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직업과 스트레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직무 관련 스트레스 요인, 갈등의 유형, 직무 스트레스의 관리 전략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 개인 관련 스트레스 요인 :
① A형 성격의 특징 :
성격과 질병의 함수 관계를 연구한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의사이자 심신의학자인 프리드먼(Meyer Friedman)과 로젠먼(Ray H. Rosenmen) 박사에 따르면, 심장병(관상동맥계 질환)과 관련 있는 사람의 성격은 급하고, 화를 잘 내며, 경쟁적이고, 적개심이 강하다고 한다.
이러한 성격을 'A형(Type A) 성격'이라고 한다(혈액형과는 관계 없음).
아래는 A형 성격의 특징이다.
㉮ 능동적이면서도 공격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다.
㉯ 경쟁적 욕구, 분노, 적개심을 특징으로 한다.
㉰ 모든 일을 빠르고 완벽하게 처리하려고 한다.
㉱ 인내심이 부족하며, 강한 긴박감과 시간적 압박감을 가진다.
㉲ 업무와 직책에 있어서 과도한 자신감을 보인다.
㉳ 단기간에 가능한 한 많은 일을 하려고 하므로, 항상 초조하고 바쁘다.
㉴ 점심을 먹으면서도 서류를 보고, 아무것도 하지 않고 쉬면 견딜 수 없으며, 주말이나 휴일에도 쉴 수가 없다(일 중독증).
② B형 성격의 특징 :
㉮ 수동적이고 방어적인 성향을 지니고 있다.
㉯ 차분한 성격과 평온함을 특징으로 한다.
㉰ 느긋하고 시간에 쫓기지 않으며, 생활 리듬도 비교적 느리다.
㉱ 일처리에 있어서 여유 있게 대처한다.
㉲ 털털하게 사람을 사귄다.
㉳ 열심히 일을 했지만 성취감보다는 허탈감을 느끼고, 인생에 환멸을 느끼며, 불면증이 생긴다(소진).
③ 물리적 환경 관련 스트레스 요인 :
조명, 소음, 온도, 진동, 공기 오염, 사회적 밀도 등이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요인이다.
✅ 프리드먼과 로젠먼이 주장한 'A형 성격과 B형 성격 이론(Type A and Type B personality theory)'에 대해서 더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참조 글을 살펴보시기 바란다.
3. 스트레스의 결과 및 예방
(1) 스트레스의 결과 :
① 개인적 결과 :
㉮ 생리학적 시스템과 스트레스의 반응 :
*교감 신경 시스템과 행동 반응, *내분비 시스템과 행동 반응이 일어난다.
㉯ 심리적 반응 :
일차적 반응인 불안, 분노와 공격성, 무감각과 우울증, 인지적 손상(주의산만, 생각의 논리적 조직화 곤란)이 나타난다.
㉰ 행동적 반응 :
흡연, 알코올 남용, 돌발적인 사고, 격렬, 식욕 부진이 나타난다.
㉱ 의학적 결과 :
심장병과 뇌일혈, 등의 통증, 소화기 과양증, 두통, 암, 당뇨병, 간경변증, 폐질환, 피부질환 등이 나타난다.
(2) 조직의 결과 :
① 직무 수행 감소 :
개인의 초기 수행 실적은 스트레스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지지만, 일정 시점 이후에 스트레스 수준이 증가하면 수행 실적은 오히려 감소한다.
② 이직 및 결근 :
스트레스의 직접적 · 간접적 결과로써 건강을 해친 근로자는 직장에 나오지 못하거나 설령 나왔다고 하더라도 제대로 직무를 수행하기 어렵다.
③ 직무 불만족 :
긍정적 지각과 해석은 직무 만족과 정적 관계를, 부정적 시각과 해석은 직무 만족과 부적 관계를 형성한다.
④ 조직 성과 :
적당한 스트레스는 직무 성과를 최적의 수준에 이르게 한다. 어느 정도의 스트레스는 개인으로 하여금 자기 능력을 최대한 혹은 그 이상으로 발휘하게 함으로써 조직 성과를 증가시킨다.
(3) 스트레스 대처 :
① 직접적 대처 :
㉮ 공격 행동과 적극적 대처 :
스트레스를 받으면 파괴적인 충동과 행동을 통제하면서 좌절이나 위협적인 대상에 대해 공격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주요한 수단으로 유머와 자기표현이 있다.
㉯ 태도 및 포부 수준의 조정 :
자신의 목표에 대한 포부 수준을 잘 조절하면 스트레스를 덜 받는다. 즉, 융통성이 있으면 스트레스를 적게 받는다.
따라서 갈등과 좌절에 직접적으로 대처하는 수단으로 가장 흔한 것이 타협일 수 있다.
㉰ 철수(撤收) :
스트레스를 해결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것은 그 상황에서 철수하거나 회피하는 것이다.
그러나 철수나 회피 행동은 원래의 문제 장면과 유사한 모든 상황을 피하는 데까지 확대될지 모르기 때문에, 그에 따른 부작용 또한 크다.
② 방어적 대처 :
방어적 대처는 실제로 위협받지 않았다고 스스로를 확심시키거나 획득할 수 없는 것은 원했던 것이 아니라고 믿는 방법으로 *방어기제(부인, 퇴행, 동일시, 승화, 반동 형성, 치환, 투사, 합리화, 주지화 등)가 있다.
③ 스트레스의 예방 및 대처방안(스트레스에 대처하기 위한 포괄적인 노력) :
㉮ 목표 지향적 · 초고속적 사고에서 과정 중심적 사고방식으로 전환하여야 한다.
㉯ 가치관을 전환시켜야 한다.
㉰ 스트레스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마음이 있어야 한다.
㉱ 균형 있는 생활을 하여야 한다.
㉲ 취미나 오락을 통해 생활 장면을 전환하는 활동을 규칙적으로 하여야 한다.
✅ 직무 스트레스의 조절 변인(매개 변인) :
- A · B형 성격유형 : 직무 수행에서 경쟁, 성취, 신속, 완벽을 추구하는 A형 성격 유형이 느긋함과 차분함을 추구하는 B형 성격 유형에 비해 스트레스에 더 취약하다.
- 통제 위치(통제 소재) : 직무의 성공과 실패의 원인을 내부(자신의 행동)에 의한 것이라는 '내적 통제자'보다 그 원인을 외부(기회, 재수, 운명 등)에 의한 것이라는 '외적 통제자'가 스트레스에 더 취약하다.
- 사회적 지원 : 사회적 지원이 일정 수준 직무 스트레스의 인지도를 낮추는 동시에 직무 만족도를 향상시킨다. 즉, 사회적 지원을 받는 사람은 그렇지 못한 사람에 비해 스트레스를 덜 느낀다.
※ A · B형 성격유형과 통제 위치는 '개인적 요인'에 해당하며, 사회적 지원은 '환경적 요인'에 해당한다.
■ 이상 총 3회에 걸쳐서 직업과 스트레스에 대해 알아보았다.
* 출처 및 참조 : [직업 심리학], 직업과 스트레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