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직무 동기와 리더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맥클리랜드의 성취 동기 이론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산업 및 조직 심리학] 직무 동기와 리더십③(맥클리랜드 성취 동기 이론, 개념, 3가지 욕구, 친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직무 동기와 리더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앨더퍼의 ERG 이론, 허즈버그의 동기 위생 2요인론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
narrare3.tistory.com
④ 맥그리거의 X · Y이론 :
㉮ 맥그리거(D. McGreger)의 X ·Y 이론의 개념 :
ⓐ 미국의 경영학 교수이자 이론가인 맥그리거는 직원들의 인간관을 X이론과 Y이론적 인간관으로 구분하고, 그 유형에 따라 적절한 동기부여 및 관리전략을 수립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 맥그리거가 X이론적 인간관과 Y이론적 인간관을 구분하는 기준은 의외로 간단하다. 맥그리거는 전통적 관리 이론에서의 인간관을 X이론이라고 하였고, 전통적 인간관과 대비되는 현대적인 인간관을 Y이론이라고 명명하였다.
㉯ X · Y이론적 인간관 :
ⓐ X이론적 인간관의 특징 :
- 명령과 통제에 따른 전통적 견해인 X이론적 인간관에서는 인간의 본성은 게으르고 일하기를 싫어하며, 무책임하고 일하기를 싫어한다고 하였다.
- 또한 이기적이고 조직의 목적에 무관심하며 주오 안정과 경제적 만족을 추구한다. 한마디로 안좋은 것은 모두 X이론적 인간관의 내용이다.
ⓑ Y이론적 인간관의 특징 :
- 자율과 분권에 따른 현대적 견해인 Y이론적 인간관에서는 인간은 부지런하고 책임과 자율성 및 창의성을 발휘하기를 원하고 조직 목적에 적극 참여하여 자아실현을 추구하며, 자신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 한마디로 좋은 것은 모두 Y이론적 인간관의 내용이다.
ⓒ 인간관별 관리 전략 :
구 분 | 인간관 | 관리 전략 |
X이론 | - 자기중심적이고 수동적 행동을 한다. - 야망이 없고, 책임을 회피하며 지휘나 통제 받기를 좋아한다. - 조직문제를 해결하는 데 창의력을 발휘하기를 싫어한다. - 동기유발은 생리적 욕구나 안전의 욕구의 단계에서만 가능하다. - 안정을 추구하고 변화를 싫어한다. - 인간은 선천적으로 일하기를 싫어한다. - 사람은 엄격히 통제되어야 하고 조직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강제되어야 한다. |
- 폐쇄적 . 정태적 . 기계적 구조 - 권위적 . 전제적 리더십 - 강제, 통제, 명령, 위협, 벌칙 - 경제적 보상 체계의 확립 및 강화 |
Y이론 | - 일은 작업 조건만 잘 부여해 두면 놀이나 쉬는 것과 같이 지극히 자연스러운 것이다. - 인간은 일을 좋아한다. 즉, 사람들은 적절히 동기유발이 되면 자율적이고 창의적으로 일을 한다. - 인간은 창의력을 지닌 존재이고 조직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창의력은 누구나 가지고 있다. - 인간은 자기규제 능력이 있고 조직목표를 달성하고 있는 데는 자기통제가 필요하다. - 인간은 능동적이며 책임질 줄 아는 존재이다. - 동기유발은 모든 욕구단계에서 가능하다. |
- 개방적 . 동태적 . 유기적 구조 - 참여적 . 자유방임적 리더십 - 자기평가제도 - 분권화, 재량권부여, 권한위임 - 비공식 조직의 활용 - 인간적 . 자발적 처리 - MBO, 의사결정의 민주화 |
Theory X and Theory Y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Theories of human motivation Mnemonic device for the two theories: a person refusing to work ("X") and a person cheering the opportunity to work ("Y") Theory X and Theory Y are theories of human work motivation and man
en.wikipedia.org
⑥ 아지리스(C. Argyris)의 성숙 - 미성숙 이론 :
㉮ 성숙 - 미성숙 이론의 개념 :
ⓐ 미국의 경영 이론가이자 대학 교수인 아지리스의 성숙 - 미성숙 이론은 개인의 인격 성숙 상태를 '성숙(maturity)'과 '미성숙(immaturity)'의 연속 모형으로 설명한 이론이다.
ⓑ 개인과 조직의 통합을 모색하기 위해 Y이론에 입각한 관리를 강조하였다.
㉯ 성숙과 미성숙 요소의 구분 :
✅ 미성숙 :
- 수동적 활동
- 의존적 활동
- 단순한 행동
- 변덕스럽고 얕은 관심
- 단기적 전망
- 종속적 지위에 만족
- 자기의식의 결여
↓
✅ 성숙 :
- 능동적 활동
- 독립적 활동
- 다양한 행동
- 깊고 강한 관심
- 장기적 전망
- 대등 또는 우월한 지위에 만족
- 자기의식 또는 자기 규제의 가능성
ⓐ 미성숙한 직원일수록 동기부여가 낮고 성숙한 직원일수록 동기부여가 높다.
ⓑ 수동적 활동일 때보다 능동적 활동일 때 동기부여가 높다.
ⓒ 의존적 활동일 때보다 독립적 활동일 때 동기부여가 높다.
ⓓ 개인의 욕구와 조직 사이에 불일치가 클수록 긴장, 갈등, 불만족이 커진다.
㉰ 성숙 - 미성숙 이론의 시사점 :
아지리스는 개인과 조직의 목표 달성이 상호 모순 관계에 있지 않고 조화와 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개인의 인격을 성숙시키는 방향으로 조직 구조와 관리 방법을 확립해야 한다고 시사하고 있다.
[내용 이론 간의 비교]
맥그리거 | 매슬로 | 맥클리랜드 | 앨더퍼 | 허즈버그 | 셰인 |
x이론 | 생리적 욕구 | 생존의 욕구(E) | 위생 요인(불만) | 경제 . 합리적 인간관 |
|
안전 욕구 | |||||
Y이론 | 애정 . 사회적 욕구 | 친교 욕구 | 관계의 욕구(R) | 동기 요인(만족) | 사회인관 |
존경의 욕구 | 권력 욕구 | ||||
자아실현 욕구 | 성취 욕구 | 성장의 욕구(G) | 자아실현관 | ||
Z이론 | 복잡인관 |
■ 다음 시간에 계속, 직무 동기와 리더십에 대해 알아보겠다.
* 출처 및 참조 : [산업 및 조직 심리학] 직무 동기와 리더십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