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야기가 있는 정원, 동기와 정서

✔자의식적 정서②(수치심, 죄책감, 뉘우침, 수치심이 높은, 죄책감 성향이 높은 사람들의 특징, 공정한 세상 가설, just-world hypothesis. 멜빈 러너, 용서의 목적)

by 이야기가 있는 정원 2023. 4. 17.
728x90
반응형
728x170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자의식적 정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자의식적 정서 중 당혹감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3.04.15 - [이야기가 있는 정원, 동기와 정서] - ✔자의식적 정서①(이차적 정서, 당혹감, embarrassment, 의미, 발생, 얼굴 표정, 사회적 실수, 개인차, 척도, 신경증 성향, 당혹감과 성격 특성, 인구학적 특성)

 

✔자의식적 정서①(이차적 정서, 당혹감, embarrassment, 의미, 발생, 얼굴 표정, 사회적 실수, 개인차

◆ 오늘부터는 자의식적 정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혐오와 경멸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3.04.13 - [이야기가 있는 정원, 동기와 정서] - ✔혐오와 경멸

narrare3.tistory.com

 

 

(2) 수치심과 죄책감 : 

 

 

① 수치심과 죄책감의 공통점 :

 

 

㉮ 사람들은 수치심과 죄책감의 얼굴 표정을 확실하게 구분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수치심과 죄책감의 표현은 당혹감의 표현과 유사하게, 시선을 떨어뜨리고 구부정한 자세를 포함한다.

 

㉰ 보통 도덕적으로 잘못을 저질렀거나 스스로의 기대, 혹은 주변 사람의 기대에 충분하게 부응하지 못했다고 생각할 때, 수치심이나 죄책감을 느낄 수 있다.

 

㉱ 수치심과 죄책감은 서로 구별되어 인식될 수 있는 얼굴 표정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두 정서를 유발하는 상황에 대한 해석에 있어서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 대부분의 기준으로 볼 때 수치심과 죄책감은 한 가지 정서의 변형으로 간주된다. 이것은 미국에서 관찰된 평가들이며, 다른 문화권에서 두 정서의 구분은 사회적 영향을 크게 받는다고 가정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② 수치심(shame, humiliation) : 

 

㉮ 수치심은 뭔가 잘못하고 그 죄를 자신의 전반적이고 안정적인 결함에 초점을 맞추었을 때 느끼는 부정적인 정서이다. 

 

㉯ 수치심은 나쁜 자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수치심을 느끼면 '내가 그렇게 어리석지 않았더라면'과 같은 말을 한다.

 

 

300x250

 

✅ 수치심이 높은 사람들의 특징 :

- 대인 관계에서 문제가 더 많은 경향이 있다.

- 분노와 사회적 불안을 더 많이 경험하고, 공감을 덜 느낀다.

- 자신에 대해 나쁘게 느낀다고 여겨진다.

- 자신의 부정적인 결과들을 스스로 통제하기 힘들거나, 전혀 통제할 수 없는 전반적이고 안정적인 자신의 결함에 원인을 돌리는 경향이 있다.

-  다른 사람들이 못마땅해 한다는 느낌을 스스로 강하게 가지며, 못마땅해 하는 시선에 화가 나기 쉽다.

- 자신들이 할 수 있는 일이 거의 없다고 느끼기 때문에, 주변 사람들의 비난이 부당하다고 여기는 것으로 보인다.

- 문제 해결 시도의 질이 낮고, 문제 해결 능력에 대한 믿음도 낮은 편이다.

 

 

 

수치심

거부되고, 조롱당하고, 노출되고, 다른 사람으로부터 존중받지 못한다는 고통스런 정서를 가리키는 용어로서, 여기에는 당혹스러움, 굴욕감, 치욕, 불명예 등이 포함된다. 수치심의 발생에는 초

terms.naver.com

 

 

 

③ 죄책감(guilt, guilty conscience) :

 

㉮ 죄책감은 무언가에 실패했거나 도덕적으로 잘못을 저지르기는 했지만, 이를 바로잡고 앞으로 이러한 위반 행위를 반복하지 않으려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을 때 느끼는 부정적인 정서이다. 

 

㉯ 죄책감은 나쁜 행동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죄책감을 느끼면 '내가 그런 행동을 하지만 않았더라면'과 같은 말을 한다. 

 

✅ 죄책감 성향이 높은 사람들의 특징 :

- 자신의 개별적 행동에 대해 더 책임감을 갖고, 이러한 행동을 되풀이할 것인가를 스스로 통제할 수 있다는 느낌을 더 강하게 갖는다.

- 이러한 성향을 가진 사람들은 평균보다 더 나은 해결책을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 자신의 행동 결과에 대한 높은 통제감과, 만약 잘못을 저질렀다고 해도 스스로 이를 바로잡고, 앞으로는 이러한 행동을 하지 않을 수 있다는 생각을 포함한다.

 

 

 

 

죄책감

외부와 내부로부터 오는 보복에 대한 공포, 후회, 회한 그리고 참회를 포함한 복합 정서. 죄책감의 핵심에는 일종의 불안이 있는데, 이 불안에는“만약 내가 누군가를 다치게 하면, 결국 나도 다

terms.naver.com

 

 

 

④ 죄책감과 뉘우침 :

 

죄책감과 뉘우침의 관계 :

 

- 죄책감은 실수를 벌하고 손상된 것을 돌려놓기 위해 노력하도록 동기를 부여한다.

 

- 죄책감을 잘 느끼지 않는 사람들은 이기적이고, 타인을 배려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728x90

 

 

- 뉘우침은 자신의 잘못된 행동에 대해 후회하고, 용서를 구하는 상태이다.

 

- 종교적인 사람들이 비종교적인 사람들보다 용서를 더 많이 하는 경향이 있다.

 

 

용서의 목적 :

 

- 용서하는 사람은 기분이 나아진다.

 

- 원한을 품는 것은 정신적으로나 신체적으로나 스트레스를 준다.

 

- 용서는 사람들 사이에 화해를 촉진하고, 우호적인 관계를 다시 시작할 수 있게 한다.

 

- 의도적으로 상대가 해를 가했다고 할지라도, 진지하게 사과한다면 용서를 할 수 있다.

 

- 만약 가벼운 해를 입힌 사람에게(해를 당한 사람이) '제가 용서합니다'라는 메시지를 전달하면 오히려 (해를 입힌 사람이)불쾌하게 반응할 수 있다.

 

- 이런 상황에서는 '괜찮습니다', '신경쓰지 마세요'와 같이 보다 가벼운 표현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반응형

 

 

행위의 정당성과 용서

 

- 누군가에게 해를 입혔는데 용서받지 못한 것 같으면 자신의 행위를 정당화할 무언가를 해야 한다.

 

- 사람들은 자신의 행동들이 정당하다고 생각하고 싶어 한다('공정한 세상 가설(just-world hypothesis)').

 

 

 

Just-world hypothesis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Hypothesis that a person's actions will have morally fair and fitting consequences The just-world hypothesis or just-world fallacy is the cognitive bias that assumes that "people get what they deserve" – that actions

en.wikipedia.org

 

고귀한 행위는 결국 보상을 받고
악한 행위는 결국 벌을 받는다는 가정,
즉, 행동이 행위자에게 도덕적으로 공정하고
적절한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가정하는
인지적 편향을 말한다. 

- 출처 : [위키 백과], 공정한 세상 가설 中


'공정한 세상 가설(정의로운 세상 가설)'개념을 처음 정립한 멜빈 레너 박사에 관한 참조 글 :

 

 

 

Melvin J. Lerner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Melvin J. Lerner, Professor of Social Psychology at the University of Waterloo between 1970 and 1994 and now a visiting scholar at Florida Atlantic University, has been called "a pioneer in the psychological study of j

en.wikipedia.org

 

 

일반적인 방법으로 해를 가한 사람은 '당할 짓을 했지'라고 스스로를 확신시킨다. 하지만 이 믿음은 더 높은 적개심을 이끈다.

 

- 어떤 이유로 해를 입힌 사람에게 사과하고 손해를 되돌릴 방법이 없다면, 사람들은 흔히 어떤 방식으로 스스로를 벌하거나 즐거움의 기회를 포기한다.

 

- 예를 들어 사랑하는 사람이 죽고 나면 일반적으로 한동안 행복한 기분을 느낄 권리가 없다고 느낄 수 있다. 

 

 

■ 다음 시간에 계속, 수치심과 죄책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및 참조 : [동기와 정서], 개별 정서, 핵심 이론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