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부터는 정서 지능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정서의 정보 처리적 측면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1. 정서 지능(Emotional Intelligence)
(1) 정서 지능의 개념 :
① 정서 지능의 정의 :
정서 지능이란
정서가 주는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을 말한다.
- Mayer & Salovey
(메이어와 살로베이, 1990)
💬 존 메이어(John D. Mayer)는 감성 지능과 성격 심리학을 전문으로 하는 뉴햄프셔 대학교의 미국 심리학자이다. 그는 Peter Salovey 와 함께 인기 있는 감성 지능 모델을 공동 개발하였다 .
* 출처 : [위키 백과], 존 D. 메이어
💬 피터 살로베이(Peter Salovey)는 미국의 사회심리학자이자 현재 예일 대학교 총장이다. 그는 존 메이어와 함께 감성 지능의 초기 개척자 중 한 명이다 .
* 출처 : [위키 백과], 피터 살로베이
㉮ 다시 말해 자신의 정서적 경험에 대한 비판적 돌아보기 및 자신의 감정에 대한 능동적 조절이라는, 이른바 자기 조절 기능이라는 것이다.
㉯ 정서 지능에서 말하는 정서는 인간의 사고를 더욱 지능적으로 활성화하며, 인지 과정에 도움을 주고 촉진한다고 하였다.
㉰ 이에 대해 메이어와 살로베이는 정서 지능을 '자신과 타인의 감정과 정서를 점검하고, 그 감정들을 구별하며,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사고와 행동을 이끄는 능력'이라고 하였다.
㉱ 메이어와 살로베이의 정서 지능에 대한 세 가지 중요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정서 지능은 전통적인 지능이라는 개념에 반대되는 것이 아니다.
✔정서 지능은 전통적으로 논의해 온 사회 지능(Social Intelligence, 사회적 지능)의 한 하위요소로 볼 수 있는데, 정서와 감정이 개입되어 있는 사회 문제를 다룰 줄 아는 능력이다.
✔정서 지능은 크게 세 영역으로 구분되는 정신활동으로 구성되며, 각 영역은 다시금 2~4개의 하위 능력으로 분류된다.
(2) 정서 지능의 연구 :
① 지능의 개념 :
㉮ 지능이라는 개념은 인간의 지적 능력에 대한 연구가 시작된 이래, 여러 학자들에 의해 다양하게 정의되어 왔다.
㉯ 최초로 지능을 정의한 사람은 비네와 사이먼(Binet & Simon, 1916)이었다. 지능은 분별력과 독창성을 말하며, 환경에 자신을 적응시키려는 능력, 즉 주어진 자극 환경을 잘 판단하고 이해하며 추론하는 능력이라고 정의했다.
㉰ 이후 웩슬러(Wechsler, 1958)는 지능에 대하여 결단력 있게 행동하고 합리적으로 생각하며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종합적인 능력이라고 정의하였다.
㉱ 가드너(Gardner, 1983)는 지적 능력의 요소를 광범위하게 확장해 이를 언어 지능, 논리-수학 지능, 시각-공간 지능, 음악 지능, 신체 운동 지능, 대인 관계 지능, 자기 성찰 지능 및 자연 탐구 지능으로 구분했다.
- 가드너는 기존의 IQ 검사로 측정하는 전형적인 능력들뿐만 아니라 운동 능력, 자신과 타인을 아는 능력, 음악적 재능 등을 포함시킴으로써 '지능'의 의미를 새롭게 정의하였다.
- 자기 성찰 지능은 사람들 간의 기분, 의도의 차이를 변별하는 능력을 내포한다.
- 이는 사람들 간의 기분과 의도를 변별함으로써 얻어진 정보로 정서들 간의 차이를 구분하고 정서를 명명하여, 자신의 행동을 결정하고 이해하는 수단으로 활용하는 능력이다.
② 정서 지능의 연구 :
㉮ 1990년대 초 메이어와 살로베이는 개인 내 지능(자기 성찰 지능)에 대해 좀 더 명확하게 '정서 지능'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하였다.
㉯ 정서 지능을 기본적으로 자신의 정서에 대한 이해 능력, 스스로 감정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 다른 사람에 대한 감정 이입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 골먼(Goleman, 1995)은 메이어와 살로베이의 이론을 더욱 발전시켜 《Emotional Intelligence, 정서 지능 : Why It Can Matter More Than IQ》라는 책을 저술하여 정서 지능의 중요성과 정서 지능의 다섯 가지 구성 요소를 제안하였다.
한 사람의 성공을 예측할 때
지능 검사나 학력 평가로 측정한 지적 능력보다는
인성이라는 말로 지정된 마음의 특성이 유용하다.
- Daniel Goleman
(다니엘 골먼)
㉱ 그는 위와 같이 역설하면서 정서 지능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다니엘 골먼에 대해서는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 다음 시간에 계속, 정서 지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및 참조 : [동기와 정서], 정서와 인지, 핵심 이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