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부터는 상담의 이론 중 정신분석(Psychoanalysis)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1. 정신분석
(1) 주요개념 :
① 정신적 결정론 또는 심리 결정론(Psychic Determination) :
㉮ 인간의 모든 심리적 현상은 그에 선행하는 어떤 원인에 의해 결정된다고 본다.
㉯ 인간의 기본적 성격 구조는 대략 5세 이전의 과거 경험에 의해 결정되며, 특히 5세 이전의 성(性)과 관련된 심리적 외상(Trauma)에 의해 성격이 형성되거나 신경증적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본다.
㉰ 하지만 인간은 자신의 행동을 결정하는 심리적 원인의 극히 일부만을 의식할 뿐, 그 대부분은 자각하지 못한다고 주장하였다.
② 무의식적 동기(Unconscious Motivation) :
㉮ 정신적 결정론이 의미하는 인간 행동의 원인은 바로 무의식적 동기에 있다고 하였다.
㉯ 인간의 행동은 의식적 요인보다는 무의식적 요인에 의해 훨씬 더 강력한 영향을 받는다고 생각하였다.
㉰ 즉, 무의식에 의해 인간의 많은 행동이 결정되므로, 개인이 스스로의 힘으로 이해할 수 없는 수많은 행동과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③ 성적 추동(Sexual Drive) :
㉮ 프로이트는 성적 에너지를 인간의 삶의 원동력으로 보았다.
㉯ 성적 추동은 성인의 경우 성행위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로 표현될 수 있으며, 아동의 경우에는 양육자, 특히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나타난다.
㉰ 프로이트는 성적 욕구와 함께 공격적 욕구도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로 간주하였다.
④ 어린 시절의 경험 :
㉮ 어린 시절의 경험, 특히 양육자로서 부모와의 상호작용 경험이 개인의 성격형성의 기초를 이루게 된다고 생각했다.
㉯ 성인의 행동은 어린 시절의 경험을 통해 형성된 무의식적 성격구조가 발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 따라서 개인의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어린 시절의 경험과 기억에 대한 탐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2) 이중 본능 이론 :
① 본능의 의의 :
㉮ 본능이란 성격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로 행동을 추진하고 방향 짓는 동기이며, 순수한 생물학적 욕구이다.
㉯ 정신분석이론에서 인간의 본능은 동물의 그것과는 구분되며, '추동(Drive)' 또는 충동이라고 부른다. 프로이트는 본능을 에너지 형태로 보고 그것이 신체적 욕구와 정신적 소망을 연결한다고 보았다.
② 본능의 유형 :
㉮ 성적 본능 :
성적본능(리비도(Libido), 삶의 본능)은 성적인 것 뿐만 아니라, 즐거움을 자극하는 것에 관심을 가지는 것, 그리고 타인과의 상호작용 모두를 의미한다.
㉯ 공격적 본능 :
공격적 본능(타나토스(Thanatos), 죽음의 본능)은 단순히 적개심 뿐만 아니라, 숙달 - 지식이나 기술의 어떤 수준에 도달하는 것 - 까지를 포함한다.
(3) 마음의 지형학적 모델 :
◆ 프로이트는 인간의 자각 수준을 의식, 전의식, 무의식으로 구분하였다.
① 의식(意識, consciousness) :
의식이란 개인이 각성하고 있는 순간의 기억, 감정, 공상, 경험, 연상 등 현재 직접 경험하고 있는 지각(생각)과 심적 현상의 총체를 말한다. 프로이트는 인간은 자각하고 있는 것보다 자각하지 못하고 있는 부분이 훨씬 많다고 하였다.
② 전의식(前意識, preconsciousness) :
전의식이란 현재는 의식 밖에 있어서 인식하지 못하지만,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면 의식될 수 있는 부분을 말한다.
③ 무의식(無意識, unconsciousness) :
무의식이란 평상시에는 전혀 의식되지 않지만, 인간의 정신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행동을 결정하는데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 즉 의식되지 않은 정신활동의 총칭을 말한다.
(4) 성격의 삼원구조 이론 :
① 원초아(原初我, id) :
원초아는 '쾌락(즐거움)'의 원칙에 따라 일차과정의 사고를 한다. 즉, 본능에 따라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이며, 주관적이고 지속적인 욕구 충족을 특징으로 하며, 비논리적이고 맹목적인 경향을 가지고 있다.
② 자아(自我, ego) :
자아는 '현실의 원칙'에 따라 현실적이고 논리적인 사고를 하며, 원초아의 본능과 초자아, 그리고 외부 현실 세계를 중재. 통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주관적인 욕구와 외부 현실을 구별하여 환경에 적응할 줄 아는 현실 검증 능력을 가지고 있다.
③ 초자아(超自我, super ego) :
초자아는 쾌락 보다는 완전, 현실 보다는 이상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즉, 도덕적 기준에 위배되는 원초아의 충동을 억제하고 자아의 현실적 목표를 도덕적이고 규범적인 기준에 맞추어 이상적인 목표를 세우도록 요구한다.
■ 프로이트가 주창한 성격의 삼원구조이론에 대한 참조 글 :
2020.12.15 - [이야기가 있는 정원, 성격심리] - ✔까칠남 프로이트, 무의식을 해석하다①(정신분석, 프로이트의 살인해석, 의식, 전의식, 무의식, 꿈작업)
■ 다음 시간에 계속, 정신분석 이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및 참조 : [상담심리학], 상담의 이론, 핵심이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