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야기가 있는 정원, 학교심리

✔투사적 검사⑥(HTP 집-나무-사람 검사 해석, 구조적 해석, 내용적 해석, 검사 소요 시간, 순서, 크기, 위치, 선, 필압, 세부묘사, 대칭성, 왜곡, 생략, 학교 심리학)

by 이야기가 있는 정원 2022. 6. 8.
728x90
반응형
728x170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투사적 검사(HTP 검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HTP 검사의 의의 및 특징, HTP의 시행 중 그림 단계, 질문 단계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2.06.07 - [이야기가 있는 정원, 학교심리] - ✔투사적 검사⑤(HTP 집-나무-사람 검사, 존 벅, 해머, 코피츠, 번스와 카우프만, 학교 심리학, 신체상, 자기상, 특징, 시행, 그림 단계, 질문 단계)

 

✔투사적 검사⑤(HTP 집-나무-사람 검사, 존 벅, 해머, 코피츠, 번스와 카우프만, 학교 심리학, 신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투사적 검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DAP 인물화 검사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2.06.06 - [이야기가 있는 정원, 학교심리] -

narrare3.tistory.com

 

 

(4) HTP의 해석 : 

 

① 구조적 해석(요약) : 

 

검사의 소요 시간 :

 

- 일반적 소요 시간 : 하나의 그림을 완성하는데 대략 10분 정도가 소요된다(개인차가 있음).

- 과도하게 빨리(2분 이내) 또는 느리게(30분 이상) 그린 경우 : 피검자의 갈등과 연관이 있다.

- 지나치게 오랜 시간 소요 : 완벽, 강박 성향 등

- 그림을 그리는데 어려움을 호소 : 낮은 자존감. 우울감 등

 

그림의 순서 : 

 

- 일반적 순서 : 집의 경우 '지붕 → 벽 → 문 → 창문 →', 인물의 경우 '얼굴 → 눈 → 코 → 입 → 목 → 몸 → 팔 → 다리'

- 얼굴의 내부를 먼저, 윤곽을 나중에 그린 경우 : 평소 타인과의 대인관계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가정해 볼 수 있다.

- 그림을 지우고 새로 그린 경우 : 해당 영역이 상징하는 것과 관련하여 열등감이나 가장(포장하는) 성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가정해 볼 수 있다. 

 

그림의 크기

 

- 일반적 크기 : 종이 크기의 2/3 정도 사용

- 그림을 과도하게 크게 그린 경우 : 공격성, 과장성, 낙천성, 행동화 성향, 자기 확대의 욕구 등의 표현일 수 있다.

- 그림을 과도하게 작게 그린 경우 : 열등감, 불안감, 위축, 낮은 자존감, 의존성 등의 표현일 수 있다.

 

그림의 위치 : 

 

- 일반적 위치는 종이의 가운데이다. 

- 피검자가 종이에 그린 그림의 위치에 따라 피검자의 안정감, 융통성, 욕구와 욕구 지연, 외향성, 내향성, 자기 통제적 성향, 행동화나 충동성, 지적 만족의 추구, 두려움이나 위축감 등을 가정하고 유추해볼 수 있다. 

 

그림의 선 :

 

- 피검자가 그림을 그릴 때 자주 사용하는 선의 종류(수평선, 수직선, 직선, 곡선, 길게 그린 선, 끊긴 곡선, 선에 음영 등)에 따라 여성성과 남성성, 활동적. 자기 주장적 성향, 소극적. 자기방어적 성향, 안정성, 결단성, 포부의 수준, 의존성, 우유부단함, 불안정성, 민감성, 신중함 등을 가정하고 유추해볼 수 있다.

 

 

300x250

 

 

필압

 

- 피검자의 필압은 보통 그의 에너지 수준을 의미한다고 가정한다.

 

일반적인 필압은 강(強) 또는 약(弱)의 유연한 필압(즉, 지나치게 강하거나 약하지 않은 필압)을 사용하는 것이다.

 

- 피검자의 필압의 강도, 또는 변화에 따라 안정감, 독단성, 자기 주장적 성향, 긴장감, 위축감, 두려움, 우유부단, 우울증 상태 등을 가정하고 유추해볼 수 있다.

 

그림의 세부묘사

 

- 피검자가 그리는 그림의 세부 묘사의 의미는 보통 일상생활에서 실제적인 면을 의식. 또는 처리하는 능력으로 본다. 세부 묘사의 형태에 따라 피검자의 위축감, 우울 성향, 강박성, 자기 억제 성향, *주지화 성향 등을 가정하고 유추해볼 수 있다.

 

 

 

주지화

자아가 불편한 감정을 조절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해 지나치게 추상적으로 생각하거나 인지화하는 것. 감정적 갈등이나 불안을 처리하고자 하는 방어기제의 하나로, 감정을 억누르고 장황한 논

terms.naver.com

 

 

그림의 대칭성

 

- 피검자의 그림에 대칭성이 지나치게 결여된 경우, 혹은 지나치게 강조된 경우에 따라, 피검자의 불안정성, 신체적 부적응감, 경직성, 강박성, 융통성 결여 등을 가정하고 유추해볼 수 있다.

 

그림의 왜곡 또는 생략

 

- 피검자가 그림을 왜곡 및 생략하는 경우는 불안감과 내적 갈등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전문가(검사자)가 이해하기 힘들 정도의 극단적인 왜곡은 현실 검증력에 장애가 있는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동적. 정적 움직임

 

- 간혹 ADHD(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아동이나 경계선 장애 등을 가진 피검자가 그린 그림에서 지나친 움직임이 관찰되기도 한다. 

 

- 또한 우울감, 위축감을 호소하는 피검자가 지나치게 정적인 움직임을 보이는 그림을 그리는 경우도 있다. 

 

회전(종이 돌리기)

 

- 피검자가 종이를 이리저리 돌리면서 그림을 그리거나, 계속 같은 방향으로 돌리는 것은 반항심, 내적 부적절감, 또는 하나의 개념에 얽매인 *보속성(perseveration)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728x90

 

🔳 보속성(보속증) :

자극이 바뀌어도 같은 반응을 되풀이하는 경향, 또는 자극으로 생긴 심리적인 활동이 그 자극이 없어져도 일정하게 지속되는 증상이다. 예를 들어, “손을 들어보시오.”라고 지시하면 손을 들어 올리지만, 다음 지시로 “코를 만져보시오.”라고 지시하면 앞에서와 같은 상태로 여전히 손을 들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반복 행동을 수행하는 경우를 말한다.

같은 실수를 계속하거나, 생산적이지 않은 주제, 행동에 대하여 오랫동안 꾸물거리는 아동의 경향성을 의미하기도 한다. 뇌손상이 있는 경우에 특정한 내용을 반복하여 말하는 보속증을 이상언행 반복증이라고도 한다.

*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보속증 

[保續症, perseveration]

(특수교육학 용어사전, 2009., 국립특수교육원)

 

 

② 내용적 해석(요약) : 

 

✔집(Home) : 

 

- 문(Door) :

피검자가 그린 문은 환경과의 직접적인 접촉의 성질 및 상호 작용의 정도를 의미한다. 즉, 그 형태와 위치에 따라 가족 간의 거리감, 고독감, 욕망, 신중성, 현실 도피 경향, 방어적 성향 등을 가정하고 유추해볼 수 있다.

 

- 창문(Window) :

피검자가 그린 창문은 환경과의 간접적 접촉의 성질 및 상호 작용의 정도를 의미한다. 즉, 그 형태에 따라 대인관계와 관련된 피검자의 욕망이나 상태 등을 가정하고 유추해볼 수 있다.

 

- 지붕(Roof) :

피검자가 그린 지붕은 생활의 환상적 영역, 공상적 활동, 그리고 자기 자신에 대한 관념 등을 의미한다. 즉, 그 형태와 크기에 따라 환상. 공상에의 몰두, 대인관계에 대한 무관심, 심각한 위축성, 억압된 자기 통제성 등을 가정하고 유추해볼 수 있다.

 

- 굴뚝(chimney)

피검자가 그린 굴뚝은 가족 내의 관계, 애정에 대한 욕구, 성적인 만족감 등을 의미한다. 즉 그 형태와 묘사에 따라 가정 내의 갈등, 결핍된 애정 욕구, 정적인 가족 내 분위기 등을 가정하고 유추해볼 수 있다.

 

- 벽(Wall)

피검자가 그린 벽은 자아의 강도 및 통제력과 연관이 있다고 본다. 즉, 그 형태와 묘사에 따라 자아상실감, 자아의 붕괴, 형싱도피 성향, 우울증, 대인관계의 결핍 등을 가정하고 유추해볼 수 있다. 

 

- 부수적 사물

이외에도 피검자가 그린 부수적 사물, 일테면 해, 나무 수풀, 구름, 그림자, 길, 울타리, 산, 관목 등은 피검자의 대인관계, 의존욕구, 불안감, 그리고 방어 욕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본다.

 

 

반응형

 

✔나무(Tree) : 

 

- 뿌리(root) :

피검자가 그린 뿌리는 안정성 여부, 현실과의 접촉 수준 등을 의미한다. 그 형태와 묘사에 따라 현실에서의 불안정감, 내적 자기에의 단절감, 약간의 안정감 수준 등을 가정하고 유추해볼 수 있다.

 

- 기둥(a pillar of a tree)

피검자가 그린 나무의 기둥은 자아의 강도 또는 내면화의 힘을 의미한다. 즉, 그 크기와 형태에 따라 자아의 강도 부족, 위축감, 무력감, 외적 요인에 의한 내적 자아의 손상 및 압박, 성장 과정에서의 외상 경험 등을 가정하고 유추해볼 수 있다.

 

- 가지(a branch of a tree)

피검자가 그린 나무 가지는 환경 및 타인과의 접촉 성향, 그리고 그가 가진 자원 등을 의미한다. (나무)기둥과 함께 해석하는 것이 기본이며, 그 형태에 따라 과도한 성취 경향, 성취 좌절, 대인관계의 위축, 또는 실패, 정서적 어려움 등을 가정하고 유추해볼 수 있다.

 

- 잎(leaf)

피검자가 그린 잎은 그 형태와 묘사 방법에 따라 정신적 퇴행, 정열, 과도한 욕구, 분리적 성격, 사교성 등과 관련이 있다.

 

 

2023.09.12 - [이야기가 있는 정원, 임상 심리] - ✔[임상 심리학] 집 나무 사람 그림 검사, HTP②(구조적 해석, 그림의 순서, 크기, 위치, 선, 필압, 세부묘사, 대칭성, 왜곡 또는 생략, 동적, 정적 움직임, 절단, 음영, 그림 지우기)

 

✔[임상 심리학] 집 나무 사람 그림 검사, HTP②(구조적 해석, 그림의 순서, 크기, 위치, 선, 필압,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HTP 검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HTP의 의의, 특징, 투시적 상징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3.09.11 - [이야기가 있는 정원,

narrare3.tistory.com

 

 

✔사람(Person) : 

 

- 머리(head) :

피검자가 그린 사람의 머리는 인지 능력 및 지적 능력, 그리고 공상 활동과 관련이 있다고 본다. 즉, 그 크기와 형태에 따라 지적인 욕망, 자아의 확장, 열등감, 강박적 성향, 불쾌한 생각의 제거 욕망, 현실도피, 공상, 환각 등을 가정하고 유추해볼 수 있다.

 

- 얼굴(face)

피검자가 그린 사람의 얼굴은 이목구비의 묘사에 따라 기본적인 성향, 현재의 기분, 외모에 대한 태도, 타인과의 관계 형성, 의사소통, 정서자극에 대한 반응, 자기 주장적 성향, 지적 영역 등을 가정하고 유추해볼 수 있다.

 

- 몸통(trunk)

피검자가 그린 사람의 몸통은 함께 그린 어깨, 가슴, 허리, 엉덩이 등의 묘사에 따라 책임성, 힘과 능력, 애정 욕구, 성적 발달 미숙, 성적 행동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본다.

 

- 팔다리(arms and legs)

피검자가 그린 사람의 팔다리는 각각 팔, 다리, 손, 발의 형태에 따라 현실에서의 욕구 충족 방식, 목표를 위한 행동. 위험으로부터의 도피, 사회적 교류, 독립성 대 의존성과 연관이 있다고 본다.

 

 

■ 이것으로 HTP 검사에 대한 설명은 마치고, 다음 시간에 계속 투사적 검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및 참조 : [학교 심리학], 학교 심리학에서의 평가, 핵심이론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