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야기가 있는 정원, 동기와 정서

✔혐오와 경멸①(부적 정서 상태, 유발, 개념, 혐오는 정서인가 아닌가, 유발원, 대상의 생각에 따른 혐오, 속성, 폴 로진, Paul Rozin, 혐오의 생물학, 뇌영역)

by 이야기가 있는 정원 2023. 4. 11.
728x90
반응형
728x170

 

 

 

 

 

 

◆ 오늘부터는 혐오와 경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정적 정서 상태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3.04.08 - [이야기가 있는 정원, 동기와 정서] - ✔정적 정서 상태③(유익한 종류의 낙관주의, 이점, 정서적 탈진, 감정 소진, Emotional Exhaustion, 재미와 유머, 웃음의 성차, 기능, 흥미, 유발, 역할, 중요성)

 

✔정적 정서 상태③(유익한 종류의 낙관주의, 이점, 정서적 탈진, 감정 소진, Emotional Exhaustion, 재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정적 정서 상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열광, 예기적 열광, 기대와 보상 회로, 낙관주의, 비현실적 낙관주의의 장단점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

narrare3.tistory.com

 

 

 

1. 혐오

 

 

(1) 혐오의 유발 : 

 

① 혐오의 개념 :

 

 

㉮ 혐오는 '정반대'를 의미하는 'dis'와 '맛 또는 맛의 즐거움'을 뜻하는 'gust'로 이루어져 있다(즉, 혐오는 영어(명사)로 'disgust' 라고 하며, hatred, loathing, revulsion 라고도 한다).

 

㉯ 혐오는 '기분 나쁜 대상이 입에 닿을지도 모르는 순간에 경험하는 극도의 불쾌감'으로 정의내릴 수 있다. 즉, 어떤 대상에 대해서 극도로 싫어하고 미워하는 것을 의미한다. 

 

㉰ 어떤 대상을 멀리하고자 하는 욕구, 특히 (불쾌한 나머지)입 안에 있는 대상을 뱉어내고자 하는 욕구를 수반한다. 

 

㉱ 따라서 혐오는 어떤 대상과 접촉하는 것을 생각하는 것조차 거부하는 것이며, 진화적 가치에서 볼 때 분비물이나 썩은 고기를 먹을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우리의 건강을 보호하려고 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 우리는 혐오라는 부적 정서를 가끔 도덕성과 관련지어 추상적이고 문화 특징적인 방식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② 혐오는 정서이다 : 

 

혐오가 정서라는 것에 대해서는 현재까지도 많은 논쟁이 있다.

 

㉯ 혐오는 정서이다 :

 

- 혐오의 전형적인 얼굴 표정은 전 세계 대부분에서 인식된다.

 

- 혐오는 특정 평가와 관련이 있다.

 

- 강한 혐오는 신체적으로도 메스꺼운 느낌을 유발할 것이다.

 

㉰ 혐오는 정서가 아니다 :

 

- 정서들이 조건에 따라 많고, 다양한 반응을 일으키는데 비해 혐오에 대한 반응은 제한적이다.

 

- 정서는 인지적 측면이 강조되는데, 다른 정서만큼 인지적으로 침투 가능하지 않다는 것이다. 즉, 혐오를 일으키는 유발원(예를 들어 바퀴벌레, 쥐, 배설물 등)을 다른 방식으로 생각한다고 해서 그 혐오를 감소시킬 수 없다는 것이다. 

 

 

300x250

 

 

- 정서가 추상적 정보(사건 그 자체가 아닌 그 정보가 의미하는 것)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데 혐오는 그렇지 않다. 이것은 정서가 추상적 정보로 유발될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맞는지, 추상적 정보가 혐오를 일으킬 수 없는지에 대해서 논쟁이 생기는 부분이다. 

 

 

③ 혐오의 유발원 :

 

㉮ 대상의 생각에 따른 혐오 :

 

- 혐오는 특정 종류의 반사가 아닌 특정 수준의 해석이 필요한 일이다. 일테면 문화에 따라 우리가 혐오하는 곤충을 맛있게 먹기도 하기 때문이다. 

 

- 냄새에 대한 우리의 반응은 냄새가 가지는 감각적 특징이 아니라, 우리의 생각에 따라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눈을 감고 어떤 냄새를 맡게 한 후 그것이 치즈 냄새라고 한다면 그것을 맛있는 치즈라고 인식하겠지만, 그것이 사실 치즈가 아니라 토사물이었다고 정정한다면, 그 냄새가 역겨워질 것이다. 

 

많은 혐오 경험들도 감각의 질이나 대상의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가 아니라, 대상에 대한 생각에 의존한다. 전혀 사용된적 없는 깨끗한 새 변기에 담긴 물을 마실 수 있는가? 내가 맛있게 씹던 음식을 뱉어낸 후 다시 입에 넣을 수 있는가? 

 

- 다시 말해, 우리는 실질적인 위험이 아니라 그것에 때한 생각 때문에 혐오를 느끼는 것이다.

 

- 우리는 일반적으로 우리가 숨기고 싶어 하는 것들을 볼 때 혐오를 느낀다.

 

- 로진(Paul Rozin)은 우리가 혐오스럽다고 생각하는 거의 모든 것들이 속성상 동물이라고 하였다. 즉, 우리는 스스로가 고상하고 깨끗하며, 순수하다고 생각하고 싶어하며, 창자, 배설물, 피 등은 우리에게 우리 생활의 가장 더러운 모습을 연상시킨다고 생각하는 경향(동물성 식품에 대한 양가감정, 음식에 대한 호불호 획득 등)이 있다.

 

 

 

 

Paul Rozin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Paul Rozin (born 1936[1]) is a professor of psychology at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He teaches two Benjamin Franklin Scholars (BFS) honors courses and graduate level seminars. He is also a faculty member in the M

en.wikipedia.org

 

 

㉯ 혐오의 속성 :

 

- 혐오는 감염이라는 속성을 가진다. 예를 들어 바퀴벌레가 지나간 음식은 먹고 싶지 않으며, 누군가 살인을 저질렀을 때 입었던 옷이라면 아무리 깨끗하게 빨아도 입고 싶지 않을 것이다.

 

- 혐오는 유사성을 가진다. 예를 들어 만약 어떤 대상이 혐오스러운(자신이 혐오스럽게 생각하는) 대상과 외견상 유사하다면 똑같이 혐오스러울 것이다.

 

- 연구에 따르면 추상적인 생각에 대한 반응으로 혐오를 느낄 수 있다고 한다. 

 

 

(2) 혐오의 생물학 : 

 

① 혐오와 관련된 생리적 프로파일은 복잡하고, 아직까지 우리는 이를 완전하게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② 혐오가 심장 박동수 증가, 피부 전도반응, 다른 교감신경계 각성 신호들과 관련이 있다는 발견이 있지만, 또 다른 연구들에서는 오히려 심장 박동수 감소, 부교감 신경계 활성화 신호와 관련이 있다는 결과도 있다.

 

 

반응형

 

 

③ 극단적 혐오를 느끼는 사람들은 종종 구토를 하지만, 전형적으로 혐오를 추정할 수 있는 특징은 가벼운 정도의 메스꺼움이다.

 

④ 음식에 대한 혐오를 느끼는 것은 학습할 수 있고, 신체적 메스꺼움은 이 과정의 한 부분이다. 

 

 

✔맛있는 음식도 어떤 이유로 구토를 한 경험이 있다면 그 음식에 대해 혐오 반응을 보이게 될 것이다.

✔이는 우리의 몸이 오염에 대한 단 한 번의 경험 후에 음식을 위험하다고 즉각적으로 명명하는 것과 같다. 

 

 

혐오 반응의 뇌영역 : 

 

㉮ 혐오 표정을 보는 것이 섬피질 혹은 뇌도라고 부르는 영역을 강하게 활성화시킨다. 

 

 

2023.01.31 - [이야기가 있는 정원, 동기와 정서] - ✔정서의 신경과학⑤(편도체와 정서적 기억, 시상하부 기능, 섬피질, 뇌도, 혐오 표정, 전전두피질 기능, 손상, 전두피질 손상 증상, 중격의지핵, 복측피개영역, 뇌의 보상회로)

 

✔정서의 신경과학⑤(편도체와 정서적 기억, 시상하부 기능, 섬피질, 뇌도, 혐오 표정, 전전두피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정서의 신경과학적 측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편도체, 뇌교, 클뤼버-부시 증후군, 우르바흐-비테 증후군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

narrare3.tistory.com

 

 

㉯ 섬피질의 활동 없이도 혐오를 경험할 수는 있으나, 혐오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과 혐오를 느끼는 것이 반드시 같은 것은 아니다. 

 

✔섬피질이 손상된 사람도 더러운 화장실을 보고 혐오스럽다고 묘사했다. 그러나 혐오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과 혐오를 느끼는 것이 반드시 같은 것은 아니다.

 

 

728x90

 

 

㉰ 섬피질 활동은 공포를 유발하는 사진을 보았을 때도 증가하였고, 편도체 역시 혐오 유발 사진과 공포 유발 사진에서 강하게 반응하였다.

 

㉱ 섬피질은 혐오와 관계가 있지만, 신체 변화의 자각을 포함하는 다른 정서와도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 다음 시간에 계속, 혐오와 경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및 참조 : [동기와 정서], 개별 정서, 핵심 이론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