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은 직업 상담사(Vocational Counselor, Career Counselor)의 윤리(강령)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직업 선택의 결정 이론 모형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직업 상담학] 직업 선택의 결정 이론 모형(타이드만과 오하라, 힐튼, 브룸, 수, 플레처, 기술적
◆ 오늘은 직업 선택의 결정 이론(모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직업 상담의 기법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4.04.19 - [직업 상담, 직업 심리] - ✔[직업
narrare3.tistory.com
1. 직업 상담사의 윤리 강령
(1) 일반 원칙 :
① 상담자는 내담자가 자기 및 타인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보다 바람직한 사회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담자는 도움을 청하는 내담자의 복지를 보호한다.
② 내담자를 돕는 과정에서 상담자는 문의 및 의사소통의 자유를 갖되, 그에 대한 책임을 지며 동료의 관심 및 사회 공익을 위하여 최선을 다한다.
(2) 개별 원칙 :
① 사회 관계 :
㉮ 상담자는 자기가 속한 기관의 목적 및 방침과 모순되지 않는 활동을 할 책임이 있다.
만일 그의 전문적 활동이 소속 기관의 목적과 모순이 되고, 윤리적 행동 기준에 관하여 직무 수행 과정에서의 갈등을 해소할 수 없을 경우에는 그 소속 기관과의 관계를 종결하여야 한다.
㉯ 상담자는 사회 윤리 및 자기가 속한 지역 사회의 도덕적 기준을 존중하며, 사회 공익과 자기가 종사하는 전문직의 바람직한 이익을 위해 최선을 다한다.
㉰ 상담자는 자기가 실제로 갖추고 있는 자격 및 경험의 수준을 벗어나는 인상을 타인에게 주어서는 안 되며, 타인이 실제와 다른 인식을 가지고 있을 경우 이를 시정해 줄 책임이 있다.
② 전문적 태도 :
㉮ 상담자는 상담에 대한 이론적 · 경험적 훈련과 지식을 갖추는 것을 전제로 하며, 내담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는 방법에 관하여 꾸준히 연구 노력하는 것을 의무로 삼는다.
㉯ 상담자는 내담자의 성장 촉진 및 문제의 해결 및 예방을 위하여 시간과 노력상의 최선을 다한다.
㉰ 상담자는 자기의 능력 및 기법의 한계를 인식하고 전문적 기준에 위배되는 활동을 하지 않는다. 만일 자신의 개인 문제 및 능력의 한계 때문에 도움을 주지 못하리라고 판단될 경우에는 다른 전문적 동료 및 관련 기관에 문의한다.
③ 개인 정보의 보호 :
㉮ 상담자는 내담자의 개인 및 사회에 임박한 위험(예 : 자살, 테러 등)이 있다고 판단될 때 극히 조심스러운 고려 후에 내담자의 개인정보와 상담 내용을 적정한 전문인 혹은 사회 당국에 공개한다.
㉯ 상담에서 얻은 임상 및 평가 자료에 관한 토의는 사례 당사자와의 경우 및 전문적 목적에 관하여 할 수 있다.
㉰ 내담자에 관한 정보를 교육 장면이나 연구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내담자와 합의한 후 그의 정체가 전혀 노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 비밀 보장의 수준 :
- 모든 상담자는 내담자에 관한 정보를 전문적인 방법으로 다룰 의무가 있다.
- 상담 상황에서 내담자는 정보가 자신의 복지를 위해서만 사용될 것을 기대할 권리가 있다.
-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조력적이고 비밀을 보장하는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 충격적인 비밀을 나눌 수 있다.
- 내담자가 범법행위를 했거나 범죄의 피해자일 경우 보고하여야 한다.
✅ 비밀 보장 원칙의 예외 :
- 내담자가 학대(신체적 학대, 성 학대, 정신적 학대)를 받고 있는 경우
- 내담자가 생명의 위협을 받고 있는 경우
- 내담자가 자기 자신이나 타인을 위험에 빠뜨릴 경우
- 내담자가 자살을 실행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 내담자가 치명적인 질병에 걸린 경우
- 내담자가 심각한 범죄 실행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
- 법적으로 정보의 공개가 요구되는 경우
④ 내담자의 복지 :
㉮ 상담자는 상담 활동의 과정에서 소속 기관 및 비전문인과의 갈등이 있을 경우 내담자의 복지를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자신의 전문적 집단의 이익을 부차적인 것으로 간주한다.
㉯ 상담자는 내담자가 자기로부터 도움을 받지 못하고 있음이 분명할 경우에는 상담을 종결하려고 노력한다.
㉰ 상담자는 상담의 목적에 위배되지 않는 경우에 한하여 검사를 실시하거나 내담자 이외의 관련 인물을 면접한다.
⑤ 상담 관계 :
㉮ 상담자는 상담 전에 상담의 절차 및 있을 수 있는 주요 국면에 관하여 내담자에게 설명한다.
㉯ 상담자는 자신의 주관적 판단에만 의존하지 않고 내담자와의 협의하에 상담 관계의 형식 · 방법 및 목적을 설정하고 결과를 토의한다.
㉰ 상담자는 내담자가 이해 · 수용할 수 있는 한도에서 상담의 기법을 활용한다.
㉱ 과거 상담자와 성적 관계가 있었던 내담자와는 상담 관계를 맺을 수 없다.
이중관계
상담자와 내담자가 치료적인 관계뿐만 아니라 친인척, 사업 동반자, 친구, 이성관계 등 다른 역할의 관계가 중복되어 있는 상황. 이중관계는 상호관계를 정립하지 못했거나 비윤리적일 수도 있
terms.naver.com
⑥ 타 전문직과의 관계 :
㉮ 상담자는 상호 협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타 전문인으로부터 도움을 받고 있는 내담자에게 상담을 하지 않는다. 만약 공동으로 도움을 줄 경우에는 타 전문인과의 관계와 조건에 관하여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 상담자는 자기가 아는 비전문인의 윤리적 행동에 관하여 중대한 의문을 발견했을 경우, 그러한 상황을 시정하는 노력을 할 책임이 있다.
㉰ 상담자는 자신의 전문적 자격이 타 전문직을 손상시키는 언어 및 행동을 삼간다.
⑦ 취업 알선과 관련된 정보 :
상담자는 취업 알선과 관련된 정보에 대하여 그 정확성을 최대한으로 유지하고, 취업 알선의 결과를 즉시 전산망에 입력, 삭제, 보완하여 그 정확성을 유지한다.
■ 오늘은 직업 상담사의 윤리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 출처 및 참조 : [직업 상담학], 직업 상담사의 윤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