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야기가 있는 정원, 산업 및 조직심리

✔[산업 및 조직 심리학] 직무 동기와 리더십⑤(동기부여의 과정 이론, 브룸의 기대 이론, 개념, 기본 가정, 주요 변수, 기대, 수단성, 유인성, 유인가, 기대 이론의 공식, 적용)

by 이야기가 있는 정원 2025. 1. 23.
728x90
반응형
728x170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직무 동기와 리더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맥그리거의 XY이론, 아지리스의 성숙-미성숙 이론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5.01.21 - [이야기가 있는 정원, 산업 및 조직심리] - ✔[산업 및 조직 심리학] 직무 동기와 리더십④(맥그리거의 X·Y이론, X이론적, Y이론적 인간관, 아지리스의 성숙-미성숙 이론,개념, 특징, 내용 이론 간의 비교, 인간관별 관리 전략)

 

✔[산업 및 조직 심리학] 직무 동기와 리더십④(맥그리거의 X·Y이론, X이론적, Y이론적 인간관, 아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직무 동기와 리더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맥클리랜드의 성취 동기 이론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5.01.16 - [이야기가

narrare3.tistory.com

 

 

 

 

(3) 동기부여의 과정 이론 : 

 

① 브룸(V . H. Vroom)의 기대 이론(Expectancy Theory) :

 

㉮ 브룸의 기대 이론의 개념 : 

 

- 기대 이론은 쿠르드 레빈(K. Lewin)의 장 이론(field theory)과 벡터 심리학에 근거하는데, 레빈은 인간의 동기를 연구한 인물이다. 이후 기대 이론을 작업 현장에 체계적으로 도입한 학자는 브룸이고, 포터(Porter) 등에 의해 더욱 발전되었다.

 

 

2022.11.25 - [이야기가 있는 정원, 동기와 정서] - ✔행동 주의, 사회적 학습 이론⑧(일차적, 이차적, 학습된 동기, 레빈의 장이론, 생리적 욕구, 심리적 욕구, 잠재적 욕구, 미완성 효과, 자이가르닉 효과, 유인가, 유인성)

 

✔행동 주의, 사회적 학습 이론⑧(일차적, 이차적, 학습된 동기, 레빈의 장이론, 생리적 욕구, 심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행동주의 및 사회적 학습 이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인지 주의, 기대 가치 이론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2.11.23 -

narrare3.tistory.com

 

 

 

 

벡터심리학

벡터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동기지움의 분석을 행하는 심리학. 심리적 현상에 역학(力學)인 벡터개념 및 법칙을 적용시키려고 한 K.레빈의 학설이다. 토폴로지심리학과 함께 레빈의 심리학 체계

terms.naver.com

 

 

 

- 기대 이론에 의하면 동기는 사람들이 어떤 일을 원하는 정도(유인가)와 그 일을 성취할 수 있는 가능성의 정도(기대치)에 달려있다고 한다.

 

- 브룸의 기대 이론은 어떤 직원이 행동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가능한 행동 대안을 평가하여 자기 자신이 가장 중요하고 가치 있는 결과를 가져오리라고 믿는 행동 전략을 선택한다는 이론이다. 

 

- 기대 이론에서 동기부여라는 것은 여러 대안들이 있을 경우 그 대안들이 갖는 힘이 큰 쪽으로 행위가 이루어지는 선택의 지배 과정을 의미한다.

 

728x90

 

 

㉯ 기대 이론의 기본 가정 :

 

브룸의 기대 이론은 다음과 같은 가정을 전제로 전개된다.

 

- 내적 욕구와 외부 환경 두 요인 모두는 인간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 행동은 개인의 의사 결정이다.

 

- 인간은 결과에 대한 자신의 인지를 중심으로 행동한다.

 

 

㉰ 기대 이론의 주요 변수 :

 

브룸은 '기대(expectancy)', '수단성(instrumentality)', '유의성(valence)'이라는 세 가지 변수가 행동을 선택하는 중요한 동기요인이 된다고 보았다. 

 

 

ⓐ 기대(expectancy) : 성과에 대한 기대 

 

- 어떤 행동이나 노력의 결과에 의해 나타나는 성과에 대한 신념을 의미한다.

 

- 자신이 노력을 투입하면 얼마의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 주관적 확률이다.

 

- 과업을 수행하기 위한 노력은 실제로 성과가 나타날 것이라는 기대에 좌우된다.

 

- 목표 달성을 위해 자신의 능력과 가능성에 대해 인지하는 정도로, 목표라는 실체보다 '상황의 지각(perception of situation)'에 따라 결정된다.

 

- 기대는 일정한 노력을 기울이면 특정한 결과를 달성하리라고 믿는 가능성으로 투입된 노력에 의해 어떠한 성과가 나타나리라고 보는 것에 대한 완전한 의심인 '0'에서부터 완전한 믿음을 의미하는 '1'사이에 존재한다.

 

- 만약 일정한 노력이 자기 자신에게 어떠한 결과를 반드시 가져온다고 믿는다면 기대의 수치는 '1'이 되며, 자신이 아무리 노력해도 달성 가능성이 전혀 없다고 믿는다면 기대의 수치는 '0'이 된다.

 

 

반응형

 

 

 

ⓑ 수단성(instrumentality) : 보상에 대한 기대

 

- 과업 수행은 보상을 획득하기 위한 수단이 됨을 전제로 어떠한 일의 결과가 가져올 보상에 대한 확률을 의미한다.

 

- 제 1차 결과(성과)와 제 2차 결과(보상) 간의 기대치로 1차 결과(성과)가 2차 결과(보상)를 유도할 것이라는 믿음의 정도이다.

 

- 높은 성과에 의한 보상의 확률이 높아지면 수단성의 값이 오르지만, 높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보상이 이루어질 것 같지 않으면 수단성의 값은 내려간다.

 

- 특정 수준의 성과가 바람직한 보상을 가져오리라고 믿는(기대하는) 가능성으로, 높은 성과가 항상 낮은 보상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완전한 믿음인 '-1'에서부터 높은 성과가 항상 높은 보상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완전한 믿음인 '1'사이에 존재한다.

 

- 만약 어떤 기업 조직이 보상체계가 잘 정립되어 있어, 직원들의 성과에 대한 보상이 잘 이루어진다면, 이 조직에 소속된 직원들은 수단성의 값은 '1'에 가까울 것이나, 보상체계가 정립되어 있지 않아 성과에 대한 보상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조직에 소속된 직원들의 수단성의 값은 '-1'에 가깝게 된다.

 

 

ⓒ 유의성(valence) : 보상에 대한 선호의 정도, 매력의 정도

 

- 어떤 제 2차 결과(보상)에 대한 개인이 평가하는 중요성과 가치의 정도로, 이는 개인의 욕구에 따라 다르며, 긍정적이거나, 부정적 혹은 가치중립적일 수 있다.

 

- 개인이 어떤 특정 행동 대안의 결과인 보상에 대해 갖는 매력의 강도로 지각된 가치이다. 

 

- 개인과 대상이 있다고 할 때, 개인 중심에서 보면 선호도(preference)라고 할 수 있고, 대상 중심에서 보면 유의성(유인가)라고 할 수 있다.

 

- 유의성(유인가)는 개인의 욕구를 반영하며, 연봉인상, 물질적 보상, 승진, 인정, 해외연수 기회와 같은 긍정적(적극적) 유의성과 압력이나 벌 등과 같은 부정적(소극적) 유의성으로 구분된다.

 

- 궁극적으로 보상이 개인에게 얼마나 매력적인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개인이 보상에 대해 아무런 매력을 느끼지 못하는 '-1'에서부터 가치중립인 '0', 그리고 보상을 얻지 않았을 때보다 더 선호를 느끼게 되는 '1'사이에 존재한다.

 

 

㉱ 기대 이론의 공식 : 

 

✔동기(M : motivation) = 기대(E) × 수단성(I) × 유의성(V)

 

 

300x250

 

 

 

- 위에서 설명한 기대 이론의 3가지 요소인 기대감, 유인가, 수단성의 값이 각각 최대가 되면 최대의 동기부여가 된다.

 

- 그러나 이들 중 어느 하나라도 '0'(zero)이 되면 전체 값이 '0'(zero)이 되며 동기부여는 되지 않는다. 높은 수준의 동기부여를 위해서는 각 요소들 중 어느 하나라도 '0'의 값을 가져서는 안 되며, 성공적인 동기부여를 위해서는 세 요소 모두 적절히 조합되어야 한다.

 

- 따라서 개인에게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그 개인의 욕구뿐만 아니라 일정한 노력을 기울이면 달성할 수 있다는 합리적인 목표 수준이 제시되어야 하며, 목표 달성 시에도 반드시 일정한 보상이 주어져야 하고 또한 그 보상은 그 사람에게 매력적인 가치가 있어야 한다.

 

㉲ 기대 이론의 적용 :

 

- 기대 이론은 종업원들이 열심히 일하면 소망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할 때, 더욱 열심히 일한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 종업원들의 동기부여가 잘 되려면 결과가 매력적임을 발견할 필요가 있고, 어떠한 성과가 원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할지와 그리고 그 성과는 노력을 통하여 달성가능한지를 숙고하여야 한다.

 

- 관리자가 직원들을 동기유발하려면 성과와 보상간의 연관성을 분명히 해야 하고, 실제로 바람직한 행동에 대한 보상을 해주어야 한다.

 

 

 

 

Victor Vroom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Canadian psychologist (1932–2023) Victor Harold Vroom (August 9, 1932 – July 26, 2023) was a Canadian psychologist and business school professor at the Yale School of Management. Vroom was born in Montreal, Quebec

en.wikipedia.org

 

 

 

 

■ 다음 시간에 계속, 직무 동기와 리더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및 참조 : [산업 및 조직 심리학] 직무 동기와 리더십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