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야기가 있는 정원, 학습 심리

✔[학습 심리학] 학습의 본질⑦(현대 심리학의 시작, 데카르트, 비교 심리학, 홉스, 로크, 버클리, 흄, 칸트, 존 스튜어트 밀, 리드, 비교 심리학, 능력 심리학, 프로이트)

by 이야기가 있는 정원 2025. 4. 18.
728x90
반응형
728x170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학습의 본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인간의 학습과 동물 연구, 학습 연구의 역사, 인식론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5.04.15 - [이야기가 있는 정원, 학습 심리] - ✔[학습 심리학] 학습의 본질⑥(인간의 학습과 동물 연구, 동물 실험 효율성, 반론, 학습 연구의 역사, 인식론,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합리주의, 생득론, 경험주의, 연합의 법칙)

 

✔[학습 심리학] 학습의 본질⑥(인간의 학습과 동물 연구, 동물 실험 효율성, 반론, 학습 연구의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학습의 본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조작적 정의, 독립 변인, 종속 변인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5.04.12 - [이야기가

narrare3.tistory.com

 

 

 

② 현대 심리학의 시작 :

 

㉮ 데카르트(Ren Decartes, 1596~1650) :

 

ⓐ 데카르트는 서양 근대 철학의 출발점으로 일컬어지는 인물이며, 철저한 의심을 가지고 모든 철학적 물음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 마음과 신체의 분리를 가정하였다.

 

ⓒ 그는 마음이 행동을 발생시키지만, 감각적 경험 또한 행동의 유발시킬 수 있다고 보았다. 즉, 데카르트는 자극-반응의 선구자라고 할 수 있다.

 

ⓓ 그는 인간과 동물이 생리적으로 비슷하다고 믿었기 때문에 동물에 대한 연구가 인간에 대한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었다. 즉, 데카르트는 생리학과 *비교 심리학(comparative psychology)에 큰 기여를 하였다.

 

ⓔ 마음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데카르트는 생득적 관념에 크게 의지하였다. 즉, 그가 플라톤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르네 데카르트

“화이트헤드가 말한 것처럼 유럽 철학이 플라톤에 대한 각주라면, 근대 유럽 철학은 데카르트에 대한 각주다.” (레젝 콜라콥스키)근대는 무엇에서든 확실하고 단단한 토대를 요구하는 시대다

terms.naver.com

 

 

728x90

 

 

 

 

 

비교심리학

식물, 바이러스, 인간 등의 다양한 생물의 행동을 비교, 연구하는 심리학의 1분야. 개체발생적 의미에서의 비교와 계통발생적 의미에서의 비교와의 양면을 포함하여 생각하면 유아, 아동, 청년

terms.naver.com

 

 

 

㉯ 홉스(Thomas Hobbes, 1588~1679) :

 

ⓐ 홉스는 생득적 관념에 반대하였으며, 감각적 인상이 모든 지식의 근원이라고 주장하였다. 

 

ⓑ 홉스는 경험주의 철학적 학파를 재개하였고, 이를 연합주의와 관련시켰다.

 

ⓒ 자극이 신체한 중요한 기능을 도울 수도 있고, 방해할 수도 있다고 믿었다.

 

ⓓ 사람들이 접근하고자 하는 사상은 '선(good, 善)'이고, 사람들이 피하고자 하는 사상은 '악(evil, 惡)'인데 선과 악의 가치는 개인의 결정에 따른다고 본다.

 

ⓔ 홉스에 따르면 인간은 근본적으로 이기적이고 공격적이어서, 그들이 본성에 따라 살 수 있다면 인간의 삶이란 자기만족과 전쟁으로 특징될 것이라고 하였다.

 

ⓕ 이러한 홉스의 견해는 프로이트(freud)의 주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토머스 홉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토머스 홉스(Thomas Hobbes, 1588년 4월 5일 ~ 1679년 12월 4일)는 잉글랜드 왕국의 정치철학자이자 최초의 민주적 사회계약론자이다. 서구 근대정치철학의 토대를 마련

ko.wikipedia.org

 

 

 

㉰ 로크(John Locke, 1632~1704) :

 

ⓐ 로크도 생득적 관념에 반대하였으며, 경험주의자이다. 

 

ⓑ 마음은 경험으로 채워지며, 경험은 감각에서 나온다고 주장하였다. 즉, 경험적 세계를 통해 생각을 가지게 된다.

 

ⓒ 간단한 생각이 경험에서 비롯되지만, 그들은 반성(reflection)에 의해 조합되며, 반성은 합리주의적 과정이라고 보았다.

 

ⓓ 로크는 일차적 속성(물리적 대상)과 이차적 속성(심리적 경험)을 구분하였다.

 

ⓔ 일차적 속성이 생각을 유발하며, 이차적 속성은 순수하게 인지되는 것이므로, 일차적 속성과 같이 객관적으로 분석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 로크의 일차적 · 이차적 속성에 대한 관점은 행동주의자들이 인간 행동의 분석에 있어서 정신적 작용을 배제하게 된 원인을 제공하기도 했다.

 

 

 

 

존 로크

영국의 철학자이자 정치사상가로서 계몽철학 및 경험론철학의 원조로 일컬어진다. 자연과학에 관심을 가졌고 반스콜라적이었으며 《인간오성론》등의 유명한 저서를 남겼다. 교육에도 많은

terms.naver.com

 

 

반응형

 

 

 

㉱ 버클리(George Berkeley, 1685~1753) :

 

ⓐ 버클리는 로크의 연구가 충분하지 못하다고 주장하며, 이차적 속성을 강조하였다.

 

ⓑ 그에 따르면 생각은 우리가 직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것이며, 우리가 확신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이라고 하였다. 

 

ⓒ 그러나 버클리는 외부 실재에 대한 경험에서 마음의 내용이 얻어진다고 믿었기 때문에, 그도 경험주의자로 여겨진다.

 

 

 

 

조지 버클리

영국의 철학자이자 성직자이다. 17∼18세기 영국 고전경험론을 대표하는 철학자이다. 신흥 자연과학의 유물론과 동시대의 무신론·이신론·자유사상에 대하여 그리스도교를 변호하는 호교론에

terms.naver.com

 

 

 

㉲ 흄(David Humm, 1711~1776) :

 

ⓐ 흄은 마음이 생각, 기억, 상상, 연합, 감정의 흐름일 뿐이라고 하였다.

 

ⓑ 사람의 지식이 경험에서 얻어진 개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합의 법칙에 의해 연합된다고 주장하였다.

 

ⓒ 우리는 생각을 통해 경험적 세계를 간접적으로만 경험할 수 있다고 하였다.

 

ⓓ 흄의 견해는 많은 사람들의 비판을 받았다.

 

 

 

 

데이비드 흄

영국의 철학자. 그의 인식론은, J.로크에서 비롯된 '내재적 인식비판'의 입장과 I.뉴턴 자연학의 실험·관찰의 방법을 응용했다. 인간본성 및 그 근본법칙과 그것에 의존하는 여러 학문의 근거를

terms.naver.com

 

 

 

㉳ 칸트(immanuel Kant, 1724~1804) :

 

ⓐ 칸트는 합리주의와 경험주의가 가지고 있는 비현실적 특성을 바로잡고자 하였다. 

 

ⓑ 칸트에 따르면 우리가 의식적으로 경험하는 것은 경험적 세계에 의해 유발되는 감각적 경험과 생득적인 마음의 기능에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 마음의 기능은 감각적 경험을 변형시키며 이를 조직화하고 의미를 부여한다고 보았다.

 

ⓓ 칸트는 현대 정보처리 심리학과 인지과학의 선구자로 여겨진다.

 

ⓔ 칸트는 마음이 지식의 근원임을 보임으로써 합리주의를 지속시킨다.

 

ⓕ 감각적 경험이 아닌 지식을 설명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며, 플라톤의 주장을 부활시켰다.

 

 

 

 

 

임마누엘 칸트

독일의 철학자. 서유럽 근세철학의 전통을 집대성하고, 전통적 형이상학을 비판하며 비판철학을 탄생시켰다. 저서에《순수이성비판》,《실천이성비판》,《판단력비판》 등이 있다. 동(東)프로

terms.naver.com

 

 

 

㉴ 존 스튜어트 밀(John Stuart Mill, 1806~1873) :

 

ⓐ 존 스튜어트 밀은 경험주의자와 연합주의자로 남아 있지만 다른 연합주의자들이 취한 입장과는 매우 다른 견해를 보였다. 

 

ⓑ 그는 복잡한 생각이 단순한 생각으로 구성되었다는 개념을 수용하였다.

 

ⓒ 밀은 몇몇 간단한 생각이 새로운 생각으로 조합되면 본래의 간단한 생각과는 완전히 달라진다는 견해를 더했다.

 

ⓓ 즉, 전체는 각 요소의 단순한 합과는 다르다고 믿었다.

 

 

 

 

존 스튜어트 밀

영국의 경제학자ㆍ철학자ㆍ사회과학자로서, 논리학ㆍ윤리학ㆍ정치학 등 다양한 분야에 심도있는 연구 결과를 발표함. <논리학체계>, <정치경제학원리>, <자유론> 등의 저서를 남김. |

terms.naver.com

 

 

300x250

 

 

 

㉵ 리드(Thomas Read, 1710~1796) : 

 

ⓐ 리드는 경험주의자들의 요소주의(elamentalism)를 반대하였으며, 존 스튜어트 밀과는 다른 입장을 보였다.

 

ⓑ 그는 칸트와 같은 입장으로 마음 그 자체로 힘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우리가 세계를 지각하는 데 큰 영향을 준다고 주장하였다.

 

ⓒ 리드의 마음의 기능에 대한 믿음은 *능력 심리학(faculty psychology)이라고 불렸다.

 

ⓓ 물리적 세계에 대해 어떤 것도 직접적으로 알 수 없다는 흄의 주장에 반대했다.

 

ⓔ 감각이 물리적 실체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부정하면 우리의 삶은 엉망이 된다.

 

ⓕ 우리가 지각하는 것이 실체라는 리드의 주장은 '소박한 실재론'이라고 불린다. 

 

 

능력 심리학

정신 현상을 지적 능력, 감정 능력, 의지적 능력 따위와 같은 정신 능력의 발현으로 설명하는 심리학으로 생득론, 합리주의, 경험주의의 혼합이다. 

 

 

 

■ 다음 시간에 계속, 학습의 본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및 참조 : [학습 심리학] 학습의 본질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