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정서 지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정서 지능의 3영역 10요소, 4영역 4수준 16요소 묘형, 골먼의 지능 5요소 모형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 수행 . 능력 측정법 :
① 정서 지능을 측정하는 다른 방법은 표준화된 검사(일테면 IQ검사)와 같이 능력을 검사하는 것이다.
✅ 표준화 : 어떤 검사가 객관적일 수 있도록 근거나 기호를 만드는 일.
* 출처 : [네이버 국어사전], 표준화
② 정서 지능과 관련하여 가장 널리 사용되는 종류의 검사는 'Mayer - Salovey - Caruso 정서 지능 검사(메이어 - 살로베이 - 카루소 정서 지능 검사, 감성 지능 테스트, MSCEIT)'이다.
MSCEIT는 사람들이 사회적 과제에 얼마나 잘 반응하고
상대의 얼굴 표정을 읽고
정서적 문제를 해결하는지를 측정한다.
MSCEIT는 기업, 교육, 연구 및 치료 환경에서 사용된다.
- 출처 : [위키 백과], MSCEIT 中
③ MSCEIT와 같은 수행 . 능력 검사의 핵심 이슈는 정확한 정답이 무엇이고 어떤 방법으로 정답을 결정하는가이다.
㉮ 이와 관련한 한 가지 방법은 전문가의 채점 방식이다.
㉯ 또 다른 것은 합의에 따르는 방식으로, 다수가 결정한 것을 정확한 답으로 정하는 것('합의 채점법'이라고 한다)이다.
- 이러한 합의 채점법의 문제는 만약 다수가 말하는 것이 정답이 된다면 이런 검사에서 소수만이 옳은 답을 할 수 있는 문항을 포함시키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 MSCEIT는 특별히 뛰어난 정서 지능을 가진 사람을 구별해낼 수는 없지만, 최악의 정서 지능을 가진 사람은 구별이 가능하다.
- 또한 다수의 주장과 가장 다르게 대답을 하는 사람은 대개 조현병(정신분열증), 정신병질환자, 알코올 의존증 환자나 알코올 의존증에서 회복 중인 사람들, 본인 스스로 높은 불안 수준을 가진 사람들이라고 볼 수 있다.
㉰ 또 하나의 방법은 표적 대상(검사 질문에서 묘사되는 경험을 실제로 한 사람들)의 정답에 기반을 두는 것이다. 표적 기반 채점은 큰 잠재력을 가지고는 있으나, 아직까지는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지는 않다.
(3) 정서 지능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 :
✔신뢰도(reliability) :
검사 도구가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오차 없이 정확하게 측정하고 있는가의 정도. 일관성, 안정성, 예측성, 정확성 등과 동의어로 쓰인다.
✔타당도(validity) :
: 검사 도구가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충실하게 측정하고 있는가의 정도. 유효성, 충실성, 논리성 등과 동의어로 쓰인다.
① MSCEIT의 저자들의 신뢰도는 0.9로, 다른 표준화된 심리검사와 비슷하지만 다른 연구에서는 0.5보다 낮은 신뢰도를 보여주었다(신뢰도는 숫자가 1.0에 가까울수록 높은 것이다).
② 신뢰도가 불확실하다면 아무도 더 중요한 연구를 위해 그 검사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③ 이와 관련하여 심리학자들은 정서 지능 검사들이 사용해도 될 만큼 충분한 타당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서로 간에 의견이 뚜렷하게 갈라지고 있다.
④ 자기 보고식 정서 지능 검사는 외향성, 우호성, 공감, 낮은 신경증 성향과 같은 성격 특성 측정 도구와 중간 정도의 상관을 가진다.
⑤ 정서 지능의 능력 검사는 인지적 측정치와 중간 정도로 양호한 상관이 있다. 현재 측정되고 있는 정서 지능은 인지와 성격 측정을 통해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것에 더 부가적으로 말해주는 것은 없다.
3. 정서 지능의 학습
(1) 연령에 따른 정서 지능 :
① 정서 지능의 측정은 평균적으로 중년의 사람들이 젊은 사람들보다 점수가 높게 나오는 경향이 있다.
② 이를 통해 유추해볼 수 있는 것은 사람들이 나이가 더 들고, 더 많은 경험을 할수록 정서 지능을 더 배운다는 점이다.
③ 일반적인 학술 지능, 즉 추론이 필요하며 친숙하지 않은 새로운 문제를 경험하고 그것을 해결하는 능력은 십대 후반과 이십 대 초반에 절정을 이룬 다음, 오랫동안 천천히 감소하기 시작한다.
④ 정서 지능이 시간이 지나면서 향상된다면 그것은 유동성 지능(fluid intelligence)보다는 결정성 지능(crystallized intelligence)과 더 비슷한 것이다.
(2) 정서 지능의 향상 :
① 일테면 드라마(TV 드라마만 생각하기 쉬우나 본래는 연극을 상연하기 위한 대본을 의미함, 즉 '희곡') 수업, 키보드(여기서는 컴퓨터의 자판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음악에 쓰이는 건반을 의미함) 수업을 받은 아동들이 노래수업이나 아무런 수업을 받지 않은 아동들보다 수행을 더 잘 하였다.
② 음악 훈련을 받은 성인들이 평균적으로 타인의 말로부터 그 사람의 정서를 인식하는 것이 우수하였다.
③ 드라마나 음악 수업은 '귀 기울여 듣고 억양의 미묘한 차이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훈련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④ 이처럼 정서 지능을 가르치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는 것은 의미가 있지만, 단순히 정서 지능이 높아지는 방법을 강의하는 것만으로는 효과가 없을 것이다.
■ 지금까지 총 3회에 걸쳐서, 정서 지능에 대해 알아보았다.
* 출처 및 참조 : [동기와 정서], 정서와 인지, 핵심 이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