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야기가 있는 정원, 산업 및 조직심리

✔[산업 및 조직 심리학] 직무 동기와 리더십⑭(상황 이론, 피들러의 상황 적합성 이론, 개념, 리더의 유형, 상황과 리더와의 관계, 한계점, 허시와 블랜차드 상황 대응 리더십 유형)

by 이야기가 있는 정원 2025. 3. 7.
728x90
반응형
728x170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직무 동기와 리더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미시간 대학의 연구, 관리격자 이론, 행동 이론의 한계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5.03.03 - [이야기가 있는 정원, 산업 및 조직심리] - ✔[산업 및 조직 심리학] 직무 동기와 리더십⑬(미시간 대학의 연구, 리커트, 특징, 업무중심 종업원 중심 리더십, 관리격자 이론, 무관심, 인기, 과업, 중도, 팀형, 행동 이론의 한계)

 

✔[산업 및 조직 심리학] 직무 동기와 리더십⑬(미시간 대학의 연구, 리커트, 특징, 업무중심 종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직무 동기와 리더십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자유방임형 리더십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글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5.02.26 - [이야기가 있는

narrare3.tistory.com

 

 

 

(5) 상황 이론 : 

 

1970년대 들어서면서 리더십 연구는 특정 리더십 유형뿐만 아니라 주어진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작업 환경과 상황적 변수들을 발견하려는 방향으로 전환되었다.

 

즉, 여러 상황적 조건들을 구체화하고 이들 상황적 조건에 따른 리더십 행동과 그 횽과를 집단 성과와 집단 구성원의 만족감을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리더십의 효과성을 상황과 연계시키려고 했는데, 이를 상황 이론이라고 한다.

 

상황 이론은 "상황에 따라 리더십 유형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연구 주제로 삼았다. 여기에는 피들러의 상황 적합성 이론,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 대응 리더십 이론, 하우스의 경로 - 목표 이론 등이 있다.

 

 

① 피들러(F. Fiedler) :

 

㉮ 상황 적합성 이론의 개념 :

 

ⓐ *피들러는 종래의 행동이론을 반박하고 효과적인 리더십은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는 상황 적합성 이론을 주장하였다.

 

ⓑ 리더십의 효과성에 관한 상황 적합성 이론을 창안해 낸 피들러는 효과적인 리더십은 지도자와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 유형과 상황과의 관계에 따라 결정된다고 보았고, 모든 상황에 적합한 이상적인 리더십은 존재하지 않음을 언급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효과적인 리더십 유형이 달라짐을 강조하였다.

 

ⓒ 피들러는 '상황의 호의성'이란 개념을 강조하였는데, "상황의 호의성은 그 상황이 리더로 하여금 자기 집단에 대하여 자신의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하는 정도를 말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상황의 호의성은 3가지 상황 변수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았다.

 

ⓓ 피들러의 상황 적합성 이론은 집단의 성과가 리더의 유형과 리더에 대한 상황의 호의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 모형은 리더의 특성과 상황의 양 측면을 통합한 이론이다. 결국, 피들러는 리더가 처한 상황의 호의성을 높일 수 있을 때 리더십도 촉진된다고 하였다.

 

 

 

 

Fred Fiedler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Austrian-American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iatrist Fred Edward Fiedler (July 13, 1922 - June 8, 2017)[1] was one of the leading researchers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in the 20th century. He

en.wikipedia.org

 

 

728x90

 

 

㉯ 리더의 유형 :

 

ⓐ 리더의 특성은 LPC 척도에 의해 측정한다. LPC 척도란 리더가 가장 싫어하는 동료 작업자에 대해 8점 척도로 평가하는 것인데, 가장 싫어하는 동료 작업자에게 점수를 높게(후하게) 주는 리더는 관대한 리더라고 볼 수 있고, 점수를 낮게 주는 리더는 엄격한 리더라고 볼 수 있다. 즉, 평가의 대상이 누구이든 점수를 후하게 주는 리더는 관대한 리더일 것이다. 

 

ⓑ LPC 점수를 기준으로 관계지향적 리더와 과업지향적 리더로 분류하는데, LPC 점수가 높을수록 관계지향적 리더(관대한 리더)일 확률이 높고, LPC 점수가 낮을수록 과업지향적 리더(엄격한 리더)일 확률이 높다.

 

 

㉰ 상황과 리더와의 관계 :

 

피들러는 상황과 리더의 유형을 바탕으로 각 상황에 적합한 리더의 유형을 발견하려고 하였다. 이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관계지향적 리더(LPC 점수가 높은 리더) :

 

- 관계지향적 리더는 상황의 호의성이 중간 정도인 경우에 가장 훌륭하게 과업을 수행하는 경향이 있다. 

 

- 예컨대, 리더와 구성원 간의 관계가 좋고(good), 과업 구조는 비구조화되어 있으며(nonstructural), 리더의 직위 권한이 약할 경우(weak)가 상황의 호의성이 중간 정도인데, 이런 상황에서 가장 훌륭하게 과업을 수행한다.

 

ⓑ 과업지향적 리더(LPC 점수가 낮은 리더) :

 

- 과업지향적 리더는 상황의 호의성이 아주 높거나 아주 낮은 경우에 가장 훌륭하게 과업을 수행하는 경향이 있다. 

 

- 예컨대, 상황의 호의성이 아주 높은 경우는 리더와 구성원 간의 관계가 좋고(good), 과업구조는 구조화되어 있으며(structural), 리더의 직위 권한이 강한 경우(strong)이다.

 

- 상황의 호의성이 아주 낮은 경우에는 리더와 구성원의 관계가 나쁘고(bad), 과업구조는 비구조화되어 있으며(nonstructural), 리더의 직위 권한은 약한 경우(weak)이다.

 

 

㉱ 상황 적합성 이론의 한계점 :

 

리더십의 유형이 특정 상황에 따라 각기 다른 유효성을 가지므로 조직은 상황적 요소를 변경시키거나 리더의 리더십 유형을 변경시킴으로써 작업환경의 유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규명하여 리더십 연구에 공헌하였으나, 상황분류가 지나치게 단순하고 상황변수의 의미가 분명하지 못하다는 점, 그리고 측정의 타당성과 신뢰성의 문제 등이 한계로 지적되고 있다.

 

 

②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 대응 리더십 이론 :

 

㉮ 상황 대응 리더십 이론의 개념 :

 

ⓐ 허시와 블랜차드(Hersey & Blanchard)는 배려와 구조주도 측면을 연구한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리더십 연구를 바탕으로 리더의 행동을 과업지향적 행동과 관계지향적 행동이라는 두 차원을 가로축과 세로축으로 하여 4분면으로 분류한 후, 여기에 상황적 요인으로서 구성원의 성숙도를 추가함으로써 리더십에 관한 3차원 모형을 제시하였다.

 

ⓑ 허시와 블랜차드는 처음에 '리더십의 생활주기(수명주기) 이론'이라고 했다가 뒤에 '상황대응 리더십 이론'이라고 개명하였다.

 

ⓒ 상황대응 리더십 이론의 초점은 리더십효과가 부하들(하급자)에게 달려있다는 것이다. 즉, 부하들(하급자)의 성숙도 수준에 따라 리더십 효과가 달라진다는 것이다.

 

ⓓ 리더는 과업을 수행하는 하급자들의 성숙도에 따라 과업행위와 관계행위의 비중을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리더의 임무는 하급자의 성숙도를 높이는 것이다).

 

 

반응형

 

 

㉯ 상황대응 리더십 이론의 4가지 유형 :

 

리더의 행위를 과업행위와 관계행위의 2차원을 축으로 하여 4분면으로 구분하는데 그것이 지시적(telling), 설득적(selling), 참여적(participating), 위임적(위양적, delegating) 리더의 유형이다.

 

 

지시적 리더십(높은 과업 행동, 낮은 관계 행동, SI) :

 

- 관계지향적인 행동은 낮으나 과업지향적인 행동을 높게 발휘하는 지도자가 지배하는 전제형 리더이다. 이 유형은 부하직원의 성숙도가 낮은 사람에게 발휘하면 효과적이다.

 

- 대부분의 의사소통의 초점이 목표 달성에 맞춰져 있으며, 지도자는 집단 구성원들이 어떠한 목표를 달성하는지에 대한 작업 지시를 하고, 구성원들의 작업 활동을 주의깊게 감독한다.

 

 

설득적 리더십(높은 과업 행동, 높은 관계 행동, S2) :

 

- 관계지향적 행동도 높으며 과업지향적 행동도 높게 발휘하는 리더십 유형으로, 참여형보다는 좀 더 전제형의 행동을 보인다. 즉, 결정 내용을 부하에게 지시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설명해주고 부하가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 의사소통의 초점을 목표 달성과 정서적 지원 양측에 맞추고 있으며, 구성원의 참여를 고무하고 아이디어를 장려함으로써 모두 참여하는 팀 정신을 촉구하지만, 여전히 무슨 목표를 달성할 지에 대한 최종결정은 지도자가 내리는 유형이다.

 

 

참여적 리더십(낮은 과업 행동, 높은 관계 행동, S3)

 

- 관계지향적 행동은 높으나 과업지향적 행동은 낮게 발휘하는 리더십 유형으로, 좀 더 민주형의 행동을 보인다.

 

- 참여적 리더는 의사결정 과정에서 부하와 의견을 교환하면서 조정한다. 

 

 

위임적 리더십(낮은 과업 행동, 낮은 관계 행동 S4) :

 

- 관계지향적 행동도 낮으며 과업지향적 행동도 낮게 발휘하는 리더십 유형으로, 적극적인 민주형의 행위를 보인다. 즉, 의사결정과 업무수행 책임을 부하에게 위임한다.

 

- 이 지도자형은 성숙도가 높은 부하에게 발휘하면 바람직한 유형이다.

 

 

 

 

상황적 리더십 이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상황적 리더십 이론(狀況的 - 理論, 영어: situational leadership theory) 또는 상황적 리더십 모델(狀況的 - , 영어: situational leadership model)은 리더십 스타일을 부하직원

ko.wikipedia.org

 

 

300x250

 

 

 

2025.02.18 - [이야기가 있는 정원, 산업 및 조직심리] - ✔[산업 및 조직 심리학] 직무 동기와 리더십⑩(리더십 이론의 리더십 연구의 유형, 접근 방법, 특성, 행동, 상황이론, 접근 방법, 개념, 리더의 특성, trait behavior theory, 임파워먼트)

 

✔[산업 및 조직 심리학] 직무 동기와 리더십⑩(리더십 이론의 리더십 연구의 유형, 접근 방법,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직무 동기와 리더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리더십 이론의 개념 및 특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5.02.12 - [이야기가

narrare3.tistory.com

 

 

 

■ 다음 시간에 계속, 직무 동기와 리더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및 참조 : [산업 및 조직 심리학] 직무 동기와 리더십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