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야기가 있는 정원, 궁금한 심리학 용어

✔인지적 구두쇠, Cognitive miser, 심리학 용어, 인지적 인색함, 스키마, 사회적 스키마 종류, 인지 도식, 스키마 장단점, 한계점, 수잔 피스크, 셸리 테일러, 사회 인지 이론

by 이야기가 있는 정원 2025. 1. 7.
728x90
반응형
728x170

 

 

 

 

 

◇ 저번 시간에는 결과에 대해 지나치게 낙관하는 것, 즉 합리성이 결여된 채 지나친 기대를 보내는 '낙관 편향(optimism bias)' 또는 '낙관적 편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낙관적 편향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4.11.19 - [이야기가 있는 정원, 궁금한 심리학 용어] - ✔낙관적 편향이란(심리학 용어, Optimism bias, 인지 편향, 나에게는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아, 건강한 낙관주의, 스톡테일 패러독스, 확증 편향, 과신 편향, 의사결정)

 

✔낙관적 편향이란(심리학 용어, Optimism bias, 인지 편향, 나에게는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아, 건강

◆ 저번 시간에는 '격려'하면 떠오르는 심리학자 알프레드 아들러의 이론을 빌어 '격려와 칭찬의 차이'와 왜 칭찬보다 더 격려가 필요한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

narrare3.tistory.com

 

 

 

1. 생각하는 게 귀찮아

 

 

이른바 지능이 높은 사람이든 아니든 간에 사람은 누구나 문제 해결에 대해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다.

 

세상은 복잡하고, 그에 따라 내 앞에 놓인 여러 가지 문제들 또한 복잡하기 마련이다. 

 

이것은 이 문제에 대한 여러 정보를 종합해서 어떤 판단을 내릴지에 대한 이른바 '인지적 과정'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그래야만 그 판단에 근거한 어떤 행동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300x250

 

 

그런데 이것은 쉽게 말해서 종종 귀찮기도 하고 그럴 수만 있다면 누가 대신해주었으면 하는, 에너지가 꽤나 소비되는 일이기도 하다.

 

사람은 복잡한 것을 간단명료하게 정리해서 이해하기를 좋아하는데, 바꾸어 말해서 이는 두뇌가 가동될 때 발생하는 에너지를 최대한 적게 쓰는 것을 선호한다는 뜻도 된다.

 

안 그래도 복잡다단하고 분초 단위로 바쁜 세상에서 살고 있는데, 무엇인가를 생각하는 것에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소비하는 것조차도 비효율적이라고 여기는 것이 현대인의 특징이다.

 

즉 구두쇠가 한 푼의 돈도 아끼듯이, 인지적으로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면서 어떤 생각을 깊게 하는 것을 싫어한다는 것을 일컬어 '인지적 구두쇠(Cognitive miser), 또는 '인지적 인색함'이라고 부른다.

 

 

 

2. 인지적 구두쇠 이론

 

 

인지적 구두쇠, 또는 인지적 인색함 이론은 미국의 심리학자이자 공공 행정학 교수로 재직한 수잔 피스크(Susan Tufts Fiske)와 심리학자이자 교수인 셸리 테일러(Shelley Elizabeth Taylor)가 1984년에 제시하였다.

 

이는 사회 인지 이론의 핵심이기도 한데, 수잔 피스크와 셀리 테일러는 공저 「사회적 인지, ( Social Cognition) 1984」에서 사람들이 인지적 인색함을 보이는 주된 이유는 '인간은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에 한계가 있으므로 가능한 한 지름길을 택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이 이론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어떤 문제에 대해 합리적, 또는 신중하게 생각하지 않고 앞에서 말한 인지적 에너지를 덜 사용하려는 시도, 즉 '인지적 지름길'을 사용하여 추론하고 판단을 내린다고 본다. 

 

그러면서 이러한 인지적 지름길의 배경에는 스키마(Schema, 인지 도식), 스크립트(Script) 등의 단순화된 지각 전략이 있다고 하였다.

 

728x90

 

 

스키마(Schema) :

지식의 추상적 구조, 즉 정보를 통합하고 조직화하는 인지적 개념 또는 틀을 말한다. 


스크립트(Script) :

정형화된 상황에서 통상 일어나는 일련의 사건들에 관한 도식적 지식. 즉 스크립트는 판에 박힌 사건들에 관한 도식으로, 일상생활에서 친숙한 상황에 대해 형성되어 있다.

 

* 출처 : [두산 백과], 심리학

[네이버 지식백과]  실험 심리학 용어 사전, 

 

 

 

 

스키마

정보를 통합하고 조직화하는 인지적 개념 또는 틀을 말하며 '도식'이라고도 한다. 외부로부터의 정보를 조직화하고 인식하는 일련의 범주로서, 지각적 심상, 추상적 지식, 정서적 특성, 시간 순

terms.naver.com

 

 

 

3. 스키마에 대한 사회 심리학적 분류

 

 

피아제(Piaget)는 스키마 개념을 체계화한 인물이며, 수잔 피스크와 셀리 테일러는 스키마 개념을 사회 심리학에 도입함으로써 이를 더욱 발전시켰다.

 

두 사람은  「사회적 인지, (Social Cognition) 1984」에서 사회적 스키마에 대해 '사회적 대상, 사람, 역할, 사건에 대한 조직화된 인지 구조'라고 정의하였다. 

 

그러면서 사회적 스키마는 사회적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타인을 이해하고, 사회적 상황에서 적절하게 행동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주장하였다.

 

아래는 사회적 스키마의 종류이다.

 

 

(1) 자기 스키마(Self-Schema) : 

 

자신에 대한 신념, 가치관, 경험 등을 포함하는 인지 구조로, 자기 자신에 대한 정보 처리에 영향을 미친다. 

 

✅ 예 : 자신이 운동을 잘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운동 관련 정보를 더 잘 기억하고, 자신의 운동 능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2) 사람 스키마(Person schema) :

 

특정 인물이나 집단에 대한 인상, 성격, 특징 등에 대한 인지 구조로, 타인에 대한 정보 처리와 인상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예 : 이른바 '모범생'에 대한 스키마를 가진 사람은 특정 인물을 처음 만났을 때 그 사람의 외모, 행동, 말투 등을 바탕으로 그 사람이 '모범생'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그 사람에 대한 인상을 형성한다.

 

 

(3) 역할 스키마(Role schema) : 

 

특정한 사회적 역할(예: 의사, 교사, 학생)에 대한 기대와 행동 양식을 포함하는 인지 구조로, 특정 역할에 있는 사람들에 대한 정보 처리와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예 : '의사'에 대한 역할 스키마를 가진 사람은 의사가 환자를 진료하고, 처방전을 작성하고, 의학적 조언을 제공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4) 사건 스키마(Event schema / Script) : 

 

특정 사건이나 상황(예: 식당에서 음식 주문하기, 생일 파티)에 대한 일련의 절차와 행동 양식을 포함하는 인지 구조로, 특정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에 대한 지침을 제공한다.

 

✅ 예 : '식당에서 음식 주문하기'에 대한 사건 스키마를 가진 사람은 식당에 들어가서 자리에 앉고, 메뉴를 보고, 음식을 주문하고, 식사를 하고, 계산을 하는 일련의 절차를 알고 있다.

 

 

 

4. 스키마의 효과(장단점, 한계점)

 

 

(1) 장점 :

 

① 정보 처리의 효율성 증진 :

 

스키마는 새로운 정보를 처리하는 데 필요한 인지적 노력을 줄여준다.

 

일테면 '식당'에 대한 스키마를 가진 사람은 식당에 가서 메뉴판, 주문, 서빙, 계산 등 일련의 과정을 빠르게 예상하고 적응할 수 있으며, '운전' 스키마가 잘 발달된 사람은 복잡한 인지적 노력을 들이지 않고도 자동적으로 기어를 변속하고, 핸들을 조작하고, 교통 신호를 따를 수 있다.

 

 

② 예측 및 추론 능력 향상 : 

 

스키마는 상황에 대한 예측을 가능하게 하며, 불완전한 정보를 보완하고, 문제 해결 과정을 돕는다.

 

✔상황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다(예 : '시험'이라는 스키마를 가진 학생은 시험 날짜, 시험 범위, 문제 유형 등을 예상하고, 그에 맞춰 공부 계획을 세울 수 있다).

✔불완전한 정보를 보완한다(예 : "그녀는 사과를..."이라는 문장을 보았을 때, 우리는 '먹다'라는 단어가 생략되었다는 것을 자연스럽게 추론할 수 있다. 이는 우리가 '사과'와 '먹다'에 대한 스키마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 해결 과정을 돕는다(예 : '타이어 펑크'라는 스키마를 가진 사람은 타이어가 펑크 났을 때 당황하지 않고, 스키마에 따라 스페어 타이어로 교체하거나 보험 회사에 연락하는 등의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③ 기억력 향상 : 

 

스키마는 기억을 체계적으로 조직하고 저장하는 데 도움을 준다. 새로운 정보를 기존 스키마와 연결하여 저장함으로써, 나중에 그 정보를 더 쉽게 회상할 수 있다.

 

✔기억의 단서를 제공한다(예 : '생일 파티' 스키마는 케이크, 선물, 축하 노래 등과 같은 단서를 포함하고 있어서, 과거의 생일 파티를 회상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의미를 부여하고 기억을 강화한다(예 : 단순히 단어 목록을 암기하는 것보다, 그 단어들을 사용하여 이야기를 만드는 것이 더 효과적인 암기 방법인 이유는, 이야기가 단어들을 스키마로 엮어 의미를 부여하기 때문이다).

 

 

반응형

 

 

 

④ 사회적 상호작용의 촉진 :

 

스키마는 사회적 규범과 기대를 이해하고, 그에 맞춰 행동하도록 함으로써 사회적 적응을 돕는다.

 

㉮ 타인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예 : '친구' 스키마를 가진 사람은 친구의 행동을 더 잘 이해하고, 그에 적절하게 반응할 수 있다).

 

㉯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한다(예 : '의사-환자' 역할 스키마를 통해 의사와 환자는 서로의 역할에 맞는 행동을 기대하고, 그에 따라 효과적으로 소통할 수 있다).

 

 

⑤ 정서적 안정감의 제공 :

 

㉮ 예측 가능성 : 

 

스키마는 세상을 예측 가능하고 일관성 있게 만들어 줌으로써 정서적 안정감을 제공한다. 익숙한 상황에서는 스키마를 통해 다음에 무슨 일이 일어날지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불안감이 줄어든다.

 

㉯ 통제감 :

 

스키마는 자신의 행동과 그 결과를 예측할 수 있게 해 줌으로써 통제감을 느끼게 한다. 이는 특히 스트레스 상황에서 중요하다.

 

㉰ 소속감 :

 

사회적 스키마는 특정 집단에 대한 소속감을 느끼게 하고, 사회적 지지를 얻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2) 한계점(단점) : 

 

① 고정 관념과 편견 :

 

스키마는 고정관념과 편견의 형성과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사회적 스키마(social schema), 그 중에서도 집단에 대한 스키마(group schema)는 고정관념과 편견으로 이어지기 쉽다.

 

㉮ 단순화 및 범주화 :

 

스키마는 복잡한 사회적 대상을 단순화하고 범주화하여 인지적 자원을 절약하는 등의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개인의 특성보다는 집단의 특성에 초점을 맞추게 된다.

 

㉯ 부정적 감정 유발 :

 

특정 집단에 대한 부정적인 스키마는 그 집단에 대한 편견, 즉 부정적인 감정을 유발할 수 있다.

 

 

② 정보의 왜곡 :

 

스키마는 확증 편향, 선택적 지각, 기억 왜곡 등을 유발할 수 있다.

 

 

③ 변화에 대한 저항 :

 

스키마는 인지적 경직성, 자기실현적 예언 등을 유발할 수 있다.

 

 

④ 문화적 차이 :

 

스키마는 개인의 경험과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같은 대상이나 상황에 대해서도 문화권마다 다른 스키마를 가질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문화적 스키마를 가진 사람들은 의사소통 과정에서 오해나 갈등을 겪을 수 있다.

 

 

스키마 형성 및 변화 기제에 대한 불명확성 : 

 

스키마가 어떻게 형성되고, 어떤 과정을 통해 변화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메커니즘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스키마의 변화를 유도하는 효과적인 방법에 대한 연구도 부족하다.

 

 

■ 오늘은 '인지적 구두쇠'에 대해 알아보았다. 

 

* 출처 및 참조 : [나무 위키] 스키마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