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번 시간에 이어서 동기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동기의 특성 중 방향, 동기 연구의 근본적 질문(행동의 원인, 행동의 강도가 다른 이유), 주요 구성 개념 중에너지, 유전, 학습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동기의 개념과 특성②(동기 심리학, 에런 벡, 선호도, 행동의 원인, 강도, 활력, 방향, 지속성,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동기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동기의 개념, 정의, 의의, 동기의 특성 중 활성화(가현적 행동, 지속성, 강렬함)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
narrare3.tistory.com
(4) 사회적 상호 작용 :
① 우리가 다른 사람들과 갖게 되는 *상호 작용(Interaction)도 동기를 일으킬 수 있다. 물리학에서 상호작용은 물체가 서로 밀거나 끌어당기는 것과 같이 자연에 존재하는 물질들이 서로 움직임에 영향을 주고받는 과정을 말한다(출처 : [네이버 지식 백과], 물리학 백과).
✅ 상호 작용(Interaction) :
인간에게 있어서 상호 작용이란 인간이 주어진 환경에서 다른 사람이나 사물과 서로 관계를 맺는 모든 과정과 방식을 말한다. 사회적 상호 작용의 유형에는 협동, 경쟁, 갈등 등이 있다.
* 출처 : [네이버 국어 사전], 상호 작용
* [네이버 지식 백과], 두산 백과, 사회적 상호 작용
② 사회적 동물인 인간에게 집단의 힘은 동조하도록 하는 동기유발원이 될 수 있다.
③ 타인의 권위(직장 상사, 선배, 연장자, 선험자, 리더 등)는 인간으로 하여금 복종하도록 동기유발할 수 있다.
④ 타인의 존재가 위급 상황에서 타인에게 도움을 제공할 가능성을 감소시키기기도 한다.
⑤ 사회적 상황은 우리의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그 이유는 타인의 존재가 우리의 동기를 변화시키기 때문이다.
사회적 상호작용
한 사회 구성원들이 언어나 몸짓과 같은 여러가지 상징을 사용하여 다른 사람과 지속적으로 관계를 맺고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모든 과정. 사회적 상호작용이란, 한 사회 구성원들이 언어나 몸
terms.naver.com
(5) 인지 과정 :
① 동기에 있어서 인지 과정의 역할이 점점 더 인정되고 있다.
② 우리가 받아들이는 정보의 종류와 그 정보가 처리되는 방식이 우리의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③ 하이더(Heider)의 균형 이론, 페스팅거(Festinger)의 인지부조화 이론, 벰(Bem)의 자기 지각 이론은 행동의 통제에 있어서 능동적 정보 처리, 즉 사고를 강조한다.
하이더
오스트리아 출신 심리학자로 귀인이론의 창시자. 게슈탈트 학파와 관련이 깊은 하이더는 건축가인 모리츠 하이더(Moriz Heider)와 아내 유진(Eugenie) 사이에서 난 형제 중 동생으로 오스트리아 비엔
terms.naver.com
레온 페스팅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레온 페스팅거(Leon Festinger, 1919년 5월 8일~1989년 2월 11일)는 미국 사회심리학자로서 인지부조화(cognitive dissonance)와 사회비교이론(social comparison theory)으로 잘 알려
ko.wikipedia.org
자기인식이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자기 인식 이론(SPT, Self-perception theory)은 심리학자 다릴 벰(Daryl Bem)이 개발한 태도 형성에 대한 설명이다.[1][2] 이것은 사람들이 자신의 행동을 관찰하고 어떤 태
ko.wikipedia.org
④ *귀인 이론(attribution theory)도 타인과 자신의 행동을 해석하는데 인지의 역할을 강조하였으며, 우리의 행동이 대체로 이 같은 해석을 기초로 할 것이라고 말한다.
귀인 이론
자신이나 다른 사람들의 행동의 원인을 찾아내기 위해 추론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 [ 1. 개요] 귀인 이론이란 자신이나 다른 사람들의 행동의 원인을 찾아내기 위해 추론하는 과정을 설명하
terms.naver.com
(6) 동기의 활성화 :
① 이 분야의 활성화 연구는 유기체의 상태를 감지하는 기제, 신체가 평형을 상실했을 때 동기를 유발하는 기제를 연구해왔다.
② 초기의 이론들은 신체 상태를 감지하는데 있어서 말초 *수용기들의 역할을 강조하였다(예 : 입이 마르는 것은 갈증을 알려주는 단서라고 하였다).
③ 이후 이에 대한 반박이 늘어나면서, 뇌의 중추 수용기가 더 강조되었다(예 : 혈당이나 혈액의 삼투압과 같은 특정한 상태들을 감지하여 동기 상태를 촉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수용기
동물체가 외계로부터 자극정보를 받아들이는 특수 구조의 총칭. 고전생리학 용어인 감각기에 해당하지만 ‘자각’적 의미를 배제하고 새로 만들어낸 용어이다. 세포소기관(예: 유글레나의 안
terms.naver.com
④ 그러다가, 다시 특정한 상태들을 감지하는 것으로 보이는 위, 장, 간 수용기가 발견됨에 따라 일부 학자들은 다시 말초 기제를 강조하는 쪽으로 선회하였다.
⑤ 실제로 감지 체계가 여러 개 존재하여 일부는 신체의 내장 기관에 있고, 다른 것들은 뇌 속에 있을 수도 있다.
(7) 욕구(Need) :
① 욕구는 인간의 성장, 안녕, 삶에서 본질적이고 필수적인 조건이다.
② 만약 환경이 욕구를 만족시켜 준다면 우리의 삶과 건강은 유지되고, 성장이 이루어지며, 안녕이 따라온다.
③ 만약 환경이 욕구를 저지하면, 삶과 건강이 위협받고 성장을 멈추게 하며, 안녕이 방해된다.
🔳 욕구에는 크게 세 가지의 범주가 있다 :
✔생물학적 욕구 :
뇌 구조, 호르몬, 주요 신체 기관을 동시에 움직여서 신체적 안녕을 조절하고 성장, 안녕, 삶에 잠재적 위협이 되는 신체적 불균형을 조정하게 하는 유기체의 생물학적 조건(예 : 갈증, 배고픔, 성욕, 수면욕 등)
✔심리적 욕구 :
개인적 성장, 사회적 발달, 심리적 안녕을 촉진할 수 있는 환경과의 상호 작용을 추구하는 주체적인 욕구가 기저를 이루는 내재적 심리 처리(예 :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등)
✔암묵적 욕구 :
자신의 사화화 과정에서의 긍정적인 정서와 관련된 환경적 사건과의 상호 작용을 추구하고 이에 시간을 사용하는, 발달적으로 획득된(사회화에 의한) 심리 처리(예 : 성취, 친애, 권력 등)
(8) 항상성(homeostasis) :
① 연구자들은 동기가 존재하는 목적에 대해서도 서로 다른 생각들을 제시해왔다.
② 항상성은 다양한 상태들 각각에 대하여 신체의 적정 수준이 존재한다는 개념이다.
③ 우리의 신체가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적정 수준을 너무 벗어나면, 그 상태들을 감지하는 수용기에 의해 동기 회로들이 촉발되고, 따라서 몸을 다시 적정 수준으로 되돌리는 행동들이 시작된다.
④ 동기 상태들 중 어떤 것들은 항상성 유지를 위해 작용한다는 것이 분명하다.
💬 최근 부크먼(Buchman & Funk, 1996)은 인체가 생리적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해 상호작용하는 비선형적 메커니즘에 대한 다양한 생리학적 단계에 관하여 이론을 제시하였다.
부크먼은 우리 인체의 각 기관은 상호작용을 하여 혼란된 상태에 반응하는 것으로 항상성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므로 어느 한 기관이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려 할 때 다른 기관들 또한 제자리로 돌아간다는 것이다.
특히 항상성을 조절하는 인체기관 중 큰 역할을 하는 것이 시상하부다. 시상하부는 간뇌의 일부로서 사람의 뇌 무게의 1% 미만을 차지하는 작은 크기의 기관이지만 수분조절, 식욕조절, 체온중추, 혈압조절 등 자율신경계를 조절하고 호르몬을 조절한다.
*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항상성 [homeostasis, 恒常性]
(상담학 사전, 2016. 01. 15.,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9) 쾌락설(hedonism) :
① 쾌락설은 동기화된 행동의 목적에 대한 가장 오래된 설명이다.
② 사람은 쾌락과 고통에 의해 동기가 유발된다고 가정한다. 즉, 고통은 피하고, 쾌락은 추구하려는 욕구에 의해 동기가 유발되며, 고통의 회피와 쾌락의 추구는 각각 학습된다고 본 것이다.
③ 현대의 쾌락설은 쾌락과 고통이 하나의 연장선상에 있으며, 유쾌한 것도 상황이 변하면 바뀔 수 있다고 가정한다(예를 들면, 배가 부른 상태면 누가 아주 맛있는 음식을 권해도 별로 유쾌하지 않을 것이다).
(10) 성장 동기(growth motivation) :
① 성장 동기는 인간이 자신의 신체적, 심리적, 정서적 잠재력을 완전히 발휘하도록 동기화된다는 것을 가정하고 있다.
② 인본주의 심리학자인 로저스(Rogers)는 '충분히 기능하는 사람'이라는 개념과 연관시켜 성장 동기를 논의하고자 하였고, 매슬로우(Maslow)는 '자아실현(자기실현)'이라는 용어로 개인적 성취를 위해 노력하는 동기를 기술하고 있다.
✔로저스의 인간중심이론③(인본주의, 인간중심상담, 충분히 기능하는 사람, Self, 경험에 대한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칼 로저스의 인간중심이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위협과 불안의 경험을 포함한 자기개념의 부적응 상태, 부적응의 원인, 왜곡, 부인 또는 부정, 인간중심
narrare3.tistory.com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이론①(자기실현, 자아실현이론, 인본주의, 인간주의, 현상학적 장, 왓슨
■ 오늘부터는 에이브러햄 매슬로우(매슬로, Abraham H. Maslow ; 1908 ~ 1970)의 욕구위계이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매슬로우는 뉴욕의 브루클린에서 나고 자랐다. 초기에는 역동적 이상심리학
narrare3.tistory.com
③ 이처럼 모든 성장 동기 이론은 인간이 자신의 능력을 검증하고 향상시키려는 강력한 동기를 갖고 있다고 제안한다.
■ 다음 시간에 계속, 동기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및 참조 : [동기와 정서], 동기의 개념과 특성, 핵심 이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