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야기가 있는 정원, 학습 심리

✔[학습 심리학] 학습의 본질②(학습의 중요성, 인간과 동물의 학습의 차이, 학습 연구의 의미, 종류, 고전적, 조작적 조건화, 스키너 상자, 강화인, 무조건 자극, 반응, 조건 자극, 반응)

by 이야기가 있는 정원 2025. 4. 1.
728x90
반응형
728x170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학습 심리학, 학습의 본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학습의 정의, 개념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5.03.27 - [이야기가 있는 정원, 학습 심리] - ✔[학습 심리학] 학습의 본질①(학습의 정의, 개념, 그레고리 킴블, 강화, 종 특유의 행동, 민감화, 습관화, 각인 뜻, 본능)

 

✔[학습 심리학] 학습의 본질①(학습의 정의, 개념, 그레고리 킴블, 강화, 종 특유의 행동, 민감화

◇ 오늘부터는 학습 심리학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우리는 흔히 "학습"이라고 하면 "(교실에서) 학생들이 무엇인가를 배우는 것"이라는 고정 관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학습 심리학은 교

narrare3.tistory.com

 

 

 

 

(2) 학습의 중요성 : 

 

 

① 인간과 동물의 학습의 차이 :

 

많은 동물들이 인간과 비교해서 무언가를 더 쉽고 잘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일테면 조류의 집 짓는 기술이나 계절에 따른 이동, 새끼를 키우는 방식 등은 이미 가지고 태어나는 것으로 보이는데, 따라서 이에 대해서는 인간이 배워야 할 수 있는 것보다 앞서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사람은 여러 면에서 조류보다 앞서 있는 것도 사실이다. 사람은 더 튼튼하고 아름답고 안전한 집을 짓는 것을 배울 수 있으며, 더 편리한 운송기술을 가지고 원하는 곳으로 이동할 수도 있고, 자녀를 더 잘 양육해서 이전 세대보다 더 건강하고 강하게 성장하도록 도울 수 있다.

 

조류는 수 세기 동안 행동해 온 방식을 그대로 유지하고 살아가지만, 사람은 많은 지식과 행동들을 다양한 행동들을 발전시키는 방식을 통해 지구상에 존재하는 어떤 종(種) 보다 더 많은 유연성과 적응력을 보인다.

 

 

728x90

 

 

인간의 행동은 조류의 그것처럼 본능적인 것이 대부분이 아니라, 많은 것들이 학습된 것이기 때문에 인간은 인간의 경험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인간은 어떤 행동이 성공적인 결과를 이끌고 그렇지 않은지를 발견하고, 그에 따라 자신의 행동을 수정할 수 있다. 즉, 이전 세대에서 경험한 지혜를 다음 세대에 넘겨주기 때문에 각 세대가 더 발전된 행동을 하는 것이다. 

 

인간 이외의 많은 동물들도 일생 동안 많은 것을 배운다. 생존과 관련된 것뿐 아니라 반려동물이 산책 전에 목줄을 매는 것이라든지 태국의 코끼리가 그림을 그리는 것도 학습으로 가능한 일이다.

 

그러나 동물들이 배울 수 있는 것은 한계가 있다. 인간은 다른 동물이 할 수 없는 방식으로 생각하고 배우는 능력을 물려받는 것으로 보인다.

 

인간이 사는 구체적인 환경은 인간이 어떤 지식과 기술을 배울 것인지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며 다양한 상황과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인간의 능력은 다른 동물들의 능력을 훨씬 능가한다.

 

 

② 학습 연구의 의미 :

 

㉮ 학습 원리에 대한 연구는 우리가 행하는 행동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학습 과정은 정상적이고 적응적인 행동에 대한 이해뿐 아니라 부적응적이고 비정상적인 행동에 대한 이해도 높여준다.

 

㉯ 학습 원리는 자녀의 양육에도 도움이 된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특성이라고 여기는 행동을 만드는 학습 경험에 대한 이해는 부모들이 자녀들을 바람직한 특성을 기르도록 하는 환경을 조직화하고 부적응적인 행동을 유도하는 학습 경험을 피할 수 있게 할 것이다.

 

㉰ 학습 원리는 교육 장면에서 실제적으로 유용할 수 있다. 현장에서 이용되는 여러 교육 프로그램들이 학습 과정에 대한 연구를 통해 밝혀진 원리들을 적용한 것들이다. 학습 과정에 대한 지식이 늘어나면 현장 교육도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될 것이다.

 

 

(3) 학습의 종류 : 

 

'조건화(conditioning)'는 행동을 변화시키는 과정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 특수한 용어이다. 많은 학습 이론가들은 조건화의 두 가지 유형, '고전적 조건화(classical conditioning)'와 '조작적 조건화(instrumental conditioning)'를 통해 복잡한 행동을 이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다른 학자들은 이 두가지에만 관심을 가지면 광범위한 인간의 행동을 간과하게 된다는 사실을 주장한다.

 

 

300x250

 

 

① 고전적 조건화(classical conditioning) : 

 

자극과 반응 사이의 자연적 생리적 관계를 이용하여 서로 관계가 없는 자극(음식, 종소리)에 대해서 동일한 반응(타액 반응)을 학습시킨 파블로프(Pavlov)의 유명한 실험을 근거로 하고 있다.

 

 

 

 

고전적 조건형성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반 파블로프의 조건형성 실험 구성 고전적 조건형성(古典的條件形成, 영어: classical conditioning, respondent conditioning, Pavlovian conditioning)은 행동주의 심리학의 이

ko.wikipedia.org

 

 

 

㉮ 개에게 음식을 제공했을 때 침을 흘린다는 것은 자연적 생리적 현상이다.

 

종을 치면서 음식을 주는 일을 반복하게 되면 종소리라는 자극과 침을 흘리는 반응 사이에 연관이 형성되어 결국 종만 쳐도 개가 침을 흘린다.

 

㉰ 이때 음식물은 '무조건 자극(unconditioned stimulus : US)', 침을 흘리는 반응은 '무조건 반응(unconditioned respond : UR)'이다.

 

㉱ 종소리를 듣고 침을 흘렸을 때 종소리는 '조건 자극(conditioned stimulus : CS)', 침을 흘리는 반응은 '조건 반응(conditioned respond : CR)'이라고 부른다.

 

 

 

2021.06.01 - [이야기가 있는 정원, 성격심리] - ✔고전적 조건화 이론①(행동주의 이론, 고전적 조건형성, 파블로프의 개 실험, 왓슨의 쥐 실험, 어린 앨버트 실험, 반응적 조건형성, 2차적 조건형성, 고차적 조건형성, 획득, 자극 일반화)

 

✔고전적 조건화 이론①(행동주의 이론, 고전적 조건형성, 파블로프의 개 실험, 왓슨의 쥐 실험,

◆ 오늘부터는 행동주의 이론의 세 가지 접근방법 중 '고전적 조건화 이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1. 고전적 조건화 이론의 개요 (1) 의의 및 특징 : ① 고전적 조건화 이론은 인간이 어떤

narrare3.tistory.com

 

 

 

(2) 조작적 조건화(instrumental conditioning) : 

 

㉮ 조작적 조건화에 대한 연구를 위해 *'스키너 상자(Skinner Box)'가 사용되었다.

 

 

 

 

스키너상자

동물(주로 쥐·비둘기)의 오퍼런트(자발적) 행동을 분석하기 위한 실험 장치. B.F.스키너가 고안하였으나, 그 자신은 '실험공간'이라고 불렀다. 상자 안쪽 벽에 지렛대가 있어 그것을 누르면 밑에

terms.naver.com

 

 

 

반응형

 

 

 

㉯ 유기체의 행동은 행동 뒤에 발생하는 결과가 강화적이나 처벌적이냐에 따라 결정된다. 즉, 유기체의 행동은 외부 환경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는 것이다.

 

㉰ 조작적 조건 형성의 관점에서 인간을 포함하는 유기체의 행동은 결과에 의해 생성, 수정, 소멸된다.

 

㉱ 유기체의 행동은 자극 통제를 이용한 외부적인 조절을 통해 변화가 가능하다.

 

㉲ 강화인에 따라 행동을 증가시키기도 감소시키기도 할 수 있다. 즉, 조작적 조건 상황에서 동물의 행동은 자신이 원하는 것(강화)을 받기 위한 도구라고 할 수 있으며, 또한 같은 맥락에서 행동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것으로 처벌을 피할 수 있다.

 

조작적 조건 형성은 강화와 처벌의 원리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와 외부 환경과 행동, 그리고 행동 결과의 연합을 과학적으로 설명했다는 데 중요한 의의가 있다.

 

 

 

2021.06.04 - [이야기가 있는 정원, 성격심리] - ✔조작적 조건화 이론①(조작적 조건형성, 손다이크의 고양이 실험, 시행착오설, 스키너 상자, 쥐 실험, ABC 패러다임, 선행요인, 행동, 결과)

 

✔조작적 조건화 이론①(조작적 조건형성, 손다이크의 고양이 실험, 시행착오설, 스키너 상자,

◆ 고전적 조건화 이론(고전적 조건화 형성)에 이어서, 오늘부터는 조작적 조건화 이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1. 개요  (1) 의의 및 특징 :  ① 조작적 조건화 이론은 행동에 뒤따르

narrare3.tistory.com

 

 

 

■ 다음 시간에 계속, 학습의 본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및 참조 : [학습 심리학] 학습의 본질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