 기억이 생생한데, 노력하면 성공할 수 있노라고, 어릴 적 내 주변의 어른들은 나를 비롯한 아이들을 보면 늘 입버릇처럼 말했다.

 

그리고 몇몇 노력하여 성공한 위인 및 자신이 잘 아는 사람들의 일대기를 들려주며 그들을 롤모델 삼아 열심히 살아야 한다고도 했다.

 

물론 당시 어른들의 말대로 남들보다 몇 배의 노력을 기울여 자신의 운명을 바꾼 이들은 분명히 있었고, 앞으로도 있을 것이다.

 

지금 와서 생각해 보면 어른들의 이 말은 - 긍정적인 쪽으로 보았을 때 - 첫째, 열심히 노력하면, 자신의 삶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다는 믿음에 다름 아니었고, 둘째, 비록 현실은 때로 어둡고 고달프지만 세상은 그래도 공정함 또는 공평함이 여전히 통한다는 믿음에 다름 아니었다.

 

노력하면 성공할 수 있으며, 세상은 그래도 공정하게 돌아가고 있다는 이 말은 얼마나 매력적인가.

 

예를 들어 악기에 전혀 재능이 없는 사람이라고 할지라도 엄청난 시간을 들여 연습하고 노력하면 성공할 수 있고, 조직 등에서 맡은 바 업무를 성실하게 수행하기만 하면 언젠가는 꿈에 그리던 임원으로 발탁되어 고액의 연봉을 받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우리는 종종 목표나 꿈을 이루기 위한 정당한 행위는 (반드시) 보상을 받고, 부적절하거나 부정한 행위는 (반드시) 처벌을 받는다고 하는 인지적 오류에 빠져있는데, 이를 '공정한 세상 가설(just-world-hypothesis)'이라고 부른다. 

 

 

 

2. 공정한 세상 가설(just-world-hypothesis)

 

 

우리는 어릴 적부터 나쁜 짓을 하면 그에 응당한 벌을 받고, 착한 행동을 하면 그에 응당한 보상이 따른다는, 이른바 '권선징악',  '뿌린대로 거둔다', '인과응보' 등의 스토리를 주입받아왔지만, 실제로는 그에 대치되는 일들 또한 수없이 목도하거나 경험하고 있다.

 

그렇다면 거꾸로 말해서 성공한 사람은 모두 열심히 노력한 사람이고 공정하고 정의로운 사람이며, 언제나 페어플레이만 한 사람인가?

 

그리고 실패한 사람은 모두 노력하지 않았거나, 또는 공정하지 못하거나 정의롭지 못한 방법으로 살았던, 알고 보면 노력한 척만 한 사람인가?

 

즉, 성공하는데에도 그럴만한 이유가 있고, 고통을 받는데에도 다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고 우리는 너무도 쉽게 판단해버리며, 이것이 근본적인 오류를 지니고 있다고 생각하지 못한다. 

 

일테면 폭력에 노출된 사람에게 '맞을 짓을 했다'라며 손가락질을 하는 경우가 있다.

 

다시 말해, 피해자의 행동이 가해자의 행동을 촉발한 요인이 되었다는 뜻일 텐데(이런 심리의 근저에는 나는 피해자가 되고 싶지 않으며, 나는 나의 상황을 통제하고싶다는 생각이 들어있다고 한다), 이런 인지적 편향은 특히 우리가 관찰자의 입장일 때 더욱 두드러진다.

 

 

728x90

 

 

💬 정당한 세계 가설 또는 정당한 세계의 오류는 "사람들은 마땅히 받아야 할 것을 얻는다", 즉 행동이 행위자에게 도덕적으로 공정하고 적절한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가정하는 인지적 편향이다 . 

예를 들어 고귀한 행위는 결국 보상을 받고 악한 행위는 결국 벌을 받는다는 가정이 이 가설에 속한다. 다시 말해서 정의로운 세계 가설은 도덕적 균형을 회복시키는 보편적인 힘이나 행동의 본질과 그 결과 사이의 보편적인 연결에 결과를 귀속시키거나 그 결과로 결과를 기대하는 경향이다. 

이 믿음은 일반적으로 우주적 정의 , 운명 ,신성한 섭리 , 사막 , 안정성 , 질서 또는 카르마 . 그것은 종종 다양한 근본적인 오류와 관련이 있으며 , 특히 고통받는 사람들이 고통을 "받을 자격이 있다"는 근거로 고통을 합리화하는 것과 관련된다.

* 출처 : [위키 백과], 공정한 세계 가설 中

 

 

 

2024.02.05 - [직업 상담, 직업 심리] - ✔[직업 상담학] 엘리스(Eills)의 인지 정서 행동 상담 이론①(REBT, 앨버트 엘리스, 합리 정서 행동 상담 치료, 비합리적 신념 유형, 기본 원리, 직업 상담사, 역기능적 사고)

 

✔[직업 상담학] 엘리스(Eills)의 인지 정서 행동 상담 이론①(REBT, 앨버트 엘리스, 합리 정서 행동

◆ 오늘부터는 엘리스의 인지 · 정서 · 행동 상담 이론(합리 정서 행동 상담, REBT)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행동주의 상담 이론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narrare3.tistory.com

 

 

 

3. 관련 실험

 

공정한 세상 가설(just-world-hypothesis)을 처음 주장한 사람은 미국의 사회 심리학자인 멜빈 러너(Melvin J. Lerner)이다. 

 

 

 

Melvin J. Lerner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Melvin J. Lerner, Professor of Social Psychology at the University of Waterloo between 1970 and 1994 and now a visiting scholar at Florida Atlantic University, has been called "a pioneer in the psychological study of j

en.wikipedia.org

 

 

1966년에 멜빈 러너와 그의 동료들은 희생에 대한 관찰자의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일련의 실험을 시작했다. 

 

 

💬 캔자스 대학에서 수행된 첫 번째 실험에서, 72명의 여성 참가자는 학습 과제(무의미한 음절 쌍 학습) 동안 그녀의 오류로 인해 전기 충격을 받는 것으로 보이는 공모자를 관찰했다. 

처음에 이 관찰 참가자들은 피해자의 명백한 고통에 당황했다. 그러나 고통이 계속되고 관찰자들이 개입할 수 없게 되자 관찰자들은 피해자를 거부하고 평가 절하하기 시작했다. 

피해자에 대한 거부감과 평가 절하는 관찰된 고통이 클수록 더 컸다. 그러나 참가자들은 피해자가 고통에 대한 보상을 받을 것이라는 말을 들었을 때 피해자를 비하하지 않았다. Lerner와 동료들은 다른 연구자들과 마찬가지로 후속 연구에서 이러한 발견을 반복했다. 

* 출처 : [위키 백과], 공정한 세계 가설 中

 

 

 

이 실험에서 관찰자들은 자신의 선택에 따라 무고한 피해자에게 가해지는 전기 충격을 멈출 수 있는 그룹과, 전기 충격을 멈출 수 없는 그룹(개입의 여지가 없이 관찰만 할 수 있는 그룹) 둘로 나뉘어져 있었다.

 

먼저 전기 충격을 멈출 수 있었던 그룹의 사람들은 예외없이 실험을 중단시켰다.

 

하지만 그럴 수 없었던 그룹의 사람들은 계속되는 전기 충격에 대해 처음에는 당황했으나 이내 피해자를 외면하기 시작하였고, 마침내 피해자를 비하하고 험담했다. 

 

그러다가 피해자가 고통에 대한 보상을 받을 수 있다는 말을 들었을 때 비로소, 비하를 멈추었다.

 

다시 말하면 관찰자들은 자신이 상황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을 때 안도감을 느꼈으며, 그렇지 못할 때 불편함을 계속 느낀 나머지, 도리어 곤란한 상황에 놓인 피해자를 손가락질하고 비난했다는 것이다.

 

 

300x250

 

 

즉, 상황에 대한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고려가 없이 '왜 하필이면 그때 그 자리에 있었느냐', '왜 빨리 그 상황에서 벗어나지 못했느냐', '그러니까 그럴만 했다'며, 비난의 방향을 상황에서 사람으로 돌려버린 것이고, 종종 피해 당사자들도 위와 같이 스스로를 강하게 책망한다(이른바 '피해자 비난(Victim blaming)').

 

 

 

 

Victim blaming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Social phenomenon Victim blaming occurs when the victim of a crime or any wrongful act is held entirely or partially at fault for the harm that befell them.[1] There is historical and current prejudice against the vict

en.wikipedia.org

 

 

 

우리가 종종 외치는 정의는 무엇이고, 과연 어떻게 측정될 수 있는가? 우리가 생각하는 정의와 공정함은 신념에 따라, 상황에 따라, 알고보면 차이가 있다. 

 

물론 노력이 중요하지 않다는 뜻은 아니다.

 

하지만 절대적인 하나의 정의만이 존재하고, 그것에 따라 세상이 돌아간다는 믿음이 과해지면, 심각한 오류에 빠졌다는 사실 자체도 잊게 된다.

 

세상은 언제나 공정하지만은 않고, 재능이 없음을 언제나 노력만으로 커버할 수만은 없으며, 선과 악이 언제나 명확한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인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응형

 

 

2023.04.17 - [이야기가 있는 정원, 동기와 정서] - ✔자의식적 정서②(수치심, 죄책감, 뉘우침, 수치심이 높은, 죄책감 성향이 높은 사람들의 특징, 공정한 세상 가설, just-world hypothesis. 멜빈 러너, 용서의 목적)

 

✔자의식적 정서②(수치심, 죄책감, 뉘우침, 수치심이 높은, 죄책감 성향이 높은 사람들의 특징,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자의식적 정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자의식적 정서 중 당혹감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3.04.15 - [이야기가 있는 정원

narrare3.tistory.com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