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투사적 검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DAP 인물화 검사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1. 집-나무-사람 검사(House-Tree-Person, HTP)
(1) HTP의 의의 :
① 인류가 언어의 사용 이전에 그림을 통해 의사소통을 해 온 바와 같이, 그림이 언어보다 인간의 정서 표현에 더욱 가깝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인간의 보다 원시적이고 무의식적이며, 심층적인 심상은 그림을 통해 더 잘 반영된다.
② HTP는 1948년 벅(Buck)이 처음 개발한 투사적 그림 검사로, 피검자가 자신의 개인적 발달사와 관련된 경험을 그림에 투사한다는 점에 기초하고 있다.
💬 HTP는 존 벅이 설계하였으며 본래 굿이너프(Goodenough) 지적 기능 척도에 기반을 두었다. HTP는 1948년에 개발되어 1969년에 갱신되었다.
벅은 지적 능력의 양적, 질적 측정을 HTP (V)에 포함시켰다. 시험 제공자가 HTP 등급을 적절히 매길 수 있도록 지시하기 위해 350쪽에 달하는 매뉴얼이 벅에 의해 작성되었으며 이는 양적인 것보다 더 주관적인 편이다.
벅과는 반대로 Zoltán Vass는 2012년에 더 복잡한 접근법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시스템 분석(SSCA, Seven-Step Configuration Analysis)에 기반을 둔다.
* 출처 : [위키백과], HTP
③ 해머(Hammer)는 HTP를 임상적으로 확대. 적용하였으며, 코피츠(Koppitz)는 투사적 채점 체계를 제시하였다.
④ 번스와 카우프만(Burns & Kaufman)은 기존의 HTP를 변형하여 '동작성 HTP(Kinetic-HTP)'를 고안하기도 하였다.
(2) HTP의 특징 :
① HTP는 피검자의 무의식과 관련된 상징을 드러내줌으로써, 더욱 풍부한 정보를 제공한다.
② HTP는 기존의 인물화 검사(DAP)에 의한 결과보다 더 많은 정보를 입수할 수 있으므로, 개인의 성격 구조를 이해하는데 효과적이다.
③ HTP의 집, 나무, 사람은 피검자의 연령과 지식 수준 등을 고려할 때 다른 어떠한 주제보다도 받아들이기 쉽다. 즉, HTP는 사실상 모든 연령대의 피검자에게 실시가 가능하며, 특히 문맹자에게 적합하다.
④ 검사 자체가 간접적이므로, 피검자는 검사자가 요구하는 것을 아지 못하여, 보다 솔직하고 자유롭게 반응할 수 있다.
⑤ 피검자의 그림은 모호하고 구조화되지 않은 것이므로, 반응을 해석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⑥ 일반적으로 '집'은 가정 생활이나 부부관계, 가족 간의 상호 작용을 반영하며, 특히 아동기 부모와의 관계를 나타내기도 한다.
⑦ 나무-사람은 대체로 대인 관계, 타인에 대한 감정 등을 반영하며, 특히 자신의 '신체상(Body Image)' 및 '자기상(Self Image)'을 나타낸다.
✔신체상(Body Image) :
개인이 자기 자신의 신체에 대해 갖는 마음의 표상. 자신의 신체부위와 기능에 대한 만족의 정도를 말한다. 만족의 정도가 높으면 긍정적 자아개념을 형성한다.
✔자기상(Self Image) :
한 개인이 자기를 어떠한 인간으로 지각하고 있는가에 대한 내용으로 자신의 능력, 성취 정도, 매력, 타인에 의해 인정받거나 수용되는 정도 등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이다.
*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상담학 사전, 신체상
교육 심리학 사전, 자기상
⑧ '나무'나 '사람' 그림은 주로 성격의 핵심적인 갈등 및 방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데, '사람' 그림이 보다 의식적인 측면을 반영하는 반면, '나무' 그림은 더 깊고 무의식적인 감정을 반영해 준다.
⑨ HTP는 피검자의 여러 가지 반응들에 대해 총체적인 관점에서 해석이 이루어져야 하며, 어느 하나의 측면에 집중해서는 안 된다.
⑩ 로샤 검사나 주제 통각 검사가 제시된 자극에 대해 피검자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피검자의 수동적인 반응 과정으로 전개되는 반면에, HTP는 피검자가 직접 반응을 구성해 가는 능동적인 반응 과정으로 전개된다.
⑪ 로샤 검사나 주제 통각 검사가 언어 또는 이야기를 매개로 하는 반면, HTP는 언어적인 표현을 전제로 하지 않으므로, 비언어적인 방식으로 표출되는 성격의 단면을 포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⑫ HTP를 통해 개인의 무의식이나 방어기제를 탐색하는 것이 가능하며, 특히 아동의 성격을 이해하는데 매우 유효하다.
💬 HTP는 벅이 검사도구로 개발했지만, 이후 해머(Hammer, 1958)가 더욱 발전시켜 임상에 적용하였다. 그 후 HTP는 심리치료를 위한 검사도구뿐만 아니라 치료기법으로도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HTP에서 가족역동에 대한 설명이 제한되었다는 것을 인식하여 HTP에 동적 요소를 통합한 동적 집-나무-사람(Kinetic House-Tree-Person: K-HTP)이 개발되었다.
게다가 HTP는 현재 채색 집-나무-사람(Chromatic House-Tree-Person : C-HTP), 집-나무-사람-사람(House-Tree-Person Person : HTP-P), 다면적 집-나무-사람(Multi House-Tree-Person : M-HTP), 통합적 집-나무-사람(Synthetic
House-Tree-Person : S-HTP), 통합적 집-나무-사람-새(Synthetic House-Tree-Person Bird : S-HTP-B), 가족화 검사(Draw-A-Family Test : DAF)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 · 연구되면서 사용 중이다.
*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집-나무-사람검사
[House-Tree-Person Test, -檢査]
(상담학 사전, 2016. 01. 15.,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3) HTP의 시행 :
① 그림 단계 :
- 검사자(전문가)는 백지 4장, 연필, 지우개, 초시계를 준비한다.
- 검사자는 피검자에게 그림을 잘 그리고 못 그리는 것이 중요하지 않으므로 자유롭게 그릴 것을 요구한다.
- 검사는 '집-나무-사람'의 순으로 한다. 이는 중성적 자극에서부터 점진적으로 자기상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검사를 전개하기 위함이다.
- 처음 집을 그리게 할 때에는 용지를 가로로 제시하며, 이후 나무나 사람, 피검자의 반대 성(性)의 사람을 그리도록 할 때에는 용지를 세로로 제시한다.
- 피검자가 사람을 그릴 때 전신을 그리도록 요구하며, 만화적으로 그리거나 뼈대만 그리지 않도록 한다.
- 검사자는 피검자(내담자)의 반응을 상세하게 기록한다. 그가 편안한 상태인지 혹은 긴장한 상태인지, 그림을 충동적으로 그리는지 또는 조심스럽게 그리는지 등, 검사의 태도는 물론 그가 한 말과 함께 각 그림마다 소요된 시간까지 함께 기재하여야 한다. 이는 모호한 상황에서 피검자가 어떻게 대처하는지 파악하도록 해준다.
② 질문 단계 :
- 그림이 완성된 경우 검사자는 피검자에게 그 그림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를 해보도록 요구하며, 중요한 사항들에 대해 질문한다.
- 질문의 목적은 피검자가 그림을 통해 표출하는 개인적인 의미, 즉 현상적 욕구나 갈등, 압박의 투사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 검사자가 집, 나무, 사람과 관련하여 피검자에게 할 수 있는 질문은 매우 다양한데, 아래에 대표적인 질문을 요약해 보겠다.
🔳 대표적인 질문 요약 :
✔집(Home) :
- 집의 재질은 어떤 형태입니까?
- 이 집은 누구의 집입니까?
- 이 집에 누구와 함께 살고 싶습니까?
- 이 집에 대해 어떻게 생각합니까?
✔나무(Tree) :
- 나무의 종류는 어떤 것입니까?
- 나무는 살아있습니까, 혹은 죽어 있습니까?
- 나무의 잎과 가지는 무성합니까, 아니면 메말라 있습니까?
- 나무는 한 그루입니까, 아니면 여러 그루입니까?
✔사람(Person) :
- 이 사람은 남자입니까, 아니면 여자입니까?
- 이 사람의 나이는 어떻습니까?
- 이 사람은 누구입니까?(친구입니까, 아니면 친척입니까)
- 이 사람은 행복합니까, 아니면 불행합니까?
■ 다음 시간에 계속, HTP와 투사적 검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및 참조 : [학교 심리학], 학교 심리학에서의 평가, 핵심 이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