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야기가 있는 정원, 학교심리

✔학교 심리학에서의 자문③(교사 자문, 필요한 기술, 학교 심리학자와 교사 간 협력, 지원 전략, 관계 구축, 주의 기울이기, 적극적인 숙고적 경청, 공감하기, 질문하기, 조언, 제안)

by 이야기가 있는 정원 2022. 9. 13.
728x90
반응형
728x170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학교 심리학에서의 자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학교 자문의 필요성, 특성, 자격 인정 기준(학교 심리학자가 가져야할 지식 영역, 기술 영역의 사례)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2.09.12 - [이야기가 있는 정원, 학교심리] - ✔학교 심리학에서의 자문②(학교 자문 필요성, 특성, 의뢰인, 클라이언트 차이, 협력적, 지시적, 상호 작용, 협동 관계, 학교 심리학자, 자격 인정 기준, 지식 영역, 기술 영역)

 

✔학교 심리학에서의 자문②(학교 자문 필요성, 특성, 의뢰인, 클라이언트 차이, 협력적, 지시적,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학교 심리학에서의 자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자문의 정의, 개관, 특징, 일반적 과정, 전문적 과정, 도허티의 자문가의 역할, 효과적인 자문을 위한 기술, 심

narrare3.tistory.com

 

4. 교사 자문

 

많은 사람들에게 학교 심리학자는 단순히 학생을 지원하는 학교 교직원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으나, 보다 중요한 것은 학생과 더불어 학교 심리학자가 교사를 어떻게 지원할 수 있는가에 대한 것이다. 

 

여기서는 학생의 성패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서로 간 협력을 위한 학교 심리학자와 교사와의 관계 구축 및 지원에 대한 전략을 검토하고, 이후에 교사 자문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1) 학교 심리학자와 교사 간 협력을 위한 기본 원칙 : 

 

학교 심리학자는 일차적으로 학생에게 학급 내에서 성공할 기회를 제공할 책임을 진다. 학교 심리학자가 성공적이고 자신감 있는 학습자를 만들어내는데 있어 가장 유용할 수 있는 전략은 끊임없는 개입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학교 심리학자가 제안하는 대부분의 개입 전략은 수업 환경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이것은 결국 학교 심리학자와 학급 교사 간 관계가 단단하게 구축되어 협력적인 팀 워크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① 지원 전략 : 

학교 심리학자가 학급에 개입 방법을 실행하려면 관계자에게 어필할 수 있는 다양한 지원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러한 전략 사용은 학교 심리학자/교사 관계가 얼마나 용이하게 구축되는지와 이들의 팀 워크 과정이 얼마나 매끄럽게 돌아가는지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

 

인센티브 :

교사와 학생 점심 식사 관리 시간에 도움을 주거나, 하루 한 시간 정도 학급에 일이 있을 때 도와주는 등의 관계 구축을 위한 전략을 사용한다.

 

작은 일부터 시작한다 :

자발적으로 도움을 줄 교사를 선택하여 긍정적인 변화를 시작하는 것이 좋다. 

 

수용/실행 가능성 :

교사들이 현재 자신의 학급에서 쉽게 활용이 가능하고, 단순하고, 조정이 가능한 개입 전략을 제안한다. 교수 방식에 큰 변화가 필요한 제안은 하지 않는다. 

 

성공 사례 데이터의 활용

먼저 실행하여 성공한 교사 학급에서 모은 데이터를 다른 교사에게 보여주어, 학교에서 계속하여 긍정적 변화가 생길 수 있도록 한다. 

 

중요한 스킬을 얻을 수 있도록 돕기

학생이 중요한 스킬을 얻을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학생의 학업 성공의 기회를 늘린다는 것을 교사들에게 상기시킨다. 

 

(2) 관계 구축 : 

 

아래에서 몇 가지 친숙한 관계 구축 전략을 제시한다.

 

① 주의 기울이기 (Attending) : 

이것은 긍정적 안면 습관(눈 맞춤, 고개 끄덕임, 적합한 눈썹 찌푸림 등), 효과적인 바디 랭귀지, 그리고 내적인 주의 기울이기(Internal Attending)로 극대화할 수 있다. 

 

✅ 상황 :

교사 한 명이 "나는 *능력별 집단화를 믿을 수 없어요! 그건 내 일이 아니에요! 아직 한 번도 해본 적 없고, 시작하려니 막막하네요."라고 말하고 있다. 

이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주의 기울이기' 전략은 '내적인 주의 기울이기'가 적합한데, 교사가 사용하는 단어를 듣고 (학교 심리학자 자신의) 경험 및 이론에 비추어 이를 해석한다.

*학교 심리학자의 반응 : "나에게 왜 당신이 능력별 집단화를 믿을 수 없는지를 말해주세요."라고 말하며 교사의 반응에 주의를 기울인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신뢰와 협력이 단단하게 구축될 수 있다. 

 

 

 

능력별 집단편성

학습집단을 편성하는 한 가지 방법으로서 동질집단(homogeneous group) 편성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반대는 이질집단(heterogeneous group) 편성이다. 효과적인 일제수업을 위해서 비교적 능력이 동질적인

terms.naver.com

 

내적인 주의 기울이기는 교사와 학교 심리학자 간 철학적 견해 차이가 있을 때 중요한 전략으로 사용될 수 있다. 서로 간의 관점을 이해하는 것은 보다 효율적인 자문 과정을 이끌어낸다. 

 

② 적극적인 숙고적 경청(Reflective Listening) : 

이는 교사가 자신의 말이 경청된다는 것과 듣는 사람(=학교 심리학자)이 그 말 이면에 있는 감정까지도 이해한다는 것을 알게 되는 방식으로 교사의 말을 숙고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황 :

교사 한 명이 "나는 추가 학점을 주는 것에 동의할 수 없습니다."라고 말하고 있다. 이 상황에서 적극적인 숙고적 경청은 아래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학교 심리학자의 반응 : "당신이 추가 학점을 좋아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합니다. 그렇다면, 학생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다른 대안을 논의해 보는 것이 어떨지요?"

 

적극적인 숙고적 경청은 교사가 분통을 터뜨리거나, 불평을 하거나, 혹은 확인을 하려고 할 때 특히 중요하다. 적극적인 숙고적 경청은 또한 교사의 초점을 문제로부터 상황으로 바꾸고자 할 때 시작을 위하여 사용하기 좋은 전략이다.

 

 

반응형

 

 

③ 공감하기(Being Empathetic) : 

공감은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유하는 능력이며, 교사 및 학생과의 관계를 구축할 때 학교 심리학자의 태도로써 결정적인 것이다.

 

상황 :

교사 한 명이 "정확하게 Self-Recording을 했는지 모니터링할 학생이 너무 많아요. 전체를 다 모니터링 하는 것은 감당하기 힘들 뿐더러, 내가 할 수 있는 일도 아니에요." 라고 말하고 있다. 이 상황에서 공감하기는 아래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학교 심리학자의 반응 : "당신이 감당하기 어렵다고 느끼는 것을 이해합니다. 이 상황을 해결하기 위하여 함께 일하겠습니다."

 

공감하기는 업무가 불가능하거나 과중할 때 중요한 전략이다. 교사를 도움으로써 가능한 해결책을 개발하는 것이 촉진될 수 있다.

 

④ 질문하기(Questioning) :

질문하기는 학교 심리학자가 마스터할 기술에서 가장 섬세한 것이다. 기억해야 할 중요한 요소는 위협적인 질문 대신에 매력적인 질문을 하는 것이다. 학교 심리학자가 교사에게 할 수 있는 질문의 유형은 개방형/폐쇄형, 직접적/ 간접적, 단일/다중 질문을 포함한다.

 

상황 :

교사 한 명이 "우리 반 학생들은 낙제할 거예요. 왜냐면 너무 게으르거든요. 나는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밑바닥부터 전부 시도해 봤지만 어떤 것도 먹히지 않아요. 왜냐면 학생들이 그냥 게으르거든요."라고 말하고 있다. 

이 상황에서 질문하기는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우선 교사의 관점을 좀 더 확실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학교 심리학자는 "당신이 '게으르다'고 말할 때, 그것은 무엇과 비슷한 뜻인가요?"라고 질문을 할 수 있다. 

 

교사의 조언과 제안은 중요하며, 교사가 시도하려는 것이 무엇인지, 혹은 그 교사의 학급에서 성공한 것이 무엇인지를 찾아내어야 한다. 

 

숙련된 질문하기 전략은 학교 심리학자가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얻는 동시에, 교사의 문제 해결에 대한 관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300x250

 

(3) 교사를 위한 계속적인 지원 : 

 

① 학교 심리학자는 교사에게 정보 교환을 위한 미팅 혹은 다양한 학급 개입 전략을 훈련하는 자리에 계속해서 참석할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② 학교 심리학자는 교사가 개입의 과정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데이터 수집을 도와야 한다. 여기에는 단순히 학기 말에 모으는 총괄 데이터 뿐 아니라, 형성 데이터(지속되는 데이터)가 포함된다.

 

③ 학교 심리학자는 학급 개입의 목적을 요약한 자료를 교사에게 제공하여야 한다. 이로써, 교사를 동기화하고 개입을 좀 더 잘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④ 학교 심리학자는 학급 개입에서 나온 결과를 교사와 공유하여야 하며, 필요한 경우 교사의 동의를 거쳐 개입 전략을 수정할 수 있다.

 

⑤ 학생이 학교 심리학자에게 다양한 수준의 지원을 요구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교사도 학교 심리학자에게 다양한 수준의 지원을 요구하고 있다.

 

⑥ 가장 낮은 수준의 지원 단계에서 교사는 단순히 보편적 수준의 지원(어떤 학교 지역 사회에서도 활용하고 있는 수준의 지원)만을 요구할 것이다.

 

⑦ 지원의 두 번째 수준에서, 교사는 자신의 학급의 문제를 다루는데 대한 도움 요구를 점차 늘려갈 것이다. 끝으로, 지원의 가장 높은 수준에서 교사는 많은 양의 지원과 개입에 대한 계획, 실행에 대하여 학교 심리학자의 관여를 빈번하게 요청할 것이다. 

 

⑧ 학교 심리학자의 임무는 학교에 있는 모든 교사가 가장 높은 수준의 지원을 원할 때에도 이를 모두 충족시켜 주고자 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 교사 자문에 필요한 기술 :

- 조직 이론(Organizational Theory)

- 자문의 모형(Models of Consultation)

- 전략 변경(Change Strategies)

- 관계 구축(Relationship Building)

- 협정(Contracting)

- 커뮤니케이션 기술(Skills in Communication)

- 중재(Modiating)

- 집단 리더십(Group Leadership)

- 강한 판단 기술(Strong Judgment Skills)

 

■ 다음 시간에 계속, 학교 심리학에서의 자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및 참조 : [학교 심리학], 학교 심리학에서의 자문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