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야기가 있는 정원, 학습 심리

✔[학습 심리학] 학습의 본질⑥(인간의 학습과 동물 연구, 동물 실험 효율성, 반론, 학습 연구의 역사, 인식론,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합리주의, 생득론, 경험주의, 연합의 법칙)

by 이야기가 있는 정원 2025. 4. 15.
728x90
반응형
728x170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학습의 본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조작적 정의, 독립 변인, 종속 변인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5.04.12 - [이야기가 있는 정원, 학습 심리] - ✔[학습 심리학] 학습의 본질⑤(연구 용어, 조작적 정의, 독립, 종속 변인, 실험 설계, 실험 집단, 통제 집단, 학습 실험에서 고려사항, 상관 기법, 실험 기법)

 

✔[학습 심리학] 학습의 본질⑤(연구 용어, 조작적 정의, 독립, 종속 변인, 실험 설계, 실험 집단,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학습의 본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학습 연구의 종류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5.04.07 - [이야기가 있는 정원, 학

narrare3.tistory.com

 

 

 

 

(3) 인간의 학습과 동물 연구 :

 

 

① 동물 실험의 효율성 : 

 

㉮ 연구자들은 대개 동물 연구가 인간 행동을 더 잘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믿고 있다.

 

㉯ 동물 연구가 중요한 이유

 

- 동물의 경우 유전의 영향을 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 동물은 실험자가 의도하지 않은 학습 경험의 영향을 크게 줄일 수 있다.

 

- 인간에게는 윤리적 이유 때문에 할 수 없는 실험을 동물을 대상으로는 할 수가 있다.

 

 

728x90

 

 

② 동물 연구의 반론 : 

 

㉮ 동물 연구의 결과가 인간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말해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

 

- 동물 연구로 얻어지는 결과는 인간 행동에 대한 가정을 하게 한다. 그리고 인간을 대상으로 한 기술 연구나 실험 연구를 통해 지지를 받게 된다. 

 

㉯ 실용적인 가치가 없다는 것이다

 

- 동물 연구는 단지 이론가들에게만 유용한 사실을 제공한다는 반론은 사실이기도 하지만 연구 결과들이 종종 실용적 가치를 보이는데 동물 연구에서 나온 원리들이 아동 양육이나 사업 등의 분야에서 잘 이용되어 오고 있다. 

 

- 또한 동물들의 수의학적 관리를 개선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 비윤리적이라는 주장이다 :

 

- '동물권리보호' 관점은 인간이 쥐를 대상으로 실험할 권리가 없는 것과 똑같이, 인간도 쥐를 대상으로 실험할 권리가 없다고 주장한다.

 

- 2011년 미국 연구위원회는 침팬지와 인간과의 유전적 유사성으로 인해 윤리적인 문제를 일으킨다는 결론을 내렸다. 다른 방식으로 답할 수 없는 문제들에만 침팬지를 사용하도록 엄격하게 제한하였다.

 

- 그러나 동물 연구가 아니더라도 우리와 동물의 이익을 위해서 다양한 방식으로 동물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또한 다른 동물들은 동물과 인간 모두의 삶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학습과 행동의 문제에 답을 주는 일을 하기도 한다.

 

 

㉱ 미국 심리 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및 기타 단체들은 동물 연구 수행에 대한 지침을 마련하였다. 

 

㉲ 동물 연구에 대한 비판론자들 둥 일부는 '컴퓨터 모사법(computer simulation)'으로 동물 연구를 대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어떤 변인이 행동에 미치는 효과가 무엇인지 알기 전까지는 그 변인의 효과를 모사하도록 프로그램을 짤 수가 없다.

 

반응형

 

 

 

3. 학습 연구의 역사

 

 

(1) 초기의 학습 이론 : 

 

① 인식론(Epistemology) :

 

㉮ 인식론은 지식의 본질을 연구하는 철학의 한 분야이다.

 

㉯ 인식론은 지식이란 무엇인가?, 지식의 한계는 무엇인가?,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안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등의 질문을 던진다.

 

㉰ 합리주의자들은 지식을 얻기 위해 반드시 마음이 적극적으로 개입(사고, 추론, 연역)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추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추론(推論, inference)은 이미 알고 있는 또는 확인된 정보로부터 논리적 결론을 도출하는 행위 또는 과정이다. 따라서 추론(推論)은 '어떠한 판단을 근거로 삼아

ko.wikipedia.org

 

 

 

㉱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는 합리주의의 전형적인 예가 되며, 두 사람은 지식의 본질에 대한 철학적 태도를 마련하였다.

 

플라톤의 견해는 생득론인데 즉, 지식이 유전되는 것이라는 의미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는 경험주의인데 즉, 지식은 감각적인 경험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라는 의미이다. 

 

㉴ 그렇다고 해서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가 상대의 견해를 완전히 반대한 것은 아니다.

 

㉵ 생득론은 유전되는 몇 가지 특성(그 중 하나가 지식)과 태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생득적 지식은 종종 감각적 경험에서 나온다고 보았다.

 

㉶ 플라톤은 물리적 세계의 모든 대상은 그들을 유발한 상응하는 추상적 이데아(idea) 혹은 형상(form)을 가진다. 추상적 개념은 물질과 상호작용한다(예를 들어 가방이라고 하는 추상적 개념은 우리가 가방이라고 부르는 물질과 상호작용한다는 것이다).

 

㉷ 아리스토텔레스는 감각적인 경험으로부터 지식을 이끌어내는 추론 능력이 생득된다는 입장을 보였다.

 

㉸ 경험주의자들은 모든 지식의 바탕이 감각적 정보라고 하였다. 따라서 아리스토텔레스를 경험주의자로 볼 수도 있다.

 

㉹ 아리스토텔레스는 지식에 대한 경험주의적 견해를 정교화해 생각이 인접을 통해 연합된다고 설명하였는데, 이러한 철학적 견해를 *연합주의(Associationism) 라고 한다.

 

 

연합의 법칙 :

감각적 경험에 의해 축적된 생각들은 아래의 4가지 법칙에 따라 다른 생각들을 축적시킨다고 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이다.

✔유사성의 법칙 : 경험이나 대상에 대한 회상이 비슷한 대상에 대한 회상을 이끌어내는 것

✔대비의 법칙 : 반대되는 대상에 대한 회상을 이끌어내는 것

✔인접의 법칙 : 함께 경험하였던 사물에 대한 회상을 이끌어내는 것

✔빈도의 법칙 : 두 사물이 자주 경험될수록 하나의 경험이 다른 경험을 더 자주 자극한다는 것

 

 

300x250

 

 

 

 

 

연합주의

심리적 연합 작용 과정을 기초로 인간의 의식을 설명하는 심리철학의 이론. 연합주의란 유기체의 인과 관계 원리에 기초한 학습 과정을 사고를 설명하는데 사용하는 이론이다. 연합주의자들은

terms.naver.com

 

 

 

 

 

인식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인식론(認識論, 영어: Epistemology)은 지식에 대한 제반 사항을 다루는 철학의 한 분야로서[1] 지식의 본질, 신념의 합리성과 정당성 등을 연구한다. 고대 그리스어

ko.wikipedia.org

 

 

 

■ 다음 시간에 계속,  학습의 본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및 참조 : [학습 심리학], 학습의 본질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