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부터는 직업 상담의 기법 중 내담자 사정(자료 수집 및 평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생애 진로 사정(LCA)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직업 상담학] 생애 진로 사정(Life Career Assessment, 구조, 매뉴얼, 진로 사정, 평가, 전형적인 하루
◆ 오늘은 생애 진로 주제와 관련하여 구조화된 면담법 중 하나인 생애 진로 사정(LCA)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생애 진로 주제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
narrare3.tistory.com
1. 동기 사정하기
(1) 개요 :
✅ 사정(assessment) :
내담자의 의사결정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고 평가하는 과정이다. 사정을 위하여 수집되는 자료는 양적 자료 또는 질적 자료일 수 있다.
*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교육학 용어 사전
① 동기와 역할 사정은 내담자의 현재 상황과 미래에 대한 기대 수준을 진단한다.
② 동기와 역할을 사정할 때에는 자기보고(self-report)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자기보고는 내담자 스스로 자신을 탐색하게 하는 것으로, 인지적 명확성이 있는 내담자에게 매우 효과적이다.
③ 만약 인지적 명확성이 낮다면 보고법이 익숙하지 못해서 해석이 어렵기 때문에 개인 상담을 먼저 한 후에 직업 상담을 실시하는 것이 좋다.
(2) 인지적 명확성의 결여시 행해져야 하는 사정 :
① 내담자의 동기(Motivation)를 사정하는 것은 상황에 대한 인지적 명확성을 가장 중점적으로 보아야 한다. 동기의 결여는 여러 요인에 의한 것일 수 있으며, 인지적 명확성의 결여도 포함된다.
💬 예를 들어 너무 높은 목표를 잡아서 낮은 자긍심으로 힘들어 하는 사람은 목표 달성의 동기가 높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양극적 사고, 일테면 'OO 대학을 못가면 내 인생은 실패'라고 생각하는 경우이다. 이런 사람은 원하는 특정 대학에 대한 진로를 제외하면 직업 상담을 계속 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상담자는 동기상의 문제를 예측할 줄 알아야 하고, 동기상의 문제가 직업 선택에 불완전하게 종결짓게 하는 원인이 된다면 그 문제들을 제거해야 한다.
② 이러한 동기에 대한 인지적 명확성을 사정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해야 한다.
㉮ '지금 시점에서 진로를 선택하거나 현재의 진로를 바꾸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가? (상황의 중요성 사정)
㉯ '진로를 선택하거나 현재의 진로를 바꾸는 것을 성공적으로 했는지에 대해 어느 정도 확신하고 있는가?' (자기효능감 기대)
㉰ '자신의 상황이 나아질 것이라고 어느 정도 확신하는가?' (결과 기대)
㉱ '진로를 선택하거나 바꾸는 데 있어서 일을 잘한다는 것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는가?' (수행에 대한 기준)
③ 동기 사정의 효과 :
㉮ 진로 선택에 관한 중요성을 증가시킨다.
㉯ 좋은 선택이나 전환을 할 수 있는 *자기효능감을 증가시킨다.
㉰ 기대한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신을 배가한다.
㉱ 진로 선택과 결정의 과정에 충분한 노력을 기울인다.
✅ 자기효능감(self-efficacy) :
과제를 끝마치고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스스로의 평가.
자기 효능감
과제를 끝마치고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스스로의 평가. [ 1. 개요] 자기 효능감은 과제를 끝마치고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스스로의 평가를 가리킨다. 심
terms.naver.com
✅ 직업 상담의 사정 단계 :
- 제 1단계 : 인지적 명확성 존재(내담자에게 인지적 명확성이 존재하는가?)
- 제 2단계 : 내담자의 동기 존재(내담자에게 동기가 존재하는가?)
- 제 3단계 : 내담자의 자기진단(내담자가 자기진단을 통해 자신을 노출하고 있는가?)
- 제 4단계 : 내담자의 자기진단 탐색(내담자가 자기진단을 확인했는가, 안 했는가?)
2. 가치 사정하기
(1) 개요 :
① 가치(Value)란 사람의 기본 신념에 해당하며, 신념이란 사람들이 가장 신성하게 간직하고 있는 것이다.
② 가치는 동기의 원천이자 개인적인 충족의 근거가 되며, 일정 영역에서의 개인적인 수행기준, 개인의 전반적인 달성 목표의 원천 등이 되기도 한다.
③ 인간은 자신의 삶에서 무엇을 지향할 것인가에 관하여 다양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데, 어떤 사람은 자신이 지향하는 환경 안에서 외면적으로 표현하는 반면, 어떤 사람은 내면적으로 표현한다.
④ 이는 개인적인 가치들이 인간의 행동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자기보고식 가치 사정 :
① 가치의 공식적인 측정법이 흥미나 적성 등 다른 사정 도구만큼 발달되지 못한 상태이지만, 일반적으로 가치 사정은 자기보고식 사정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② 자기보고식 사정 방법의 종류 :
㉮ 체크 목록 가치에 순위 매기기 :
목록 중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가치와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가치에 대해 '+, -' 표시를 하도록 하며, 그 결과에 대해 순위를 매긴다.
㉯ 과거의 선택 회상하기 :
직업 및 여가의 선택 등 과거 선택에서의 경험을 파악하며, 그것을 선택한 기준에 대해 조사한다.
㉰ 절정 경험 조사하기 :
자신이 체험한 최고의 경험에 대해 회상하도록 하거나, 이를 상상하도록 하여 그 과정에 대해 설명하게 한다.
㉱ 자유 시간과 금전의 사용 :
자신에게 자유 시간이 주어지는 경우 또는 예상치 못한 돈이 주어지는 경우 이를 어떠한 목적으로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 상상하도록 한다.
㉲ 백일몽 말하기 :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개인적인 환상으로서의 백일몽을 이야기하도록 한다.
㉳ 존경하는 사람 기술하기 :
자신이 존경하는 사람들이 누구인지 제시하도록 한다.
(3) 가치 사정의 용도 :
① 내담자의 자기 인식(Self-awareness)을 발전시킨다.
② 현재 상황에 대한 불만족 근거를 발견한다.
③ 역할 갈등의 근거를 찾는다.
④ 저수준의 동기 또는 성취의 근거를 찾는다.
⑤ 개인의 흥미나 성격에 대한 예비사정 용도로 활용한다.
⑥ 직업의 선택이나 전환의 기틀을 제시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한다.
■ 다음 시간에 계속, 내담자 사정(평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및 참조 : [직업 상담학], 직업 상담의 기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