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업 상담, 직업 심리

✔[직업 심리학] 직업 심리 검사③(직상 기출, 발달, 연령, 학년, 언어 발달, 서열 규준, 점수 해석, Z점수, T점수, 백분위, 표준 점수, 등급, 편차 IQ, 표집 방법, 유의점)

by 이야기가 있는 정원 2024. 6. 10.
728x90
반응형
728x170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직업 심리 검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심리 검사의 유형, 실시 방법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4.06.04 - [직업 상담, 직업 심리] - ✔[직업 심리학] 직업 심리 검사②(직상 기출, 심리 검사의 유형, 실시 방법, 속도, 역량, 개인, 집단, 지필, 수행, 동작 검사, 규준 참조, 준거 참조, 인지적, 정서적 검사, 직업 상담사)

 

✔[직업 심리학] 직업 심리 검사②(직상 기출, 심리 검사의 유형, 실시 방법, 속도, 역량, 개인, 집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직업 심리 검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좋은 검사 도구 구비 조건, 표준화, 신뢰도, 타당도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

narrare3.tistory.com

 

 

 

 

2. 규준과 점수 해석

 

 

(1) 규준(Norm, Canon) : 

 

① 원점수 : 

 

㉮ 원점수란 심리 검사를 채점해서 얻은 최초의 점수를 말한다.

 

㉯ 원점수는 수검자(검사를 받는 사람, 내담자)가 어느 정도의 수준에 있는지에 대해 극히 초보적인 정보만 제공해 준다. 

 

원점수의 단점

 

- 원점수는 그 자체로는 거의 아무런 정보를 주지 못한다.

 

- 원점수는 기준점이 없기 때문에 특정 점수의 크기를 표현하기 어렵다.

 

- 원점수는 서로 다른 검사의 결과를 동등하게 비교할 수 없다.

 

- 원점수는 척도의 종류로 볼 때 *서열 척도(ordinal scale)에 불과할 뿐, 사실상 *등간 척도(interval scale)가 아니다. 

 

 

 

 

서열척도

어떤 특성에 대한 집단 구성원간의 순위 관계를 결정하는 척도. 서수척도(序數尺度)라고도 한다. 이 척도의 기본적인 성질은 서열이며, 측정 결과 특성의 대소관계는 알 수 있지만 그 사이의 거

terms.naver.com

 

 

 

 

등간 척도

같은 간격을 가지지만 진정한 영점이 없는 척도로 수치의 비율 관계가 성립하지 않는다.

terms.naver.com

 

 

② 규준의 의의(규준의 뜻) :

 

㉮ 규준이란 특정 검사 점수의 해석에 필요한 기준이 되는 자료를 말한다.

 

㉯ 개인의 특정 점수가 어느 위치에 속하는지 해석하게 된다.

 

 

③ 규준의 필요성 :

 

㉮ 심리 검사 점수는 흔히 표준화된 집단의 검사 점수와 비교함으로써 그 의미를 해석하는데, 특정 검사 점수의 해석에 필요한 기준이 되는 자료를 규준이라고 한다.

 

㉯ 규준은 대표집단의 사람들에게 실시한 검사 점수를 일정한 분포도로 작성해서 만든 후, 한 개인의 점수가 이 분포의 어떤 위치에 속하는지, 즉 해당 점수가 대표집단의 평균 정도에 비해 더 높은지 낮은지를 찾아냄으로써 해석하게 된다.

 

 

300x250

 

 

④ 규준의 유형(종류) : 

 

㉮ 발달 규준 :

 

수검자(검사를 받는 사람, 내담자)가 정상적인 발달 경로에서 얼마나 이탈해 있는지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원점수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다.

 

발달 규준은 다시 아래의 네 가지 규준으로 나뉜다. 

 

✔연령 규준 :

- 개인의 점수를 규준 집단에 있는 사람들의 연령에 비교해서 몇 살에 해당되는지를 해석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다.

- 검사의 문항이 연령 수준별 척도로 되어 있어서 검사결과를 통해 수검자의 정신 연령 수준을 가늠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학년 규준 :


- 연령 규준과 마찬가지로 주로 성취도 검사에서 이용하기 위해 규준 집단에 있는 각학년별 점수의 평균이나 중앙치를 이용하여 규준을 제작하는 방법이다.

- 예를 들어, 어떤 학생의 능력 수준을 같은 학년의 학생들과 비교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의 능력이 몇학년에 해당하는 것인지를 알아보는 것도 의미가 있다.  


✔언어발달 규준 :

- 개인의 점수를 규준 집단에 있는 사람들과 비교해서 언어발달 정도를 해석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다.


✔서열 규준 :

- 개인의 행동을 관찰하여 발달단계상 어느 정도 위치에 있는지를 해석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다. 

 

 

 

㉯ 집단 내 규준 :

 

개인의 원점수를 규준 집단의 수행과 비교해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원점수가 서열척도에 불과한 것에 비해 집단 내 규준 점수들은 등간척도의 성질을 갖도록 변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집단 내 규준은 크게 아래의 네 가지로 다시 나뉜다.

 

 

728x90

 

 

✔백분위 점수 :

- 백분위란 어떤 점수 아래 사례수의 전체 사례수(100)에 대한 비율을 가리킨다. 즉, 한 점수가 분포상에서 서열로 따져 몇 %에 위치하고 있는가를 말하는 것으로, 개인이 표준화 집단에서 차지하는 상대적 위치를 일컫는다.

- 백분위가 높을수록 개인의 성적은 높게 나오고 백분위가 낮을수록 개인의 성적은 낮게 나온다. 

- 계산이 쉽고 보편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일테면, 개인의 점수가 85점이고 백분위가 90일 때, 이는 85점보다 낮은 점수를 받은 사람이 90%라는 뜻이다. 


✔표준 점수 :

- 백분위 외에 특정 점수의 상대적인 정보를 알 수 있는 방법은 원점수를 표준 점수로 변환하는 것으로, 분포의 표준 편차를 이용하여 원점수가 평균 점수로부터 벗어난 거리를 표시한 것이다.

- 즉, 원점수가 평균으로부터 표준 편차의 몇 배 만큼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낸다.

- 흔히 쓰이는 표준 점수에는 Z점수와 T점수가 있다. 서로 다른 체계로 측정한 점수들을 동일한 조건에서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Z점수 : 원점수를 평균 0, 표준 편차 1로 변환한 점수로 과목 간 성적 비교에 용이하다. +, - 값을 가질 수 있고 소수점이 나타날 수 있다.

Z = (원점수-평균)/표준편차

*T점수 : 원점수를 평균 50, 표준 편차 10으로 변환한 점수로 가장 일반적이고 신뢰 있는 표준 점수이다.

T= 10Z + 50(Z는 Z점수)


✔표준 등급 :

- 스테나인(Stanine, Standard Nine)이라고도 하며, 원점수를 크기 순서에 따라 배열한 후 백분율에 맞추어 1~9까지의 등급으로 나눈 것이다.

- 각 등급에 포함시키는 사례수는 중간등급이 가장 많고 전체적인 분포가 정상분포가 되도록 한다.

- 학교에서  실시하는 성취도 검사나 적성 검사의 결과를 나타날 때 주로 사용하며, 이 방법은 학생들의 점수를 정해진 범주에 집어넣음으로써 학생들 간의 점수 차가 적을 때 생길 수 있는 지나친 확대해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각 등급의 백분율 :

등 급 1 2 3 4 5 6 7 8 9
백분율 (%) 4 7 12 17 20 17 12 7 4

✔편차 IQ(Deviation IQ, 편차 지능 지수) :

- 표준 점수 개념을 이용한 것으로 평균이 100이고 표준 편차는 15또는 16에 근접하는 표준 점수를 말한다.

- 표준 편차가 달라지면 편차 지능 지수의 분포 형태가 달라진다.

- 웩슬러 지능 검사 등 많은 집단용 지능 검사에서 편차 지능 지수를 사용한다.

 

 

 

⑤ 규준 표본(표집 방법) : 

 

규준 집단을 구성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모집단에 대한 대표성을 확보할 수 있는 표본 추출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다. 

 

표본 추출 방법에는 크게 확률 표집과 비확률 표집의 2가지가 있는데, 모집단을 구성하는 사례들이 표본에 속할 확률을 알고 있는 표집 방법인 확률 표집법은 아래와 같다.

 

 

㉮ 단순 무선 표집(Simple Rendom Sampling) :

 

단순 무선 표집은 모집단의 구성원들이 표본에 속할 확률이 동일하도록 표집하는 방법이다.

 

- 가장 기초적인 방법은 구성원들에게 일련번호를 부여하고, 이 번호 중에서 무선적으로 필요한 만큼 표집하는 방법이다. 

 

 

㉯ 층화(유층) 표집(Stratified Sampling) : 

 

- 단순 무선 표집을 응용한 방법으로 모집단이 규모가 다른 몇 개의 이질적인 하위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한다.

 

- 예를 들어 모집단이 종교를 가진 사람들이라면, 모집단에 포함된 여러 종파의 신도들을 각 종파별로 나누어서 해당 종파 내에서 필요한 만큼 무선 표집하는 방법이다.

 

 

㉰ 집락(군집) 표집(Cluster Sampling) :

 

- 모집단을 서로 동질적인 하위 집단으로 구분해서 집단 자체를 표집하는 방법을 말한다. 

 

- 예를 들어 초등학교 1학년용 검사의 규준을 개발한다면, 표집 단위를 '개인'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반'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 즉, 전국의 초등학교 1학년의 반을 일련번호를 갖도록 정리한 후, 필요한 표본수를 채울 수 있도록 반을 체계적으로 표집했다면, 이는 집락 표집이다.

 

 

⑥ 측정의 표집 오차 : 

 

표본(조사 대상자)이 모집단의 전체가 아니기 때문에 초래되는 것으로, 표본을 표집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차를 말한다. 

 

즉, 모집단의 모수치(평균과 표준 편차)와 표본의 통계치(평균과 표준 편차)와의 차이를 말한다. 표본이 모집단을 잘 대표하면 표집 오차가 적고, 잘 대표하지 못하면 표집 오차가 커지게 된다.

 

표집 오차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무선 표집 오차 :

 

- 모집단에서 표본을 추출할 때 단순히 우연하게 생기는 오차를 의미하므로, 표본의 사례수가 클수록 표집 오차는 작아진다.

 

 

㉯ 편파에 의한 표집 오차 :

 

- 표집 방법이 잘못되어 나타나는 오차를 말한다. 모집단이 아무리 그렇더라도 오차가 사라지지 않는다. 표집을 정확하고 제대로 된 방법으로 실시해야 오차를 줄일 수 있다.

 

 

반응형

 

 

⑦ 규준 해석의 유의점 : 

 

㉮ 규준은 절대적이거나 보편적인 것이 아니며, 영구적인 것도 아니다. 규준 집단 모집단을 잘 대표해야 한다.

 

㉯ 규준 집단이 충분히 다양한 변인들을 잘 고려해서 구성한 것인지 확인해야 한다. 표본수가 너무 작거나 지역적으로 편중되어서는 안 된다.

 

㉰ 규준 제작 시기가 너무 오래되어서는 안 된다.

 

 

 

■ 다음 시간에 계속, 직업 심리 검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및 참조 : [직업 심리학], 직업 심리 검사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