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직업 심리 검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심리 검사의 유형, 실시 방법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 규준과 점수 해석
(1) 규준(Norm, Canon) :
① 원점수 :
㉮ 원점수란 심리 검사를 채점해서 얻은 최초의 점수를 말한다.
㉯ 원점수는 수검자(검사를 받는 사람, 내담자)가 어느 정도의 수준에 있는지에 대해 극히 초보적인 정보만 제공해 준다.
㉰ 원점수의 단점 :
- 원점수는 그 자체로는 거의 아무런 정보를 주지 못한다.
- 원점수는 기준점이 없기 때문에 특정 점수의 크기를 표현하기 어렵다.
- 원점수는 서로 다른 검사의 결과를 동등하게 비교할 수 없다.
- 원점수는 척도의 종류로 볼 때 *서열 척도(ordinal scale)에 불과할 뿐, 사실상 *등간 척도(interval scale)가 아니다.
② 규준의 의의(규준의 뜻) :
㉮ 규준이란 특정 검사 점수의 해석에 필요한 기준이 되는 자료를 말한다.
㉯ 개인의 특정 점수가 어느 위치에 속하는지 해석하게 된다.
③ 규준의 필요성 :
㉮ 심리 검사 점수는 흔히 표준화된 집단의 검사 점수와 비교함으로써 그 의미를 해석하는데, 특정 검사 점수의 해석에 필요한 기준이 되는 자료를 규준이라고 한다.
㉯ 규준은 대표집단의 사람들에게 실시한 검사 점수를 일정한 분포도로 작성해서 만든 후, 한 개인의 점수가 이 분포의 어떤 위치에 속하는지, 즉 해당 점수가 대표집단의 평균 정도에 비해 더 높은지 낮은지를 찾아냄으로써 해석하게 된다.
④ 규준의 유형(종류) :
㉮ 발달 규준 :
수검자(검사를 받는 사람, 내담자)가 정상적인 발달 경로에서 얼마나 이탈해 있는지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원점수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다.
발달 규준은 다시 아래의 네 가지 규준으로 나뉜다.
✔연령 규준 :
- 개인의 점수를 규준 집단에 있는 사람들의 연령에 비교해서 몇 살에 해당되는지를 해석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다.
- 검사의 문항이 연령 수준별 척도로 되어 있어서 검사결과를 통해 수검자의 정신 연령 수준을 가늠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학년 규준 :
- 연령 규준과 마찬가지로 주로 성취도 검사에서 이용하기 위해 규준 집단에 있는 각학년별 점수의 평균이나 중앙치를 이용하여 규준을 제작하는 방법이다.
- 예를 들어, 어떤 학생의 능력 수준을 같은 학년의 학생들과 비교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의 능력이 몇학년에 해당하는 것인지를 알아보는 것도 의미가 있다.
✔언어발달 규준 :
- 개인의 점수를 규준 집단에 있는 사람들과 비교해서 언어발달 정도를 해석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다.
✔서열 규준 :
- 개인의 행동을 관찰하여 발달단계상 어느 정도 위치에 있는지를 해석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다.
㉯ 집단 내 규준 :
개인의 원점수를 규준 집단의 수행과 비교해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원점수가 서열척도에 불과한 것에 비해 집단 내 규준 점수들은 등간척도의 성질을 갖도록 변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집단 내 규준은 크게 아래의 네 가지로 다시 나뉜다.
✔백분위 점수 :
- 백분위란 어떤 점수 아래 사례수의 전체 사례수(100)에 대한 비율을 가리킨다. 즉, 한 점수가 분포상에서 서열로 따져 몇 %에 위치하고 있는가를 말하는 것으로, 개인이 표준화 집단에서 차지하는 상대적 위치를 일컫는다.
- 백분위가 높을수록 개인의 성적은 높게 나오고 백분위가 낮을수록 개인의 성적은 낮게 나온다.
- 계산이 쉽고 보편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일테면, 개인의 점수가 85점이고 백분위가 90일 때, 이는 85점보다 낮은 점수를 받은 사람이 90%라는 뜻이다.
✔표준 점수 :
- 백분위 외에 특정 점수의 상대적인 정보를 알 수 있는 방법은 원점수를 표준 점수로 변환하는 것으로, 분포의 표준 편차를 이용하여 원점수가 평균 점수로부터 벗어난 거리를 표시한 것이다.
- 즉, 원점수가 평균으로부터 표준 편차의 몇 배 만큼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낸다.
- 흔히 쓰이는 표준 점수에는 Z점수와 T점수가 있다. 서로 다른 체계로 측정한 점수들을 동일한 조건에서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Z점수 : 원점수를 평균 0, 표준 편차 1로 변환한 점수로 과목 간 성적 비교에 용이하다. +, - 값을 가질 수 있고 소수점이 나타날 수 있다.
Z = (원점수-평균)/표준편차
*T점수 : 원점수를 평균 50, 표준 편차 10으로 변환한 점수로 가장 일반적이고 신뢰 있는 표준 점수이다.
T= 10Z + 50(Z는 Z점수)
✔표준 등급 :
- 스테나인(Stanine, Standard Nine)이라고도 하며, 원점수를 크기 순서에 따라 배열한 후 백분율에 맞추어 1~9까지의 등급으로 나눈 것이다.
- 각 등급에 포함시키는 사례수는 중간등급이 가장 많고 전체적인 분포가 정상분포가 되도록 한다.
- 학교에서 실시하는 성취도 검사나 적성 검사의 결과를 나타날 때 주로 사용하며, 이 방법은 학생들의 점수를 정해진 범주에 집어넣음으로써 학생들 간의 점수 차가 적을 때 생길 수 있는 지나친 확대해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 각 등급의 백분율 :
등 급 1 2 3 4 5 6 7 8 9 백분율 (%) 4 7 12 17 20 17 12 7 4
✔편차 IQ(Deviation IQ, 편차 지능 지수) :
- 표준 점수 개념을 이용한 것으로 평균이 100이고 표준 편차는 15또는 16에 근접하는 표준 점수를 말한다.
- 표준 편차가 달라지면 편차 지능 지수의 분포 형태가 달라진다.
- 웩슬러 지능 검사 등 많은 집단용 지능 검사에서 편차 지능 지수를 사용한다.
⑤ 규준 표본(표집 방법) :
규준 집단을 구성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모집단에 대한 대표성을 확보할 수 있는 표본 추출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다.
표본 추출 방법에는 크게 확률 표집과 비확률 표집의 2가지가 있는데, 모집단을 구성하는 사례들이 표본에 속할 확률을 알고 있는 표집 방법인 확률 표집법은 아래와 같다.
㉮ 단순 무선 표집(Simple Rendom Sampling) :
단순 무선 표집은 모집단의 구성원들이 표본에 속할 확률이 동일하도록 표집하는 방법이다.
- 가장 기초적인 방법은 구성원들에게 일련번호를 부여하고, 이 번호 중에서 무선적으로 필요한 만큼 표집하는 방법이다.
㉯ 층화(유층) 표집(Stratified Sampling) :
- 단순 무선 표집을 응용한 방법으로 모집단이 규모가 다른 몇 개의 이질적인 하위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한다.
- 예를 들어 모집단이 종교를 가진 사람들이라면, 모집단에 포함된 여러 종파의 신도들을 각 종파별로 나누어서 해당 종파 내에서 필요한 만큼 무선 표집하는 방법이다.
㉰ 집락(군집) 표집(Cluster Sampling) :
- 모집단을 서로 동질적인 하위 집단으로 구분해서 집단 자체를 표집하는 방법을 말한다.
- 예를 들어 초등학교 1학년용 검사의 규준을 개발한다면, 표집 단위를 '개인'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반'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 즉, 전국의 초등학교 1학년의 반을 일련번호를 갖도록 정리한 후, 필요한 표본수를 채울 수 있도록 반을 체계적으로 표집했다면, 이는 집락 표집이다.
⑥ 측정의 표집 오차 :
표본(조사 대상자)이 모집단의 전체가 아니기 때문에 초래되는 것으로, 표본을 표집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차를 말한다.
즉, 모집단의 모수치(평균과 표준 편차)와 표본의 통계치(평균과 표준 편차)와의 차이를 말한다. 표본이 모집단을 잘 대표하면 표집 오차가 적고, 잘 대표하지 못하면 표집 오차가 커지게 된다.
표집 오차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무선 표집 오차 :
- 모집단에서 표본을 추출할 때 단순히 우연하게 생기는 오차를 의미하므로, 표본의 사례수가 클수록 표집 오차는 작아진다.
㉯ 편파에 의한 표집 오차 :
- 표집 방법이 잘못되어 나타나는 오차를 말한다. 모집단이 아무리 그렇더라도 오차가 사라지지 않는다. 표집을 정확하고 제대로 된 방법으로 실시해야 오차를 줄일 수 있다.
⑦ 규준 해석의 유의점 :
㉮ 규준은 절대적이거나 보편적인 것이 아니며, 영구적인 것도 아니다. 규준 집단 모집단을 잘 대표해야 한다.
㉯ 규준 집단이 충분히 다양한 변인들을 잘 고려해서 구성한 것인지 확인해야 한다. 표본수가 너무 작거나 지역적으로 편중되어서는 안 된다.
㉰ 규준 제작 시기가 너무 오래되어서는 안 된다.
■ 다음 시간에 계속, 직업 심리 검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및 참조 : [직업 심리학], 직업 심리 검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