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야기가 있는 정원, 산업 및 조직심리

✔[산업 및 조직 심리학] 직무 동기와 리더십⑦(로크의 목표 설정 이론, 개념, 스티어스의 효과적 목표의 특성, 목표 설정 이론의 일반 모델, 관리에의 적용, 피터 드러커 경영의 실제)

by 이야기가 있는 정원 2025. 2. 5.
728x90
반응형
728x170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직무 동기와 리더십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아담스의 공정성 이론, 페스팅거의 인지부조화, 호만스의 분배성 이론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5.02.01 - [이야기가 있는 정원, 산업 및 조직심리] - ✔[산업 및 조직 심리학] 직무 동기와 리더십⑥(아담스의 공정성 이론, 핵심 요소, 세 가지 측면, 개념, 페스팅거 인지부조화, 호만스 분배성 이론, 분배적, 절차적, 관계적 공정성, 한계점)

 

✔[산업 및 조직 심리학] 직무 동기와 리더십⑥(아담스의 공정성 이론, 핵심 요소, 세 가지 측면,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직무 동기와 리더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브룸의 기대 이론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5.01.23 - [이야기가 있는 정원, 산

narrare3.tistory.com

 

 

 

③ 로크(E. A. Locke)의 목표 설정 이론(goal-setting theory) :

 

㉮ 목표 설정 이론의 개념 :

 

ⓐ 목표 설정 이론은 명확한 목표와 불명확한 목표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것으로, 미국의 심리학자이자 이론가인 로크(E. A. Locke)가 발전시켰다. 

 

ⓑ 로크의 목표 설정 이론은 조직에서 가장 효과적이고 널리 적용되는 동기 부여 이론 중의 하나이다.

 

 

 

 

 

Edwin Locke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American psychologist (b.1938) Edwin A. Locke (born May 15, 1938) is an American psychologist and a pioneer in goal-setting theory. He is a retired Dean's Professor of Motivation and Leadership at the Robert H. Smith S

en.wikipedia.org

 

 

 

 

 

 

ⓒ 목표 설정 이론은 처음에는 하나의 이론으로 출발한 것이 아니라 목표 설정의 중요성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이론적 가치가 확인됨에 따라 체계를 갖추게 되는 이론이며, 점차적으로 *목표 관리(MBO), 기획 예산 제도, 경영 정보 관리는 물론 체제 분석, 전략 기획 등과 같은 경영 기법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728x90

 

 

 

목표 관리 또는 목표에 의한 관리 : 

목표에 의한 관리(MBO, Management By Objective)는 기존의 상사에 의한 부하의 업적평가 대신 부하가 자기 자신 혹은 상위자와의 협의에 의한 양적으로 측정 가능한 관리기법으로 구체적이고 단기적인 업적목표를 설정하여 스스로가 그러한 업적 목표달성의 정도를 평가해서 그 업적을 보고하게 하는 방법이다. 

이는 *피터 드러커가 《경영의 실제, The Practice of Management》에서 주장한 방법이다.

 

* 출처 : [위키백과] 목표에 의한 관리

 

 

 

 

경영의 실제 | 피터 드러커 - 교보문고

경영의 실제 |

product.kyobobook.co.kr

 

 

✅ 피터 드러커 :

미국의 경영학자. 현대 경영학을 창시한 학자로 평가받으며 경제적 제원을 잘 활용하고 관리하면 인간생활의 향상과 사회발전을 이룰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는 이런 신념을 바탕으로 한 경영관리의 방법을 체계화시켜 현대 경영학을 확립하였다.

 

*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피터 드러커 

[Peter Ferdinand Drucker]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목표 설정 이론은 목표의 특성에 따라, 목표가 어떻게 설정되고 목표 달성이 어떻게 추구되느냐에 따라 구성원의 동기행동이 달라지고, 과업의 성과가 달라진다는 이론이다.

 

ⓔ 인간은 자신이 지닌 가치관에 따라 정서와 욕망이 형성되고 이를 토대로 의도나 목표가 설정되면 이것이 실제 행위나 성과의 결정 요인으로 작용한다.

 

ⓕ 목표가 달성된 경우에는 만족과 더욱 높은 동기를 가져오지만, 목표가 달성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좌절과 더욱 낮은 동기를 가져온다.

 

ⓖ 행위는 개인의 가치관과 개인의 기대치에 의해 결정되며 목표 달성의 몰입도는 *자기효능감과 관련된다.

 

 

반응형

 

 

2021.06.21 - [이야기가 있는 정원, 성격심리] - ✔자기효능감과 통제소재①(반두라의 자기효능감, 인지적 중재, 사회인지이론, 자기조절, 자기평가, 정적 상관, 자기효능감의 세 가지 차원, 효과,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자기효능감과 통제소재①(반두라의 자기효능감, 인지적 중재, 사회인지이론, 자기조절, 자기

■ 말씀드렸던대로, 오늘부터는 반두라의 사회인지이론, 그리고 자기효능감과 통제소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반두라가 제시한 사회학습이론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

narrare3.tistory.com

 

 

 

㉯ 효과적 목표의 특성 :

 

스티어스(R. M. Steers) 등이 제시한 효과적인 과업 목표의 특성은 아래와 같다.

 

목표의 구체성 : 구체적인 목표가 일반적인 목표보다 높은 성과를 가져온다.

 

목표의 곤란성 : 쉬운 목표보다는 다소 어려운 목표가 동기화와 높은 성과를 가져온다.

 

목표 설정에의 참여 : 상부에서 제시된 목표보다 구성원들이 목표 설정 과정에 참여 할 때 직무 만족도가 높아지고, 높은 성과를 가져온다. 또한 목표 설정에의 참여는 구성원의 목표의 수용도를 높여준다. 

 

 

300x250

 

 

목표의 수용성 : 목표의 수용성이 높을수록 높은 성과를 가져온다. 리더가 일방적으로 부여한 목표보다는 부하직원이 수락한 목표가 높은 성과를 가져온다.

 

피드백과 보상 : 노력에 대한 피드백의 제공과 보상이 동기부여에 중요하다.

 

결정 지향 목표 : 결과 지향 목표가 과정 지향 목표보다 업무 수행 능력을 증진시켜 준다. 

 

동료 간의 경쟁 : 목표 달성에 대한 동료 간의 경쟁이 성과를 촉진한다. 

 

 

㉰ 목표 설정 이론의 일반 모델 :

 

가치관 → 정서와 욕망 → 의도(목표) → 지시된 주의, 동원된 노력, 지속성 전략 → 행위 → 성과

 

 

㉱ 목표 설정 이론의 관리에의 적용 :

 

목표 설정 이론에 따라 동기부여를 시키려면 구체적이고 도전감을 유발하며 수용될 수 있고 달성 가능한 목표를 제시하고 목표 설정 과정에 종업원이 참여하게 되면 목표를 잘 수용하게 되고 목표 달성을 위한 동기부여가 잘 될 수 있다.

 

 

 

■ 다음 시간에 계속, 직무 동기와 리더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및 참조 : [산업 및 조직 심리학] 직무 동기와 리더십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