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야기가 있는 정원, 임상 심리

✔[임상 심리학] 진단과 분류①(정신 장애, 에밀 크레펠린 Emil Kraepelin, 국제 질병 분류 icd- 10, 정신 장애 진단 및 통계 편람 5, DSM-5, 신경생물학)

by 이야기가 있는 정원 2023. 6. 6.
728x90
반응형
728x170

 

 

 

 

 

 

 

 

 

◆ 오늘부터는 진단과 분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임상 심리학자의 역할과 관련 훈련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3.06.05 - [이야기가 있는 정원, 임상 심리] - ✔임상 심리학자의 역할과 훈련③(단일 사례 연구, 반복 측정, 즉각적인 환류 feedback, 기초선, 개입 단계, 표적 행동, ABAB 설계, 다중 기저선 설계)

 

✔임상 심리학자의 역할과 훈련③(단일 사례 연구, 반복 측정, 즉각적인 환류 feedback, 기초선, 개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임상 심리학자의 역할과 훈련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과학자-전문가 모델, 실무자-과학자 모델, 임상 과학자 모델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

narrare3.tistory.com

 

 

1. 진단 체계

 

(1) 정신장애 분류의 필요성 : 

 

① 정신장애 분류의 어려움 :

 

㉮ 어떤 정신장애가 포함되어야 할지, 어떤 진단 체계가 가장 적절한지에 대해 의견 일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 즉, 다양한 진단 체계들에서 정신장애의 현상, 원인, 과정에 대한 포인트가 서로 다르다는 뜻이다.

 

㉰ 어떤 진단 체계는 소수의 집단 범주만을 포함하지만, 또 어떤 진단 체계는 수천 개의 범주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 따라서 임상적 목적, 연구적 목적, 통계적 목적 등, 주 사용 목적에 따라 진단 체계 내용에 차이가 나타난다. 

 

② 크레펠린(Emil Kraepelin)의 체계적이고 현대적인 정신 장애 분류 : 

 

 

에밀 크레펠린은 독일의 정신 의학자이자
근대 정신 의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인물이다.

 

 

 

크레펠린

독일의 정신의학자이며 근대 정신의학의 아버지. 크레펠린은 독일 메클렌부르크(Mecklenburg) 지역, 노이스트렐리츠(Ne- ustvetiz)에서 공무원의 아들로 태어났다. 크레펠린은 후에 함부르크 동물 박

terms.naver.com

 

㉮ 크레펠린은 같은 경과를 나타내는 증상이 있는 모든 환자는 동일한 질병에 걸려 있을 것으로 가정하고, 정신 장애의 증상과 증후에 대하여 객관적으로 기술하였다. 

 

㉯ 크레펠린은 알츠하이머(A. Alzheimer)와 함께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을 발견한 인물이기도 하다.

 

㉰ 그의 대표적 업적은 조현증(정신분열증)과 조울증을 구분하여 정의한 것인데, 현재 정신의학적 연구나 대학에서의 정신의학에서 그의 학설은 지배적이며,  그의 이론은 모든 주요한 진단체제의 기반으로 자리 잡고 있다.

 

 

반응형

 

 

③ 정신 장애 분류의 활용 : 

 

㉮ 정신 장애 전문가들이 서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언어를 제공하였다.

 

㉯ 질환별 특성을 통해 유사하거나 차이가 나는 질환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 다양한 질환의 원인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 효과적인 치료법의 발견이 가능하게 되었다.

 

(2) 분류 체계 : 

 

① 국제 질병 분류 [interm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10th ed. (Icd- 10)]

 

㉮ 국제 질병 분류는 세계 보건 기구(WHO)에서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질병 분류 체계이다.

 

㉯ 여기에는 정신 장애 분류와 진단 기준이 포함되어 있다.

 

㉰ 또한 정신 장애뿐만 아니라 모든 종류의 질병을 다루고 있다.

 

② 정신 장애 진단 및 통계 편람 5 [Diagnostic &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 5th ed. (DSM - 5)]

 

DSM - 5의 개정 배경 :

 

- 정신 장애에 대한 최신 연구 결과의 반영 : 정신 병리, 평가 및 진단, 치료 연구 결과 등의 축적에 따라 정신 장애에 대한 최신 의견들을 반영할 필요가 있었다. 특히 임상 분야에서 '신경생물학(Neurobiology)'의 중요성이 확대되었다. 

 

 

신경생물학

[ 1. 개념 및 정의] 신경생물학(神經生物學, neurobiology)은 뇌와 신경계를 연구하는 과학이다. 신경생물학은 발생 중인 동물에서 뇌의 발달이나 질병의 신경학적 기원을 연구할 수 있는 학문이며,

terms.naver.com

 

- 범주적 진단 체계의 한계 : 범주적 분류는 이상 행동과 정상 행동을 명확히 구분하면서, 이들 간의 질적인 차이를 가정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그로 인해 몇 가지 증상들을 공유하는 '공존질환(Comorbidity)'에 대해 더욱 정확하고 효율적인 진단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 사용자의 접근성 및 임상적 유용성의 고려 : 진단분류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제고하기 위해 다양한 경험적 연구 결과들에 근거하되, 이전 버전들과의 연속성을 유지함으로써 실제 임상 현장에서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는 진단 체계가 요구되었다.

 

 

728x90

 

 

DSM - 5의 일반적인 개정 사항

 

- 개정판 숫자의 변경 : 기존의 DSM - IV - TR까지는 개정판의 순서를 나타내는 숫자를 로마자로 표기하였으나, DSM -5에서는 로마자 V가 아닌 아라비아 숫자 5를 사용하였다. 이는 새로운 임상적 발견에 따른 개정을 보다 쉽게 하기 위한 의도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 다축 체계의 폐지 : DSM - IV에서 사용하는 다축 진단 체계가 실제 임상 현장에서 유용하지 못하며, 진단의 객관성 및 타당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에 따라 이를 폐지하였다. 다만, 이는 표기 방식을 폐지한 것이지 내용 전체를 폐기한 것은 아니며, 일부(특히 Axis III의 경우)는 진단 내에 포함시키거나 진단별 예로 전환하였다. 

 

- 차원적 평가의 도입 : 범주적 분류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차원적 평가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이른바 '하이브리드 모델(Hybrid Model)'을 제안하였다. 차원적 분류는 이상 행동과 정상 행동을 단지 부적응성의 정도 차이일 뿐, 이들 간의 질적인 차이를 인정하지 않는다. 

 

300x250

 

💬 DSM-5는 미국정신의학회에서 발간하는 『정신장애진단 및 통계편람』의 5번째 개정판으로서 2013년에 출간되었다. DSM은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임상가와 연구자가 사용하고 있다. 

DSM은 특정한 이론적 입장에 치우치지 않고 심리적 증상과 증후군을 위주로 하여 정신장애의 분류체계와 진단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즉, DSM의 정신장애 분류는 장애의 원인이 아니라 증상의 기술적 특징에 근거하여 이루어져 있다.

1952년에 DSM-I이 처음 발행된 이후 임상적 유용성과 진전된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여러 차례의 개정과정을 거쳤다. 1994년 네 번째 개정판인 DSM-IV가 발간되었으며 2013년 5월에 DSM-5가 발행되었다.

*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정신장애진단 및 통계편람 제5판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5th edition,

精神障碍診斷-統計便覽第四版]

(상담학 사전, 2016. 01. 15.,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참고 : DSM - 5의 정신 장애 분류표 : 

 

 

 

DSM-5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DSM-5는 정신질환 진단및통계 메뉴얼(약칭 DSM)의 2013년에 나온 다섯번째 개정판으로 미국정신의학협회(APA)에서 발행한 분류 및 진단 절차이다. 미국에서 DSM은 정

ko.wikipedia.org

 

 

■ 다음 시간에 계속, 진단과 분류 체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및 참조 : [임상 심리학], 진단과 분류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