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관찰학습, 즉 반두라(Bandura)가 제시한 사회학습이론 또는 사회인지이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이론의 개요, 상호결정론, 반두라의 보보인형 실험, 모방학습(모델링), 대리학습, 관찰학습 등의 사회적 학습의 유형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시기 바란다.
(3) 학습과 수행 :
① 반두라는 학습(Learning)과 수행(Performance)의 차이를 구별한 바가 있다. 사실 관찰을 통해 학습된 행동을 모두 수행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 학습(Learning) :
과거경험의 결과로서 비교적 영속적인 행동의 변화가 일어난 상태.
행동주의 이론에서는 학습이 경험의 결과로 일어나고,
행동의 변화에 선행하는 것으로서 행동을 매개하는 과정이며,
행동 잠재력의 변화라고 하였다.
행동 잠재력의 변화란 행동의 변화가 즉각적이고 직접적인 행동으로 나타나지 않아도
다른 행동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나타낸다.
*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상담학 사전, 학습
■ 수행(Performance) :
① 어떠한 주어진 일(과제)을 해내는 것.
② 언어에서의 수행은 언어 사용에 포함된 심적 과정을 뜻한다.
언어 수행은 언어학자들이 연구하는 언어능력과는 반대로 심리학자들이 연구하는 분야이다.
*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실험심리학 용어 사전, 수행
② 개인은 관찰을 통해 학습한 행동 중 어떤 행동은 수행하고, 또 어떤 행동은 수행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수행의 결과에 대해 인지적인 기대를 가지기 때문이다.
③ 다시 말해 만약 누군가가 학습한 행동을 수행하지 않는다면, 그가 모델의 행동을 관찰할 때 그 행동의 결과에 대한 부정적인 기대를 얻었기 때문이다.
✅ 예를 들어, 어떤 직장인이 회사 내의 비리를 고발하였다가 해고 처분을 받은 동료의 사례를 보게 된다면, 그는 회사 내의 비리사실을 알게 되더라도 이를 섣불리 외부기관에 고발하지 않을 것이다.
④ 이와 같이 어떤 결과가 일어날 것인가에 대한 개인의 지각은 그의 관찰 대상이 되는 모델이 '행동에 참여한 후에 보상을 받았는가, 아니면 처벌을 받았는가'에 근거한다.
(4) 모델링(Modeling) 단서의 수용 형태 :
① 직접적 모방(Direct Imitation) :
직접적 모방이란 모델의 행동을 단순히 따라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부모의 행동을 본 아이가 교회의 모금함에 헌금을 집어넣는 것 등이 있다.
② 간접적 모방(Indirect Imitation) :
간접적 모방이란 모델의 행동을 정확하게 반복하는 것은 아니나, 그 모델(의 행동과)과 유사한 행동을 한다. 예를 들면,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부모의 행동을 본 아이가 (교회의 모금함에 헌금을 집어넣지는 않지만) 자신이 아끼는 장난감을 친구들과 함께 공유하고 사용하는 것 등이 있다.
③ 직접적 역모방(Direct Counterimitation) :
이것은 모델의 행동과 거의 대립되는 방식으로 행동을 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①의 직접적 모방의 사례의 부모가 준 헌금을 받은 아이가 그것을 교회의 모금함에 넣지 않고, 자신의 호주머니에 간직하는 것 등이 있다.
④ 간접적 역모방(Indirect Counterimitation) :
이것은 모델링 단서를 사용하여 대립되는 범주의 행동을 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②의 간접적 모방의 사례의 부모가 있는 아이가 자신의 장난감을 공유하기는커녕, 친구들과 함께 가지고 놀려고 하지 않는 것 등이 있다.
(5) 모델링(Modeling)의 영향 요인 :
① 모델의 특성 :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자신과 매우 다른 사람들보다는 스스로 비슷하다고 생각되는 사람들에게서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더 높다. 특히 모델링에 영향을 주는 특성으로는 모델의 연령, 성별, 지위, 명예, 행동 유형 등을 들 수가 있다.
② 관찰자의 특성 :
일반적으로 자존감이 낮거나 자신감이 부족한 사람들이 특히 모델을 모방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의존적인 사람이나 이전에 동조행동을 통해 어떤 보상(칭찬 등)을 받은 경험이 있는 사람들도 모델을 모방할 가능성이 높다.
③ 행동 관련 보상의 결과 :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자신이 수행한 행동이 정적 강화를 가져온다고 믿을 때, 그 행동을 모방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즉, 모델의 특별한 행동이 보상받거나 처벌받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행동의 모방 여부가 결정된다.
(6) 모델링의 5가지 주요 기능 :
① 교 수 :
관찰자는 모델을 관찰함으로써 새로운 행동을 학습한다. 일테면, 아동은 어른들의 말을 들으면서 언어를 학습한다.
② 촉 진 :
모델의 어떤 행동은 그것을 본 관찰자로 하여금, 그와 유사한 행동을 따라하도록 촉진하는 경향이 있다. 일테면, TV 코미디 프로그램을 시청할 때 다른 사람들이 웃는 것을 보고 같이 웃게 되는 경우 등이 있다.
③ 동 기 부 여 :
모델의 행동과 그 후속 결과가 긍정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봄으로써, 관찰자도 그와 같은 행동을 하도록 동기를 가지게 된다는 것이다. 일테면, 수업시간에 어떤 학생이 책을 또박또박 큰 소리로 읽자, 선생님으로부터 칭찬을 들었다. 그 모습을 본 다음 차례의 학생들도 같은 방식으로 책을 읽으려고 하였다.
④ 불 안 감 소 :
불안을 불러일으키는 행동을 모델이 안전하게 수행하는 것을 지켜봄으로써, 관찰자의 불안도 감소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그네를 타는 것에 대해 두려움을 가지고 있는 아이는 다른 아이들이 그네를 즐겁게 타는 모습을 봄으로써, 그네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할 수가 있다.
⑤ 억 제 :
모델의 행동이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오는 것을 지켜봄으로써, 관찰자가 모델의 행동을 모방할 가능성을 덜 가지게 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폭력사건에 연루되어 처벌을 받는 친구의 경우를 보고, 자신은 그와 같거나 유사한 행동을 하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3. 관찰학습
(1) 관찰학습의 과정 :
① 주의집중 과정(Attentional Processes) :
㉮ 모델을 통한 관찰학습은 그 모델에 대한 주의집중 과정 없이는 성립이 될 수 없다. 즉, 단순히 관찰자에게 모델을 노출시키는 것만으로 그가 모델에 주의집중 되었다고 보장할 수는 없는 것이다.
㉯ 다시 말해, 학습을 위해서는 단순히 모델을 보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그 모델을 모방하기 위한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관찰'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 이러한 주의집중과정에서는 여러 가지 변인들, 즉 모델의 나이, 성별, 지위, 명예, 행동 유형 등 모델의 특성은 물론 관찰자와 모델 간의 유사성 등에 의해서도 많은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탁월한 재능이 있는 사람, 전문가로서 명성이 있는 사람, TV나 영화 등 대중매체를 통해 자주 접하게 되는 유명 연예인들은 특별히 더 큰 관심을 끄는 모델들이라고 할 수 있다.
㉱ 결과적으로 볼 때, 모방되는 행동에 대한 주의는 관찰자의 인지 및 지각 기술의 기능, 모방 대상 행동의 가치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② 보존 과정(Retention Processes) :
㉮ 이것은 관찰자가 모델의 행동을 장기간 기억하는 것으로, '기억 과정', '파지 과정', 혹은 '저장 과정'이라고도 부른다.
㉯ 즉, 관찰자가 모델의 행동을 모방하거나 반복하기 위해서는 모델의 행동을 기억 또는 유지해야 하는데, 이와 같은 정보의 입력. 기억과 같은 처리 과정은 인지의 과정으로, 스키너(Skinner)가 전적으로 외형적인 행동만을 강조한 것과는 확연히 다르다.
㉰ 다시 말해 관찰자가 주의를 기울여 관찰했던 행동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관찰의 내용을 어떤 식으로든 부호화하고 상징적으로 마음에 새겨야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 인간은 모델의 행동을 기억하여 장기간 보존하기 위해 심상적(Imaginal)이며 언어적(Verbal)인 두 가지의 내적 표상체계를 이용하는데, 이와 같은 심상 및 언어적 상징은 관찰된 행동을 저장하고 유지시켜주는 수단으로 작용한다.
심상적 표상체계 | * 모델을 관찰할 때 감각조건형성 과정을 통해 관찰된 것을 심상(心象, Image)으로 만든다. * 관찰된 사건들에 대한 어떤 준거(기준이 되는 근거)를 통해 물리적 자극의 심상이나 영상이 기억된다. |
언어적 표상체계 | * 관찰한 사건들에 대한 언어적 부호화를 만든다. * 모델이 행하는 것을 말로 거듭 되풀이 하거나, 마음 속에서 예행연습을 하는 것이며, 그 기술을 수행하고자 할 때 언어적 실마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
* 출처 : [성격심리학], 행동주의적 관점, 핵심이론
③ 운동재생 과정(Motor Reproduction Processes) :
㉮ 이것은 심상 및 언어로 저장된 상징적 표상을 적절한 행동으로 전환시키는 것으로, '재현 과정' 또는 '생산 과정'이라고도 부른다.
㉯ 관찰자가 모델의 행동을 주의 깊게 관찰 및 유지하고 이를 상징적 표상으로 담았다고 하더라도, 그는 여전히 그와 같은 행동을 정확하게 수행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일테면, 자동차 운전을 배우는 사람이 열심히 강의를 듣고 일단 교재에 나오는 기초적인 정보를 습득했다고 가정해보자.
㉰ 그 사람이 실제로 운전을 할 경우 우선 자동차 운전의 영상(심상)이 머릿 속에 그려지기는 하지만, 떠오른 그 영상을 실제의 운전 행동으로 전환하는 것은 생각처럼 쉽지가 않다.
㉱ 따라서 관찰자는 모델로부터 획득된 기억을 자신의 행동과 비교해 보는 과정을 거치며, 이는 반복적인 연습과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필요로 한다.
㉲ 운동재생 과정은 반응의 인지조직화(Cognitive Organization of Response), 반응 시작(Initiation of Response), 반응 조정(Monitoring of Response), 반응 정교화(Refinement of Response)의 하위단계로 구성된다.
㉳ 관찰자는 이러한 운동재생 과정을 통해 시행착오를 거치고 행동을 조정하면서, (행동을) 정교하게 재현할 수 있게 된다.
④ 동기화 과정(Motivational Processes) :
㉮ 동기화 과정은 관찰한 것을 행동으로 옮길 때 동기가 있어야 함을 강조하는 것으로, '동기유발 과정' 또는 '자기강화 과정'이라고도 부른다.
㉯ 반두라는 학습과 수행 간의 차이를 구별하였으며, 이는 개인이 자신이 배운 모든 것을 수행하지는 않는다는 사실을 반영한다.
㉰ 다시 말해, 행동은 충분한 동기가 없으면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인데, 적절한 동기는 행동의 실제적인 수행을 야기하는 것은 물론, 관찰학습의 다른 과정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 동기는 관찰을 빠르게 행동으로 옮기도록 하며, 모델에 대한 주의와 관심을 더 크게 불러일으킨다. 특히 관찰을 통해 학습한 행동은 강화를 받아야 동기화가 이루어져 행동의 수행 가능성을 높인다. 즉, 행동을 학습한 후 그 행동을 수행할 여부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강화(Reinforcement)'이다.
■ 다음 시간에 계속, 관찰학습, 사회학습이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및 참조 : [성격심리학], 행동주의적 관점, 핵심이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