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야기가 있는 정원, 산업 및 조직심리

✔[산업 및 조직 심리학] 직무 동기와 리더십⑫(자유방임형 리더십, 개념, 장단점, 아이오와 대학 연구의 종합, 오하이오 주립 대학의 연구, 배려 구조주도 리더십, 특징)

by 이야기가 있는 정원 2025. 2. 26.
728x90
반응형
728x170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직무 동기와 리더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리더의 자질 및 특성, 특성 이론의 한계점, 전제형, 민주형 리더십 장단점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5.02.20 - [이야기가 있는 정원, 산업 및 조직심리] - ✔[산업 및 조직 심리학] 직무 동기와 리더십⑪(리더의 자질, 특성, 특성 이론의 한계점, 재조명, 버나드, 깁슨, 카츠 리더십,아이오와 대학 연구, 전제형, 민주형 리더십 장단점)

 

✔[산업 및 조직 심리학] 직무 동기와 리더십⑪(리더의 자질, 특성, 특성 이론의 한계점, 재조명,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직무 동기와 리더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리더십 이론의 리더십 연구의 유형, 접근 방법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

narrare3.tistory.com

 

 

 

㉰ 자유방임형 리더십 : 

 

ⓐ 자유방임형 리더십의 개념 :

 

- 자유방임형 리더는 조직의 계획이나 운영상의 결정에 관여하지 않고 국외자(아웃사이더)로 행동하며, 요청을 받았을 때에만 참여한다.

 

- 의사결정권이 구성원 개개인에게 주어지는 연구소와 같은 조직에서 많이 볼 수 있다.

 

- 자유방임형 리더는 허용적이고 통제가 전혀 없다. 구성원의 요청이 있을 때 지지를 함으로써 동기부여시킨다. 거의 지시를 하지 않고, 비평을 하지 않으며, 의사소통의 통로가 다양하다.

 

- 자유방임형 리더십은 집단 구성원의 자의적 활동을 허용하는 유형으로, 리더 자신이 역할을 포기하는 소극적인 리더십 유형이다.

 

- 자유방임형 리더십은 '우리'보다 '나', '너'를 강조한다.

 

 

자유방임형 리더십의 장점 :

- 개인 선택의 자유, 제한된 상황에서 특정 목표달성에 필요한 창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 모든 구성원들이 동기부여되어 있고 자기지시적일 때 자유방임형 리더십은 가장 많은 창의성과 생산성을 산출해낼 수 있다.

- 문제가 잘 규명되지 않고 대안적 문제해결이 필요할 때 적합하다.


자유방임형 리더십의 단점 :

- 비지시적 리더십이기 때문에 불안정, 불구조화, 비효율성과 혼돈을 초래한다.

- 어떤 집단에서는 무감동, 무관심을 초래할 수 있다.

 

 

728x90

 

 

 

㉱ 아이오와 대학 연구의 종합 :

 

ⓐ 가장 바람직한 리더십 유형은 중간에 위치한 민주형 리더십이다.

 

ⓑ 생산성 측면은 평상시에는 민주형 리더십이, 응급상황이나 위기상황 하에서는 전제형 리더십이 더 좋게 나타난다.

 

ⓒ 자유방임형 리더십은 어느 경우에서나 가장 나쁜 행태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White & Lippit의 세 가지 리더십 유형은 각각 장점과 단점을 갖고 있으므로 어느 것이 다른 것보다 무조건 더 좋다고 말할 수 없다.

 

ⓓ 그러므로 융통성과 상황을 고려하여 아래의 세 가지 유형을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좋다.

 

 

구 분 전제형 민주형 자유방임형
특 성 - 구성원에 대한 강한 통제

- 강제로 구성원을 동기부여

- 명령조로 지시

- 상의하달식 의사소통(하향식)

- 독단적 의사결정

- 직위의 차이 강조

- 처벌을 목적으로 비판

- 구성원에 대한 통제 최소화

- 경제적 보상, 자아보상 → 동기부여

- 제안과 안내로 지시

- 상의하달식 하의상달식 의사소통(수평적 의사소통)

- 의사결정에 구성원 참여

- '우리'를 강조

- 건설적 비평


- 허용적이고 통제가 전혀 없음

- 구성원의 요청이 있을 때 지지 → 동기부여

- 지시를 거의 하지 않음

- 의사소통 통로 다양

- 의사결정에 구성원 참여

- 비평하지 않음

- '나', '너'를 강조

- 전문가 집단(연구소 등)
장 점 - 예측 가능한 안정된 집단활동

- 혼돈 완화 → 생산성 증대
- 구성원들 간 협동과 조정이 필요할 때 효과적 - 모든 구성원이 동기부여되고 자기지시적일 때 가장 많은 창의성과 생산성을 산출
단 점 - 창의성, 자기 동기화, 자율성 등이 부족 - 시간소요가 많음

- 신속한 결정 시 혼돈 야기
- 비지시적 → 혼돈초래

- 무감동, 무관심 야기

 

 

 

②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연구 :

 

194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연구는 리더 행동의 결정 요인을 조사하고 리더십 유형이 작업 집단의 업적과 만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애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핼핀, 위너 등 오하이오 대학팀은 배려(고려, consideration)와 구조 주도(구조화, initiating structure)라는 2차원을 가진 평면 형태의 리더십 유형을 개발하였다.

 

 

반응형

 

 

구조주도(구조화)

[오하이오 주립 대학의 배려 - 구조주도 리더십 행동 유형]

 

 

 

300x250

 

 

 

㉮ 배려 - 구조주도 리더십 :

 

ⓐ 배려(고려) 행동 :

 

지도자와 종업원 간의 관계에서 신뢰, 우정, 지원, 관심을 드러내기 위해 의사소통을 하는 정보로, 친숙하고 지시적인 방법으로 행동하기, 타인의 복지 추구, 다른 사람의 의견에 귀기울이기, 제안을 기꺼이 받아들이기 등의 활동을 의미한다.

 

ⓑ 구조주도(구조화) 행동 :

 

지도자가 종업원의 업무수행에 기획, 조직, 지시, 통제하기 위해 행동하는 정보로, 과업의 할당, 절차 규명, 하한선 설정, 표준 유지, 새로운 접근 제안, 활동 조정 등의 활동 등을 말한다.

 

 

㉯ 오하이오 주립 대학 연구의 특징 :

 

ⓐ 배려와 구조 주도라는 두 가지의 지도자적 행동을 단일한 연속 선상의 두 점으로 보지 않고, 두 개의 독립된 별개의 차원으로 보았다.

 

ⓑ 배려 - 구조 주도 리더십은 평면 위에 네 가지의 리더십 유형이 도출되며, 배려가 높고 구조 주도도 높은 유형(II형)이 가장 바람직한 리더십 유형이다.

 

ⓒ 오하이오 주립 대학 연구는 이후 블레이크와 무턴의 관리격자 이론,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 대응 리더십 이론에 영향을 주었다.

 

 

■ 다음 시간에 계속, 직무 동기와 리더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및 참조 : [산업 및 조직 심리학] 직무 동기와 리더십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