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야기가 있는 정원, 학교심리

✔학교 심리학에서의 자문④(교사 자문 특징, 3차성, 간접성, 간접 서비스 모형, 자발성, 일시성, 독립성, 3인조 모형, 비위계성, 1차, 2차 예방, 정신 건강, 행동, 조직 자문)

by 이야기가 있는 정원 2022. 9. 15.
728x90
반응형
728x170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학교 심리학에서의 자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교사 자문 중 학교 심리학자와 교사 간 협력을 위한 기본 원칙(지원 전략, 관계 구축, 교사를 위한 계속적인 지원, 교사 자문에 필요한 기술)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2.09.13 - [이야기가 있는 정원, 학교심리] - ✔학교 심리학에서의 자문③(교사 자문, 필요한 기술, 학교 심리학자와 교사 간 협력, 지원 전략, 관계 구축, 주의 기울이기, 적극적인 숙고적 경청, 공감하기, 질문하기, 조언, 제안)

 

✔학교 심리학에서의 자문③(교사 자문, 필요한 기술, 학교 심리학자와 교사 간 협력, 지원 전략,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학교 심리학에서의 자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학교 자문의 필요성, 특성, 자격 인정 기준(학교 심리학자가 가져야할 지식 영역, 기술 영역의 사례) 등에

narrare3.tistory.com

 

5. 교사 자문의 특징

 

(1) 3차성과 간접성 : 

 

직접적인 학교 심리학 서비스(에 : 상담)와는 다르게, 학교 심리학자가 자문가로서 기능할 때 '클라이언트'에게 직접 서비스를 행하지 않고 다른 사람(의뢰인)이 클라이언트를 돕고자 하는 노력을 지원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특히, 학교 심리학자의 이 역할은 자신의 학생의 요구를 충족시켜주고자 노력하는 의뢰인인 교사를 돕는 것으로 많이 나타나게 될 것이다. 하지만, 학교 심리학자는 클라이언트(학생)와 직접 상호 작용하지 않는다.

 

✔자문가(학교 심리학자) → 의뢰인(교사) → 클라이언트(학생)

※ 학교 심리학자 자문의 관계성 : 간접 서비스 모형(3인조 모형)

 

다시 말해, 학교 심리학자의 서비스는 직접 서비스가 아닌 간접 서비스의 형태이다. 자문가(학교 심리학자)는 의뢰인과 직접적인 상호 작용을 하는 것이지, 클라이언트와 직접 상호 작용하지 않는다(클라이언트와 직접 상호 작용하는 사람은 의뢰인이다).

 

(2) 자발성 : 

 

① 자문은 수직적 관계가 아니기 때문에 자발성과 일시성을 지닌다. 이러한 점이 의뢰인의 독립성을 촉진할 수 있다.

 

② 자문가는 문제의 분석 혹은 변화를 위해 제안된 전략을 받아들일 것을 의뢰인에게 강제하지 않는다. 의뢰인은 자문가와 동등한 관계에 있고 자문을 행할 것인지, 행하지 않을 것인지에 대하여 선택할 수 있다. 

 

③ 즉, 자문가로서 학교 심리학자는 학생과 관련된 관점에 대한 근거를 제시할 수 있으나, 의뢰인은 학생과 직접 상호 작용하는 사람이기 때문에 자신이 동의하지 않는 전략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3) 비위계성 : 

 

① 자문의 관계는 자문가와 의뢰인이 학교 내에서 비슷한 위치에 있다는 것을 전제하고 있으며, 이러한 협력 관계의 양쪽 구성원은 서로를 자기 분야에서 특별한 지식과 전문성을 가진 전문가로 간주한다.

 

② 따라서 양쪽은 서로의 역할을 감독하는 관계가 아니므로, 관계의 평등성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자문가의 역할을 진행한다면 효율적인 자문이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이것이 충족되지 못할 경우 중요한 자문 정보를 공유하지 못하여 자문 과정이 실패할 수 있다. 

 

300x250

 

(4) 차별화된 책임 : 

 

① 자문가와 의뢰인은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각자 자신의 책임을 완수하여야 한다. 자문가는 문제 해결 과정을 가이드하고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전문 지식을 공유할 책임을 지닌다.

 

② 그리고 의뢰인은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자문가가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자문 과정에서 사로 합의한 개입 방법을 충실하게 이해할 책임을 지닌다.

 

6. 교사 자문의 목적

학교 심리학자의 자문의 목적은 1차 예방 및 2차 예방이라고 볼 수 있다. 1차 예방은 "문제가 일어나기 전에 해로운 환경에 대응"하는 활동을 포함하는 것이며, 2차 예방은 "문제에 대한 조기 진단과 효과적인 처치를 통하여" 문제의 유지기간을 짧게 하는 활동을 포함한다. 

 

(1) 1차 예방 : 

 

① 1차 예방은 문제가 처음으로 나타날 수 있는 곳에서 그 문제의 가능성을 없애는 것으로, 의뢰인이 제기된 문제를 해결하게 할 뿐만 아니라, 앞으로 나타날 비슷한 문제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힘을 준다.

 

② 자문 성공의 중요한 척도는 제기된 문제가 정확하게 식별되고 해결되는 정도인데, 학교 자문에서는 이에서 더 나아가 1차 예방에도 주안점을 두고 있다. 

 

③ 즉, 자문가인 학교 심리학자는 의뢰인이 제기된 문제를 해결하게 하는 동시에, 향후 나타날지도 모르는 유사한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지식을 가지도록 노력한다.

 

(2) 2차 예방 : 

 

① 2차 예방은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식별하고 효과적인 처치 방법을 확인하는 것으로, 문제에 대한 조기 식별과 처치를 통하여 문제를 완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자문의 중요한 목적은 문제가 더 커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② 문제가 확대될 경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평가 및 상담과 같은 고비용의 시간이 걸리는 보다 직접적인 학교 심리학적 서비스가 필요하게 될 것이다.

 

③ 결국, 2차 예방 활동으로써의 학교 자문은 빠르고 효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게 할 뿐만 아니라, 더 비용이 많이 들고 시간 소모적인 직접적인 개입에 대한 요구를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7. 교사 자문 모형

 

(1) 정신건강 자문(Mental Heath Consultation) : 

이는 제럴드 캐플런(Gerald Caplan)이 고안한 학교 자문의 주요 모형이다. 이 모형에서는 자문인(학교 심리학자)과 의뢰인(교사)은 수평적인 협력 관계를 가지며, 의뢰인(교사)이 클라이언트(학생)에 대하여 전적인 책임을 진다. 

 

즉, 학교 안에서 발생하는 학생 정신건강 문제에 대해 교사가 의뢰하면 학교 심리학자(또는 이에 상응하는 전문가)가 전반적인 도움을 주는 방식의 모형이다.

 

① 사례 중심 자문(Client-Centered Consultation) :

개인이나 집단 학생을 대상으로 자문인이 직접 상담과 조언을 시행한다.

 

② 프로그램 중심 자문(Program-Centered Consultation) :

이는 자문인이 교사 그룹을 대상으로 학생의 정신 건강을 위한 전체적인 제도나 조직 체계의 문제를 평가, 시정하거나 새 프로그램이나 정책을 자는데 조언을 준다.

 

③ 의뢰인 중심 사례 자문(Consultee-Centered Case Consultation) : 

이는 문제가 되는 사례 학생을 중심으로 문제 해결의 주체인 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어떻게 구체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한 조언을 하게 되는 것이다.

 

④ 의뢰인 중심 행정 자문(Consultee-Centered Administrative Consultation) : 

이는 정신 건강 증진과 문제 해결을 위한 학교의 시스템 전체에 대한 행정적인 도움을 제공한다.

 

 

반응형

 

(2) 행동 자문(Behavioral Consultation) : 

행동 자문은 자문인(학교 심리학자)과 의뢰인(교사)이 공동으로 학생의 문제 행동을 교정하고, 특정 목표 행동을 성취하기 위해서 고안된 문제 해결 과정을 실시한다.

 

또한 학생의 행동을 변화시키는데 초점을 두는 자문방식이고, 일반적으로 교사나 심리학자들이 선호하는 모형이다. 이 경우 문제 해결의 주체는 의뢰인(교사)이며, 학생들의 문제 해결 기술을 증진시키는데 초점이 주어진다. 

 

행동 자문은 매우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문제가 다루어지는데, 그 과정은 아래와 같다.

 

문제 식별(Problem Identification) :

문제가 있다면 그 문제 행동을 구체적으로 정의한다. 관찰을 통해 바람직한 행동,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규명한다.

 

문제 분석(Problem Analysis) :

어떤 요인들이 이런 문제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어떤 계획이 필요한지를 분석한다.

 

처치(계획) 실행(Treatment Implementation)

이런 계획을 구체적으로 학생 지도에서 실천한다.

 

처치(계획) 평가(Treatment Evaluation)

실시된 프로그램을 통하여 어느 정도 문제가 해결되었는지, 새로 발생한 문제는 무엇인지, 이 프로그램이 계속되어야 할 것인지, 중단되어도 될 것인지를 평가한다.

 

(3) 조직 자문(Organizational Consultation) : 

 

① 이 모형에서는 학교를 하나의 체계로 간주한다. 행동 과학의 개념을 학교에 적용하여 학교의 정신 건강 기능을 증진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이 모델이 가지고 있는 기본 개념은 정신 건강이나 학습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건강하지 않는 교육 제도나 체계 때문이라는 것이다.

 

② 학교의 문화(School Culture)가 많은 영향을 주므로, 끊임없는 학교 체계나 제도의 개선을 통해 급변하는 사회에 적응하는 것이 학생들의 정신 건강 증진에 중요하다고 본다.

 

 

■ 다음 시간에 계속, 학교 심리학에서의 자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및 참조 : [학교 심리학], 학교 심리학에서의 자문, 핵심 이론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