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업 상담, 직업 심리

✔[직업 심리학] 직업 심리 검사①(직상 기출, 좋은 검사 도구 구비조건, 표준화, 신뢰도, 타당도, 객관도, 실용도, 주요 개념 행동 표본, 심리적 구성물, 측정, 규준, 직업 상담사)

by 이야기가 있는 정원 2024. 6. 3.
728x90
반응형
728x170

 

 

 

 

 

◆ 오늘부터는 직업 심리 검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작업 동기와 직무 만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4.05.30 - [직업 상담, 직업 심리] - ✔[직업 심리학] 작업 동기와 직무 만족②(직상 기출, 직업 상담사, 데시의 내재적 외재적 동기 이론, 허즈버그 동기 위생 이론, XY이론, 호손 효과, 연구, 매슬로우 욕구 위계 이론)

 

✔[직업 심리학] 작업 동기와 직무 만족②(직상 기출, 직업 상담사, 데시의 내재적 외재적 동기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작업 동기와 직무 만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2024.05.27 - [직업 상담, 직업 심리] - ✔[직업 심리학] 작업 동기와 직무 만족①(직상 기출, 직업 상담사, 아담

narrare3.tistory.com

 

 

 

1. 직업 심리 검사의 이해

 

 

(1) 개요 : 

 

심리 검사는 측정하고자 하는 특정한 행동을 체계적으로 표준화(standardization)된 방식에 따라 '양적으로 측정'하여, 개인 간 혹은 개인 내 비교가 가능하도록 해주는 심리 측정법을 말한다. 

 

✅ 표준화 :

어떠한 통제변수 때문에 자료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제거하기 위한 통계적 절차로서, 어떠한 오염효과도 개입치 않는 자료를 비교할 수 있게 한다.

전체 통계표에 적용하면 검사요인의 표준화는 통제변수의 영향을 제거하기 때문에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관계가 오염의 원천으로부터 벗어난 검토가 가능하다.

 

*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표준화 [standardization] (사회학사전, 2000. 10. 30., 고영복)

 

 

 

 

① 심리 검사는 개인의 대표적인 행동 표본을 심리학적 방식으로 측정하는 것이다. 

 

② 심리학적 측정은 표준화된 방식을 따르는 것이다.

 

③ 심리 검사는 체계적인 과정이다.

 

 

2. 심리 검사의 구비 조건(좋은 검사 도구의 조건)

 

 

(1) 표준화(Standardization) : 

 

① 검사의 실시부터 채점과 해석에 이르기까지의 과정 및 절차가 단일화되어 있어서 검사의 시행이나 채점 및 해석에 검사자의 주관적 의도 및 해석이 개입될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② 그 이유는 검사의 시행과 채점 및 해석에서 모든 조건을 모든 피검사자(검사를 받는 사람, 내담자)에게 동일하게 함으로써, 측정된 검사를 가지고 상호 비교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가비교성 점수가 되기 위해서는 검사의 모든 조건이 동일하게 표준화되어야 한다.

 

③ 사용하는 검사의 재료, 검사받는 시간, 피검사자에게 주어지는 지시, 피검사자의 질문에 대한 검사자의 처리(대응 방식), 검사 장소 및 분위기까지도 모두 통일되어 있어야 한다.

 

④ 표준화 검사는 검사의 실시와 채점이 객관적이고, 신뢰도와 타당도가 비교적 높으며, 규준집단에 비교해서 피검사자의 상대적 위치를 알 수 있다.

 

 

728x90

 

 

(2) 신뢰도(Reliability) : 

 

① 신뢰도란 검사를 동일한 개인이나 집단에게 실시하였을 때 얼마나 그 점수들이 일관성(Consistency) 있게 나왔는가의 정도를 말한다.

 

② 또는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신뢰할 만하게 또는 정확하게 측정하는가의 정도를 가리키는 것이다.

 

③ 즉, 신뢰도는 믿음성(dependability), 안정성(stability), 일관성(consistency), 예측성(predictability), 정확성(accuracy) 등과 동의어로 쓰이고 있다.

 

 

(3) 타당도(Validity) : 

 

① 타당도란 검사도구가 측정하려는 내용을 얼마나 충실하게 측정하고 있는가의 정도를 말한다.

 

② 다시 말해, 어떤 측정으로 얻어진 데이터가 가리키는 대상이 검사자(상담자)가 알고자 하던 것과 일치하는 정도이다.

 

③ 즉, 타당도란 검사가 측정하려고 하는 것을 제대로 측정하고 있는가와 검사에서 상담자가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가에 관한 문제이다.

 

심리 검사의 표준화 과정에서의 타당도 기준 :

- 어떤 준거(기준이 되는 근거)에 의한 것이며 그것은 합리적인가?

- 문항 제작이 잘 되어 있으며, 행동 준거의 수집이 정확한가?

- 타당도 또는 타당성이 보고되어 있는가?

- 검사 전문가가 그 도구에 대하여 어떤 의견을 가지고 있는가?


신뢰도와 타당도의 관계 :

- 신뢰도는 타당도의 선행 요건으로서 타당도가 높기 위해서는 반드시 신뢰도가 높아야 한다. 즉, 신뢰도가 낮으면 타당도 역시 낮을 수밖에 없다.

- 그러나 신뢰도가 높다고 해서 반드시 타당도가 높은 것은 아니다. 높은 신뢰도는 높은 타당도를 위한 필요 조건이지만 충분 조건은 아니다.

- 타당도가 낮다고 하여 반드시 신뢰도가 낮은 것은 아니다.

- 타당도가 없어도 신뢰도를 가질 수 있다.

- 타당도가 있으면 반드시 신뢰도가 있다.

 

 

(4) 객관도(Objectivity) : 

 

객관도라고 하는 것은 주로 검사의 채점이 객관적인 것을 일컫는다. 따라서 정답과 오답의 구분이 명확하며, 채점이 용이한 것이 표준화 검사로서 바람직하다.

 

 

(5) 실용도(Practicability) : 

 

검사의 도구가 얼마나 시간, 비용, 노력을 적게 들이고 사용할 수 있느냐의 정도를 뜻한다. 아무리 신뢰도나 타당도가 높더라도 실시나 채점이 복잡하고 힘들다면 곤란하다.

 

② 실용도에는 실시의 용이성, 채점의 용이성, 해석의 용이성, 비용의 저렴성 등이 있다.

 

 

💬 검사의 타당도나 신뢰도는 우선적으로 검사 선정에 고려하지만 또 하나 고려되어야 할 것은 그 검사가 얼마나 실용성이 있느냐 하는 것이다.

어떤 검사가 필요한 결정을 내리는 데 아무리 좋은 정보를 제공해 준다고 해도 그 검사를 실제 이용하는 데 필요한 비용이나 인간의 노력을 고려할 때, 때로는 이러한 검사의 도움 없이 불확실한 결정을 내릴 때 초래되는 손해보다도 더 많은 비용이 드는 경우가 있는 것이다.

이외에도 검사선정에 있어서 실제적인 문제로 검사의 가격이 피검사자에게 너무 큰 경제적 부담을 준다든가 또는 어떤 측정도구는 너무나 비싸서 사들일 수 없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비용 이외에도 많은 고용인을 검사하는 데 소비되는 시간 또는 학교나 군대 훈련기관 등의 일정하게 고정된 시간의 길이에 맞도록 되어야 할 것이다.

*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실용도 [實用度, practicability]

(교육학용어사전, 1995. 6. 29.,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③ 아무리 신뢰도나 타당도가 높다고 해도 사용하기가 불현하든지 하면 그리 바람직한 것이 못되므로, 실시가 쉬운 검사를 택해야 한다. 

 

④ 따라서 좋은 심리 검사는 표준화가 잘 되어 있고, 신뢰도 · 타당도 · 객관도 · 실용도가 높은 검사이다. 

 

 

반응형

 

 

3. 주요 개념

 

 

(1) 행동 표본 : 

 

① 심리 검사는 어떤 행동 표본에 대한 객관적이고 표준화된 측정 기구이다. 즉, 한 개인의 행동에 대한 표본 관찰이라고 할 수 있다.

 

② 행동의 표본을 측정한다는 것은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해서 일정 공간과 일정 시간상에서의 행동을 수집하는 것을 말한다.

 

③ 해당 검사가 문제의 그 행동을 적절하게 포괄하고 있으나 하는 문제는 분명히 그 표본에 들어간 문항의 수와 본성에 달렸다는 것이다.

 

 

(2) 심리적 구성물 :

 

① 개인의 심리적 속성은 추상적이고 비가시적인 것이어서 직접 측정하기가 쉽지 않고, 심지어는 그런 것들이 정말 존재하는지에 대해서 의심할 수도 있다.

 

② 심리학자는 특성의 구체적인 행동을 나름대로 관찰 가능한 형태로 정의하고, 이를 토대로 행동을 관찰한 다음, 개인의 심리적 구성물을 추론한다.

 

 

(3) 측정 :

 

① 어떤 대상이나 사건에 대해 일정한 규칙에 따라 수치를 할당하는 과정을 말한다. 즉, 지능 검사나 성격 검사도 특정 대상의 지적 능력이나 성격을 '수치'로 표현해 주는 도구이다.

 

② 측정은 대상 자체보다 대상의 어떤 속성에 수치를 할당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300x250

 

 

(4) 규준 :

 

① 특정 검사 점수의 해석에 필요한 기준이 되는 자료로, 한 특정 개인의 점수가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주는 것이다.

 

② 개인의 점수를 다른 사람의 점수와 비교해서 해석하는 과정에서 비교 대상이 되는 집단을 '규준 집단' 또는 '표준화 표본 집단'이라고 한다.

 

③ 비교 대상의 점수들을 연령별, 사회계층별, 직업군별로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이므로, 이런 규준 자료를 토대로 특정 개인이 받은 점수의 상대적 의미를 해석하는 것이다. 

 

 

 

■ 다음 시간에 계속, 직업 심리 검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및 참조 : [직업 심리학], 직업 심리 검사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