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야기가 있는 정원, 동기와 정서

✔정서 지능①(Emotional Intelligence, 감성 지능, 메이어와 살로베이, Mayer & Salovey, 사회적 지능, 비네와 시몬, Binet & Simon, 정서 지능의 정의, 연구, 개념, 골먼)

by 이야기가 있는 정원 2023. 4. 26.
728x90
반응형
728x170

 

 

 

 

 

◆ 오늘부터는 정서 지능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정서의 정보 처리적 측면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3.04.24 - [이야기가 있는 정원, 동기와 정서] - ✔정서의 정보 처리②(정서에 따른 각본 사용, 시나리오, 긍정적 감정, 창의성, 우울한 현실주의, Depressive Realism, 기분 부전, Dysthymia, 프로이트 유머)

 

✔정서의 정보 처리②(정서에 따른 각본 사용, 시나리오, 긍정적 감정, 창의성, 우울한 현실주의,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정서의 정보 처리적 측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정서와 인지, 체계적 휴리스틱 사고, 설득의 중심 경로와 주변 경로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

narrare3.tistory.com

 

 

 

1. 정서 지능(Emotional Intelligence)

 

(1) 정서 지능의 개념 : 

 

① 정서 지능의 정의 :

 

정서 지능이란
정서가 주는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을 말한다.


- Mayer & Salovey
(메이어와 살로베이, 1990)

 

 

💬 존 메이어(John D. Mayer)는 감성 지능과 성격 심리학을 전문으로 하는 뉴햄프셔 대학교의 미국 심리학자이다. 그는 Peter Salovey 와 함께 인기 있는 감성 지능 모델을 공동 개발하였다 .

* 출처 : [위키 백과], 존 D. 메이어

 

 

 

 

John D. Mayer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

en.wikipedia.org

 

 

💬 피터 살로베이(Peter Salovey)는 미국의 사회심리학자이자 현재 예일 대학교 총장이다. 그는 존 메이어와 함께 감성 지능의 초기 개척자 중 한 명이다 .

* 출처 : [위키 백과], 피터 살로베이

 

 

 

Peter Salovey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American academic (born 1958) Peter Salovey (; born February 21, 1958) is an American social psychologist and current president of Yale University. He previously served as Yale's provost, dean of Yale Graduate School o

en.wikipedia.org

 

 

㉮ 다시 말해 자신의 정서적 경험에 대한 비판적 돌아보기 및 자신의 감정에 대한 능동적 조절이라는, 이른바 자기 조절 기능이라는 것이다. 

 

㉯ 정서 지능에서 말하는 정서는 인간의 사고를 더욱 지능적으로 활성화하며, 인지 과정에 도움을 주고 촉진한다고 하였다.

 

㉰ 이에 대해 메이어와 살로베이는 정서 지능을 '자신과 타인의 감정과 정서를 점검하고, 그 감정들을 구별하며,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사고와 행동을 이끄는 능력'이라고 하였다. 

 

메이어와 살로베이의 정서 지능에 대한 세 가지 중요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728x90

 

 

✔정서 지능은 전통적인 지능이라는 개념에 반대되는 것이 아니다.

✔정서 지능은 전통적으로 논의해 온 사회 지능(Social Intelligence, 사회적 지능)의 한 하위요소로 볼 수 있는데, 정서와 감정이 개입되어 있는 사회 문제를 다룰 줄 아는 능력이다.

✔정서 지능은 크게 세 영역으로 구분되는 정신활동으로 구성되며, 각 영역은 다시금 2~4개의 하위 능력으로 분류된다. 

 

 

 

정서 지능

자신과 타인의 감정과 정서를 점검하고, 그것들의 차이를 변별하며, 생각하고 행동하는 데 정서 정보를 이용할 줄 아는 능력(Mayer & Salovey, 1990). [ 1. 개요] 메이어와 살로베이(Mayer & Salovey, 1990)는

terms.naver.com

 

 

 

사회적 지능

일상생활에서 자기 및 타인의 감정과 사고행동을 이해하고, 그러한 이해의 바탕 위에서 적절하게 행동할 수 있는 능력. 사회적 지능에 대한 학문적 논의는 손다이크(Thorndike)가 사람의 지능을 추

terms.naver.com

 

 

(2) 정서 지능의 연구 : 

 

① 지능의 개념 :

 

㉮ 지능이라는 개념은 인간의 지적 능력에 대한 연구가 시작된 이래, 여러 학자들에 의해 다양하게 정의되어 왔다. 

 

㉯ 최초로 지능을 정의한 사람은 비네와 사이먼(Binet & Simon, 1916)이었다. 지능은 분별력과 독창성을 말하며, 환경에 자신을 적응시키려는 능력, 즉 주어진 자극 환경을 잘 판단하고 이해하며 추론하는 능력이라고 정의했다.

 

 

300x250

 

 

2022.01.12 - [이야기가 있는 정원, 발달심리] - ✔지능의 발달③(지능 검사, 비네-시몬 검사, 스탠포드-비네 검사, 웩슬러 검사, 정신연령, 편차 IQ, 생활연령, 지능지수, 병전 지능수준, K-WAIS, K-WISC)

 

✔지능의 발달③(지능 검사, 비네-시몬 검사, 스탠포드-비네 검사, 웩슬러 검사, 정신연령, 편차 I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지능의 발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지능의 유형), 스턴버그의 삼원지능이론(지능의 구조)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

narrare3.tistory.com

 

 

㉰ 이후 웩슬러(Wechsler, 1958)는 지능에 대하여 결단력 있게 행동하고 합리적으로 생각하며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종합적인 능력이라고 정의하였다. 

 

 

2022.04.21 - [이야기가 있는 정원, 학교심리] - ✔웩슬러 지능 검사①(데이비드 웩슬러, 학교 심리학, 의의, 특징, 언어성 검사, 개인 지능 검사, 병전 지능 수준, 한국판 웩슬러 성인 지능 검사, K-WAIS, K-WAIS-IV)

 

✔웩슬러 지능 검사①(데이비드 웩슬러, 학교 심리학, 의의, 특징, 언어성 검사, 개인 지능 검사,

◆ 오늘부터는 웩슬러 지능 검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1. 웩슬러 지능 검사의 이해 (1) 웩슬러 지능 검사의 의의 : ① 웩슬러 지능 검사는 데이비드 웩슬러(David Wechsler)가 1939년에 제작한

narrare3.tistory.com

 

 

가드너(Gardner, 1983)는 지적 능력의 요소를 광범위하게 확장해 이를 언어 지능, 논리-수학 지능, 시각-공간 지능, 음악 지능, 신체 운동 지능, 대인 관계 지능, 자기 성찰 지능 및 자연 탐구 지능으로 구분했다.

 

 

2022.01.11 - [이야기가 있는 정원, 발달심리] - ✔지능의 발달②(가드너 다중지능이론, 스턴버그 삼원지능이론, 성공지능, 지능의 구조, 정보처리이론, 상황하위이론, 경험하위이론, 요소하위이론, 인지이론)

 

✔지능의 발달②(가드너 다중지능이론, 스턴버그 삼원지능이론, 성공지능, 지능의 구조, 정보처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지능의 발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각 학자별 지능에 대한 정의, 지능의 연구(비네, 스피어만, 손다이크, 써스톤, 길포드, 카텔과 혼) 등에 대해 궁금하신

narrare3.tistory.com

 

 

- 가드너는 기존의 IQ 검사로 측정하는 전형적인 능력들뿐만 아니라 운동 능력, 자신과 타인을 아는 능력, 음악적 재능 등을 포함시킴으로써 '지능'의 의미를 새롭게 정의하였다. 

 

- 자기 성찰 지능은 사람들 간의 기분, 의도의 차이를 변별하는 능력을 내포한다.

 

- 이는 사람들 간의 기분과 의도를 변별함으로써 얻어진 정보로 정서들 간의 차이를 구분하고 정서를 명명하여, 자신의 행동을 결정하고 이해하는 수단으로 활용하는 능력이다.

 

 

② 정서 지능의 연구 :

 

㉮ 1990년대 초 메이어와 살로베이는 개인 내 지능(자기 성찰 지능)에 대해 좀 더 명확하게 '정서 지능'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하였다.

 

㉯ 정서 지능을 기본적으로 자신의 정서에 대한 이해 능력, 스스로 감정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 다른 사람에 대한 감정 이입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골먼(Goleman, 1995)은 메이어와 살로베이의 이론을 더욱 발전시켜 Emotional Intelligence, 정서 지능 : Why It Can Matter More Than IQ라는 책을 저술하여 정서 지능의 중요성과 정서 지능의 다섯 가지 구성 요소를 제안하였다. 

 

 

반응형

 

한 사람의 성공을 예측할 때
지능 검사나 학력 평가로 측정한 지적 능력보다는
인성이라는 말로 지정된 마음의 특성이 유용하다.

- Daniel Goleman
(다니엘 골먼)

 

 

 

Emotional Intelligence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1995 book by Daniel Goleman Emotional Intelligence: Why It Can Matter More Than IQ is a 1995 book by Daniel Goleman. In this book, Goleman posits that emotional intelligence is as important as IQ for success, including

en.wikipedia.org

 

 

 

㉱ 그는 위와 같이 역설하면서 정서 지능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다니엘 골먼에 대해서는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골맨

미국 출신 심리학자, 과학저널리스트, 작가. 골맨은 캘리포니아 스톡턴(Stockton)에서 태어났다. 부모님은 모두 대학 교수로 아버지는 샌 조아퀸 델타대학교에, 어머니는 퍼시픽대학교 사회학부에

terms.naver.com

 

 

■ 다음 시간에 계속, 정서 지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및 참조 : [동기와 정서], 정서와 인지, 핵심 이론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