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자의식적 정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수치심, 죄책감, 뉘우침, 공정한 세상 가설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자의식적 정서②(수치심, 죄책감, 뉘우침, 수치심이 높은, 죄책감 성향이 높은 사람들의 특징,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자의식적 정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자의식적 정서 중 당혹감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3.04.15 - [이야기가 있는 정원
narrare3.tistory.com
(3) 당혹감, 수치심, 죄책감의 관계 :
① 자신이나 타인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우리는 당혹감이나 수치심, 또는 죄책감을 느낀다.
② 세 정서의 공통점은 우리가 무언가 잘못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③ 일테면 당혹스러운 경험으로 구성된 문장들을 읽었을 때 뇌가 활성화되는 영역이, 죄책감에 관한 문장을 읽었을 때와 거의 같다.
✅ 당혹감, 수치심, 죄책감과 연합된 일반적인 경험 :
당혹감의 경험 | 수치심의 경험 | 죄책감의 경험 |
- 어떤 수행과제를 잘 해내지 못한 것 - 신체적, 인지적인 실수 - 부적절한 보상 - 사회적 노출이나 침해 - 놀림 받음 - 의도치 않게 남의 이목을 끄는 것 |
- 어떤 수행 과제를 잘 해내지 못한 것 - 다른 사람의 기분을 상하게 한 것 - 거짓말을 한 것 - 다른 사람들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한 것 - 자신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한 것 |
- 자신의 의무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 것 - 거짓말을 하거나 남을 속이거나 남의 물건을 훔친 것 - 친구나 애인에게 소홀하게 대한 것 - 다른 사람의 기분을 상하게 한 것 - 연인에 대한 부정 - 다이어트에 실패한 것 |
✅ 당혹감, 수치심, 죄책감 경험의 차이 :
당혹감 | 수치심 | 죄책감 |
- 주로 양해될 수 있는 실수나 우연한 사고에 의해 발생 - 긍정적인 사건으로 인해 갑자기 다른 사람들에게 주목의 대상이 되었을 때 발생 - 단지 운이 없어 타인 앞에 노출되었을 때 |
- 흔히 기대에 부응하지 못했을 때 발생함 | - 어떤 일로 누군가에게 아픔을 주었을 때 - 다른 사람을 다치게 했다면 죄책감을 느낌 - 자신만을 다치게 한다면 후회를 함 |
✔수치심과 죄책감의 경험을 기술한 사람들은 자신이 도덕적으로 기준을 위반하였다고 강하게 느끼는 경향이 있었다. |
④ 당혹감은 예기치 못한 사건에 대한 반응으로, 갑작스럽게 유발되어 잠시 동안 지속된 후 사라지지만, 수치심 또는 죄책감을 유발하는 사건들은 더 많이 예측되었고 그 감정은 더 천천히 형성된다.
⑤ 어떤 연구에서 피험자들은 당혹스러운 순간에는 자신에게 화가 나지 않지만, 수치심이나 죄책감을 경험할 때는 스스로에게 화가 난다고 보고하였다.
⑥ 당혹감을 기술한 사람들은 사건에 대해 책임을 덜 느꼈고, 수치심이나 죄책감을 기술한 사람들은 개인적으로 사건에 책임이 있다고 느낀다.
⑦ 또한 당혹감을 경험한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쳐다보았고, 재미있어한다고 느끼지만 수치심 또는 죄책감을 경험한 사람들은 주변 사람들이 화가 난 것 같다고 느낀다.
⑧ 당혹스러워 하는 사람은 수줍은 듯 소심한 미소를 보일 수 있지만, 수치심을 느끼는 사람은 미소를 짓지 않고 오히려 슬픈 듯이 입꼬리를 내린다.
(4) 자부심(self-respect pride, self-esteem) :
① 자부심의 의미 :
㉮ 자부심은 수치심이나 죄책감의 반대 정서로, 어떤 긍정적인 결과를 낳은 공이 자신에게 있다는 것을 받아들일 때 느끼는 정서이다.
㉯ 자부심의 사전적인 뜻은 다음과 같다.
✔자기 자신 또는 자기와 관련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스스로 그 가치나 능력을 믿고 당당히 여기는 마음. 비슷한 단어로 긍지, 보람, 자긍심 등이 있다.
* 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자부심
㉰ 자부심을 느낄 때 내가 그 좋은 사건을 유발했고, 이에 대한 공을 인정받을 수 있다고 느낀다. 즉, 좋은 사건은 우리의 긍정적인 자기상을 확인시켜 준다.
㉱ 하지만 인정받을 때 자기의식보다 재능이나 운이 더 중심이 되는 경우에는 자부심을 덜 느낄 수 있다.
㉲ 우연적 사건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다고 믿을 때 자부심을 느낀다. 예를 들어 도박을 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승리에 자부심을 느끼는데, 그들이 자신의 특성이나 판단의 어떤 요소가 그들의 행운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기 때문이다.
② 자부심의 표현 :
㉮ 머리를 약간 뒤로 기울이고 앉거나 서 있을 때 몸을 곧추 세우고, 팔을 머리 위로 번쩍 올리거나 허리에 손을 얹는다.
㉯ 자부심의 표현은 사회적 지위가 높은 사람의 행동과 비슷하다.
㉰ 어떤 연구에서 자신의 첫 번째 과제에서 자기가 매우 잘했다고 믿는 사람들은 두 번째 과제의 집단 활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고, 같은 집단에 속해 있던 다른 구성원들은 이들을 매우 호감이 간다고 묘사했다.
③ 당혹감, 수치심, 자부심의 문화적 차이 :
㉮ 자의식 정서들은 문화권마다 서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자의식 정서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미국에서 수행된 것이다.
㉯ 문화마다 이러한 정서를 불러일으키는 상황들은 다르다.
㉰ 예컨대 사회의 기대에 미치지 못했을 때 당혹감이나 수치심을 경험한다고 하지만, 사회의 기대는 각각의 문화마다 다르기 때문이다.
㉱ 자부심을 유발하는 사건들에서의 문화 차이 중 어떤 부분은 '자기(Self)'의 속성에서 나타나는 차이와 관계가 있다.
자기(Self) :
다른 사람과 나를 구분해 주는
일관적인 특질로 정의되는 독특한 성격.
미국에서는 개성이 매우 가치 있게 여겨지며,
대부분의 사람들이 남을 따라 하는 것을 거부하지만,
동아시아권의 국가들에서 자기는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와 자신이 속한 집단에 의해
더 많이 정의되는 경향이 강하다.
✔칼 융(Carl G. Jung)의 분석심리학②(자기(Self), 자기실현, 페르소나, 사회적 가면, 융의 그림자, 아
◆ 저번 시간에는 칼 구스타프 융이 제시한 분석심리학(Analytical Psychology)의 등장배경, 프로이트와 그의 관계, 리비도(Libido)를 필두로 한 두 사람의 견해 차이, 분석심리학의 이론적 특징, 그리고
narrare3.tistory.com
㉲ 자의식 정서를 유발하는 사건들에 있어서 중국인들은 가까운 혈육에 대해 마치 '자기'의 일부인 것처럼 반응한다.
㉳ 자부심은 미국에서는 좋은 것으로 간주되지만, 대부분의 문화권에서 지나친 자부심은 눈쌀을 찌푸리게 하는 것도 사실이다.
㉴ 일반적으로 미국인들은 개인주의보다 집단주의를 강조하는 문화권의 사람들에 비해 자부심을 더 편안하게 받아들이며, 긍정적으로 생각한다.
㉵ 중국인들은 미국인들과 비교해 일반적으로 자부심을 표현하는 것을 좋은 일이 아니라고 생각하며, 집단 구성원들에게 이익이 되는 업적에 대해서만 자부심을 표현하는 것이 사회적으로 적절하다는데 동의하는 경향이 있다.
(5) 질투심과 선망 :
① 선망과 질투심(envy, jealousy)은 모두 타인의 행운에 대한 억울함을 나타낸다.
② 우정, 섹스, 로맨스 등과 관련된 어떤 것을 언급할 때는 주로 '질투심'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다른 사람의 직업 또는 연봉 등을 부러워한다면 선망이나 질투심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③ 성적 질투심은 흔히 무모한 행동을 촉발하는데, 공격적 행동은 질투심의 흔한 결과이다.
④ 그런가하면 선망도 가끔 공격적 행동을 촉발한다. 사람들은 다른 사람이 가지거나 즐기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스스로 소중한 것을 망가뜨리기도 한다고 알려져 있다.
⑤ 선망의 이점은 우리가 다른 사람의 성공을 선망한다면 우리 자신의 성공의 수준을 높이도록 동기를 부여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 이상 총 3회에 걸쳐서, 자의식적 정서에 대해 알아보았다.
* 출처 및 참조 : [동기와 정서], 개별 정서, 핵심 이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