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번 시간에 이어 오늘도 상담의 이론 중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억압, 퇴행, 주지화, 전치 등의 자아방어기제, 상담목표와 기법 중 성장의 촉진, 자기체계의 성숙, 인간관계의 성숙, 현실수용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 상담자의 역할 :
① 전통적인 정신분석 치료의 상담자는 익명의 위치를 취하는데, 이것은 때로 '텅빈 장막(Blank-Screen) 접근법' 이라고 불린다. 이 접근에서 상담자는 긴 치료과정 동안에도 자신을 거의 공개하지 않고 중립적인 감정을 지녀야 한다.
② 왜냐하면 그들은 '전이관계(Transference Relationship)'를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전이관계에서 내담자는 상담자에게 투사를 하게 되는데, 내담자는 면담을 통해 상담자에게서 자신에게 유익한 어떤 것을 얻기를 기대할 권리가 있다.
③ 또한 면담으로부터 내담자는 자신이 누구이며 어떻게 살고 있는지, 그들의 삶에 어떤 지식을 적용시켜야 보다 더 효과적인가에 대해 학습하기를 기대할 권리가 있다.
④ 즉, 궁극적으로 상담자의 중심 기능은 내담자가 사랑하고 일할 수 있는 자유를 얻도록 돕는 것이다.
- 상담자는 내담자의 마음 속에 떠오르는 생각, 심상, 느낌, 감정 등을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돕는다.
- 상담자는 내담자로 하여금 전이가 일어나도록 만드는 동시에, 해석을 통하여 전이를 좌절시킨다.
- 상담자는 내담자가 보이는 심리적 저항을 관찰하고, 적절하게 다룬다.
- 상담자는 내담자를 있는 그대로 비추는 거울처럼 행동해야 한다.
- 상담자는 내담자가 이해한 것을 현실에 적용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3) 내담자의 역할 :
① 전통적인 정신분석 치료에서 내담자는 집중적이고 장기적인 치료(상담)과정에 기꺼이 자신을 맡길 수 있어야 한다.
② 전통적인 정신분석 치료에서 보통 내담자는 3~5년 동안 매주 수차례 치료(상담)을 받는다. 내담자는 치료비, 일정 기간의 치료, 집중적 치료 과정에 전심전력할 것을 치료자와 합의하여야 한다.
(4) 상담기법 :
① 자유연상(Free Association) :
㉮ 자유연상은 어떤 대상, 자극, 상황 등과 관련해서 내담자가 자신의 마음 속에 떠오르는 생각, 감정, 기억 들을 그대로 이야기하는 방법을 말한다.
㉯ 상담자는 내담자의 연상에 귀를 기울여, 그것을 통해 내담자의 무의식 속에 숨어 있는 자료를 수집하고 해석하여 내담자의 통찰을 도와야 한다.
② 꿈의 분석(Dream Analysis) :
㉮ 잠을 자는 동안에는 내담자의 방어기제가 약해져 무의식 속의 충동, 욕구, 상처 등 억압된 욕망과 갈등이 의식의 표면으로 쉽게 떠오른다.
㉯ 상담자는 이러한 꿈을 분석하고 해석함으로써, 문제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밝히고, 내담자가 자신의 내면을 통찰할 수 있도록 돕는다.
③ 전이(Transference) :
㉮ 이는 내담자가 과거 자신에게 중요하고 의미 있던 사람에게 느꼈던 감정이나 생각을 현재의 상담자에게 느끼는 것을 말한다.
㉯ 상담자는 내담자의 전이를 유도하고 분석함으로써, 내담자가 무의식적 갈등을 통찰할 수 있도록 돕는다.
④ 저항(Resistance) :
㉮ 저항은 내담자가 현 상태를 유지시키고 변화를 막기 위해, 자신이 억압했던 생각이나 감정 등을 의식의 표면으로 떠오르지 않게 하려는 것을 일컫는다.
㉯ 따라서 상담자는 내담자의 저항에 대한 분석. 해석을 통해 내담자가 무의식적으로 숨기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피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지, 그리고 불안해하거나 두려워하는 것은 무엇인지 등에 대한 의미를 파악하여, 내담자가 통찰을 얻도록 돕는다.
⑤ 해석(Interpretation) :
이는 상담자가 꿈, 자유연상, 저항, 전이 등에서 나타나는 내용 중 명확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 내담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지적하고 설명해 주는 것을 말한다.
⑥ 훈습(Working-through) :
㉮ 훈습은 상담 과정에서 느낀 내담자의 통찰이 현실 생활에 실제로 적용되어 내담자에게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 통찰은 그 자체로 최종 목표가 아닌 하나의 과정에 불과한데, 통찰이 아무리 심도가 깊다고 해도 그것이 실천으로 옮겨지지 않는 경우 상담의 궁극적인 목표에 도달할 수는 없는 것이다.
㉰ 따라서 상담자는 내담자가 상담을 통해 얻은 통찰을 현실에 적용하여 자신의 갈등을 해결하려는 노력을 할 때, 적절한 강화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⑦ 버텨주기(Holding) :
버텨주기는 내담자가 막연하게 느끼지만, 스스로는 직면할 수 없는 불안과 두려움에 대해 상담자의 이해를 적절한 순간에 적합한 방법으로 전해주면서, 내담자에게 의지가 되어주고 따뜻한 배려로 마음을 녹여주는 것이다.
⑧ 간직하기(Containing) :
간직하기는 내담자가 불안과 두려움을 느끼는 충동과 체험에 대해 상담자가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대신, 이를 마음 속에 간직하여 적절하게 통제함으로써 위험하지 않도록 변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5) 상담과정 :
① 초기단계 :
㉮ 상담자는 내담자와 신뢰관계를 형성하며, 자유연상과 꿈의 분석을 통해 내담자의 심리적 문제를 드러내어 치료동맹을 맺는다.
㉯ 이러한 치료동맹은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수용과 이해의 자세를 보임으로써 맺어지며, 그 과정에서 내담자의 전이에 대한 욕구가 촉진된다.
② 전이단계 :
㉮ 내담자는 유아기 때 중요한 대상에게 가졌던 감정을 상담자와의 관계에서 반복하려고 한다.
㉯ 상담자는 이러한 내담자의 전이 욕구에 대해 중립적인 자세를 취하고, 해석 및 참여적 관찰자의 역할을 함으로써 내담자의 욕구를 좌절시킨다. 또한 이때 상담자의 역전이에 대한 분석 및 해결도 병행되어야 한다.
③ 통찰단계 :
㉮ 내담자는 상담자에게 자신의 의존 욕구나 사랑 욕구의 좌절 때문에 생기는 적개심 등의 감정을 표현하면서, 자신의 부정적인 감정이 애정과 의존 욕구의 좌절에서 비롯된 것임을 깨닫게 된다.
㉯ 그리고 내담자는 상담자에게 자신의 욕구가 좌절된 것에 대한 반감을 표시할 수도 있는데, 상담자는 내담자의 이와 같은 욕구를 다루게 됨으로써 그로 인해 야기된 감정을 보다 쉽게 다룰 수 있다.
④ 훈습단계 :
㉮ 훈습단계에서 상담자는 내담자가 통찰한 것을 토대로, 그로 하여금 자신의 행동과 태도를 변경하도록 유도하고, 실제 생활로 옮기도록 돕는다.
㉯ 상담자는 훈습 단계를 통해 내담자의 변화된 행동이 어느 정도 안정 수준에 이르게 되면 종결을 준비한다.
(6) 정신분석 이론의 공헌 및 한계 :
① 공헌점 :
- 인간이 스스로 인지하지 못한 충동에 의해 사고나 행동이 동기화된다는 것을 밝혀냈다.
- 체계적인 성격 이론과 효과적인 심리치료의 기술을 개발하였다.
- 유아기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자녀양육 등의 관련 연구를 자극하였다.
- 신경증 치료 과정에서 불안의 기능을 확인하고, 해석, 저항, 전이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② 한계점 :
- 모든 인간에게 근친상간의 쾌락적인 충동이 있다고 보았다.
- 인간의 현재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유아기의 경험과 억압된 무의식의 내용을 중요시 함으로써, 인간을 결정론적이고 비합리적인 존재로 보았고, 인간의 자율성, 책임성, 합리성을 무시한 경향이 있다.
- 인간의 모든 문제의 근원을 성(性)에 관련시켰으나, 이를 뒷받침해 줄 연구 자료는 불완전하다.
■ 지금까지 총 4회에 걸쳐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 대해 알아보았다.
* 출처 및 참조 : [상담심리학], 상담의 이론, 핵심이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