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야기가 있는 정원, 임상 심리

✔[임상 심리학] 진단과 분류②(DSM-5의 주요 개정 사항, 조현병, 불안, 우울, 강박 장애, 주요 우울 장애, DSM-IV, 주의력 결핍 및 과잉 행동 장애 ADHD, 분류의 가치와 문제점)

by 이야기가 있는 정원 2023. 6. 10.
728x90
반응형
728x170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진단과 분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진단 및 분류 체계 중 국제 질병 분류(icd-10), 정신 장애 진단 및 통계 편람 5(DSM-5)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3.06.06 - [이야기가 있는 정원, 임상 심리] - ✔진단과 분류①(진단, 분류 체계, 임상 심리학, 정신 장애, 에밀 크레펠린 Emil Kraepelin, 국제 질병 분류 icd- 10, 정신 장애 진단 및 통계 편람 5, DSM-5, 신경생물학)

 

✔진단과 분류①(진단, 분류 체계, 임상 심리학, 정신 장애, 에밀 크레펠린 Emil Kraepelin, 국제 질병

◆ 오늘부터는 진단과 분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임상 심리학자의 역할과 관련 훈련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3.06.05 - [이야기가 있는 정원, 임상

narrare3.tistory.com

 

 

(4) DSM-5의 주요 개정 사항 : 

 

① 조현병(정신분열증)의 하위 유형인 망상형 또는 편집형(Paranoid Type), 해체형 또는 혼란형(Disorganized Type), 긴장형(Catatonic Type), 감별 불능형 또는 미분화형(Undifferentiated Type), 잔류형(Residual Type) 등의 분류가 폐지되었다.

 

② 불안 장애의 하위 유형인 강박 장애(Obsessive - Compulsive Disorder)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가 불안 장애에서 분리되어 각각 강박 및 관련 장애와 외상 - 및 스트레스 사건 - 관련 장애의 독립된 장애의 범주로 분류되었다.

 

③ 기분 장애의 하위 유형이었던 우울 장애(Depressive Disorder)와 양극성 장애(Bipolar Disorders)가 기분 장애에서 분리되어 각각 독립된 장애의 범주로 분류되었다.

 

④ DSM - IV의 분류 기준에서 유아기, 아동기 또는 청소년기에 통상 처음 진단되는 장애의 하위 유형으로 분류된 배설 장애가 독립된 장애의 범주로 분류되었다.

 

DSM - IV의 분류 기준에서 광범위한 발달 장애의 하위 유형이었던 자폐성 장애(Autistic Disorder)가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poder)로 명칭이 변경되어 DMS - 5에서 새롭게 제시된 신경 발달 장애의 하위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 특히 기존의 자폐성 장애에 대한 차원적 접근이 이루어짐으로써 아스퍼거 장애(Aspergers Disorder), 아동기 붕괴성 장애(Childhood Disintegrative Disorder) 등이 '자폐 스펙트럼 장애'로 통합되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

초기 아동기부터 상호 교환적인 사회적 의사소통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지속적인 손상을 보이는 한편 행동 패턴, 관심사 및 활동의 범위가 한정되어 있고 반복적인 것이 특징인 신경 발달 장애

terms.naver.com

 

⑥ 기존의 강박 장애 및 그와 관련된 장애를 포함하는 강박 및 관련 장애가 새로운 장애 범주로 제시됨으로써 저장 장애(Hoarding Disporder), 피부 벗기기 장애[Excoriation (Skin - Picking) Disorder] 등 새로운 하위 장애의 진단이 가능해졌다.

 

 

반응형

 

⑦ DSM - IV에서 종종 만성적인 짜증이나 간헐적인 분노를 표출하는 아동 및 청소년에 대해 내려졌던 양극성 장애의 진단 대신, 우울 장애의 하위 유형으로 파괴적 기분 조절 곤란 장애(Disruptive Mood Dysregulation Disorder)의 새로운 진단 기준이 마련됨으로써, 보다 정확한 진단이 가눙하게 되었다. 또한 우울 장애의 하위 유형으로 월경전 불쾌 감정 장애(Premenstrual Dyspressive Disorder)가 추가되었다. 

 

DSM - IV의 분류 기준에서 주요 우울증 삽화(Major Depressive Episode)의 진단 기준에는 사랑하는 사람과의 사별 후 2개월까지 나타나는 우울 증상을 진단 기준에서 제외하는 항목이 있었으나, DSM - 5에서는 2개월이라는 기간이 어떠한 과학적인 근거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사랑하는 사람과의 사별로 인한 상실감이 심각한 심리 사회적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의견을 반영하여, 사별 배제 항목을 삭제하였다.

 

 

 

주요우울장애

조증 혹은 경조증 삽화 없이 한 번 이상의 주요 우울증 삽화를 경험하는 심리적 장애. 기분장애의 하나로서, 양극성장애에 대비하여 단극성장애라고도 불린다. 대체로 서서히 발생하며 수년간

terms.naver.com

 

⑨ DSM - IV의 분류 기준에서 유아기, 아동기 또는 청소년기에 통상 처음 진단되는 장애의 하위 유형으로 분류된 주의력 결핍 및 과잉 행동 장애(Attention Deficit / Hyperactivity Disorder, ADHD)가 DSM - 5에서 새롭게 제시된 신경 발달 장애의 하위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 이는 ADHD가 성인기까지 지속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반영하여 성인에 대한 ADHD의 진단 기준을 제공하기 위함이며, 증상의 발현 시기 또한 기존의 7세 이전에서 12세 이전으로 조정하였다.

 

⑩ DSM - IV의 분류 기준에서 섬망, 치매, 기억상실 장애 및 기타 인지 장애의 하위 유형으로 분류된 치매가 그 심각도에 따라 주요 신경 인지 장애(Major Neurocogntive Disorder) 및 경도 신경 인지 장애(Mild Neurocogntive Disorder)로 명명되어 DSM - 5에서 새롭게 제시된 신경 인지 장애의 하위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섬망

일반적인 의학적 문제로 혹은 특정 물질이 인체로 투여되는 것 때문에 갑자기 정신이 혼미해지고 주변환경을 잘 파악하지 못하며 정서가 매우 불안정해지면서 착각이나 환각이 일어나는 등의

terms.naver.com

 

 

⑪ DSM - IV의 분류 기준에서 물질 관련 장애는 물질 - 관련 및 중독장애로 확장되었다. 물질 - 관련 및 중독 장애는 크게 물질 - 관련 장애(Substance - Related Disorders)와 비물질 - 관련 장애(Non - Substance - Related Disorder)로 구분되었다.

💬 특히 DSM - IV에서의 병적 도박(Pathological Gambling)이 도박 장애(Gambling Disorder)로 명칭이 변경되어 비물질 - 관련 장애로 분류하였고,

또한 DSM - IV에서 물질 의존(Substance Dependence)과 물질 남용(Substance Abuse)에 대한 개별적인 진단 기준이 제시되었던 것과 달리, DSM - 5에서는 물질 의존과 물질 남용이 매우 높은 상관 관계를 가진다는 의견을 반영하여 이들을 통합하였다.

다만, 그 심도를 세 등급, 즉 경도(Mild), 중등도(Moderate), 중증도(Severe)로 구분하였다.

 

⑫ DSM - IV의 분류 기준에서 부록 목록(Appendix B)에 포함되었던 폭식 장애(Binge - Eating Disorder)의 경우, 최근 늘고 있는 과식과 비만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과 함께 과식과 폭식의 차이를 부각시킬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반영하여, DSM - 5에서 급식 및 섭식 장애의 하위 유형으로 정식 진단명이 부여되었다. 

 

 

 

섭식장애

섭식(攝食) 혹은 식이(食餌) 행동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 정신장애로, 먹는 양을 극도로 제한하거나 또는 폭식을 한 뒤 일부러 구토를 하거나 하제(설사가 나게 하는 약)를 오용하기도 하는 등의

terms.naver.com

 

 

300x250

 

 

2. 분류의 가치와 문제점

 

(1) 분류의 목적 : 

 

① 공통의 용어 정의 :

정신 장애를 연구하는 전문가들이 일관성 있고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각 정신 장애에 통일된 명칭을 부여함으로써 명확하게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의사소통을 하도록 한다.

 

② 효과적인 정보 제공 :

정신 장애의 분류 체계를 기준으로 그 동안 축적된 연구 결과, 이론적 . 경험적 지식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하도록 한다.

 

 

728x90

 

 

③ 체계적 기술 : 

각 정신 장애의 주요 임상양상, 관련 변인, 질환의 경과, 타 장애와의 감별방법 등을 체계적으로 기술하게 한다.

 

④ 예측 체계 수립 : 

각 질환에 대한 체계적 기술을 통하여 해당 장애를 보이는 환자들의 추후 질환의 진행, 기저의 원인, 치료 방법, 치료 예후 등에 대한 예측을 하게 한다.

 

⑤ 객관적 기준 수립 :

객관적인 기준을 통해 정신장애를 분류함으로써 각 장애의 공통 특성, 원인, 치료 방법 등에 대하여 과학적 연구를 수행하도록 한다.

 

(2) 문제점 : 

 

① 공통 특성에 근거하여 장애를 분류하므로, 환자 개개인에서 고유한 독특한 증상이나 성격적 특성 등을 간과하기 쉽다.

 

② 정신 장애의 진단은 환자에게 낙인, 사회적 차별이나 편견을 가져올 수 있다.

 

③ 진단 분류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낮은 경우 문제가 될 수 있다.

 

 

■ 이상 총 2회에 걸쳐서, 진단과 분류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 출처 및 참조 : [임상 심리학], 진단과 분류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