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야기가 있는 정원, 학습 심리

✔[학습 심리학] 학습의 본질①(학습의 정의, 개념, 그레고리 킴블, 강화, 종 특유의 행동, 민감화, 습관화, 각인 뜻, 본능)

by 이야기가 있는 정원 2025. 3. 28.
728x90
반응형
728x170

 

 

 

 

 

 

 

◇ 오늘부터는 학습 심리학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우리는 흔히 "학습"이라고 하면 "(교실에서) 학생들이 무엇인가를 배우는 것"이라는 고정 관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학습 심리학은 교실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영역의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만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다. 

 

학습은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능력이 아니므로, 학습 심리학의 연구도 인간에게만 제한을 두지 않는다. 따라서 학습 과정 뿐만 아니라 그 결과로 발생하는 행동 모두에 대해서도 연구한다.

 

 

 

 

1. 학습의 정의

 

 

(1) 학습의 개념 : 

 

① 학습의 정의 :

 

 

 

학습은 경험이나 연구를 통해
지식과 이해, 숙달을 얻는 것이다.

-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하지만 위와 같은 사전적 정의에는 추상적인 단어들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대부분의 심리학자들은 이를 수용하고 있지 않다. 

 

 

㉮ '학습이 되었다'는 말의 의미는 학습이 일어나기 전에는 수행할 수 없는 행위가, 학습 후에는 할 수 있게 되는 것을 말한다. 

 

㉯ 학습은 인간의 행동이나 행동 잠재력이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말한다.

 

㉰ 미국의 심리학자인 *킴블(Gregory A. Kimble, 1961)에 따르면 학습은 "강화된 훈련의 결과로 나타나는 행동 잠재력의 비교적 영속적인 변화"라고 주장하였다.

 

 

 

 

Gregory Kimble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American psychologist This article is about the psychologist. For the college basketball player, see Bo Kimble. Gregory Adams Kimble (October 21, 1917 – January 15, 2006) was an American general psychologist and a pr

en.wikipedia.org

 

 

 

728x90

 

 

㉱ 킴블의 이러한 주장은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데, 경험이란 강화된 훈련, 자극과 반응의 인접, 정보의 습득 등을 말한다. 

 

㉲ 경험은 학습 외의 다른 과정(피로 유발 등)을 야기할 수 있다.

 

㉳ 많은 심리학자들은 학습을 "관찰 가능한 행동에서의 변화"로 정의하는 것을 선호한다. 

 

 

② 학습의 조건 :

 

㉮ 학습의 결과는 관찰 가능한 행동에서의 변화로 나타나야 한다.

 

㉯ 행동의 변화는 일시적이거나 고정불변하지 않아야 하며, 비교적 장기적으로 나타나야 한다.

 

㉰ 행동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바로 행동으로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학습 후에 행동의 변화가 즉각적으로 나타날 필요는 없다.

 

㉱ 행동의 변화나 행동 잠재력은 성숙이나, 약물의 사용, 질병 때문에 생기는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 훈련이나 경험을 통해 나타난다.

 

㉲ 학습은 정신적인 표상이나 연합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뇌에 기초하는 것으로 보인다.

 

㉳ *강화를 받은 경험이나 훈련이 학습된다.

 

 

 

2021.06.07 - [이야기가 있는 정원, 성격심리] - ✔조작적 조건화 이론②(유관성 또는 수반성, 강화, 처벌, 소거, 자발적 회복, 정적 강화, 부적 강화, 정적 처벌, 부적 처벌)

 

✔조작적 조건화 이론②(유관성 또는 수반성, 강화, 처벌, 소거, 자발적 회복, 정적 강화, 부적 강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조작적 조건화, 혹은 조작적 조건형성에 대해서 계속 알아보도록 하겠다. 이론의 개요, 손다이크의 고양이 실험(시행착오설), 스키너의 쥐 실험(조작적 강화이론), 그리고

narrare3.tistory.com

 

 

반응형

 

 

 

③ 학습과 행동 :

 

㉮ 학습이 비교적 영구적인 것이라는 전제에 근거하면 민감화와 습관화의 과정은 학습이라고 간주된다.

 

㉯ 민감화는 유기체가 한 측면에 대해 더욱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인데, 예를 들어 벌에 한 번 쏘인 경험이 있는 사람은 벌 소리만 들어도 민감하게 되어, 자신을 보호하게 된다.

 

㉰ 과민증이라고 하는 것은 민감화의 한 형태이다.

 

㉱ 습관화는 유기체가 환경에 덜 반응하도록 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면, 공항 근처에서 오래 살아온 사람은 비행기 소리에 익숙해져서 이를 소음으로 느끼지 못하게 된다.

 

㉲ 학습은 즉각적으로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  행동이 즉각적으로 변화하지 않아도 행동을 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면 학습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 학습은 행동 잠재력의 변화를 포함하며, 수행은 학습된 잠재력이 행동으로 전이된 것이다.

 

 

④ 학습과 유사한 행동 :

 

㉮ 모든 행동이 학습된 것은 아니다.

 

㉯ 대부분의 행동은 반사적인데, 반사란 특정 자극에 학습되지 않거나 선천적인 반응을 말한다. 예를 들면 '콧속에 먼지가 들어가서 재채기를 한다.', '뜨거운 그릇을 만지면 즉시 손을 덴다.' 등의 행동을 말한다.

 

㉰ 선천적(유전적)으로 나타나는 복잡한 행동을 본능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동물들의 겨울잠, 짝짓기, 둥지 틀기 등이 있다.

 

㉱ 종(種) 특유의 행동은 본능적인 것인데, 특정한 행동에서 특정한 종이 보여주는 복잡하고 학습되지 않은 비교적 수정되지 않은 행동을 의미한다. 

 

㉲ 종 특유의 행동이 완벽하게 유기체에 따라 결정되는지 학습이 개입되지 않는지에 대해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

 

㉳ 종 특유 행동 중 몇몇은 학습될 수 있고 선천적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인(imprinting)은 결정적 기간에 나타나는데 이 기간이 지나면 발생하기가 어렵고, 각인에는 학습된 행동과 본능적인 행동이 혼합되어 있다. 

 

㉴ 행동 변화를 학습으로 보기 위해서는 비교적 영구적이며 경험을 통해 그 행동이 이루어져야 하며, 유기체가 경험과 별개로 복잡한 행동 유형을 보인다면, 그 행동은 학습된 것으로 보기 어렵다.

 

 

300x250

 

 

 

 

각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각인(刻印,imprinting)은 동물이 본능적으로 가지는 학습 양식의 하나이다. 태어난 지 얼마 안 되는 한정된 시기나 또는 유전적인 발현기에 상호반응적인 환경 또

ko.wikipedia.org

 

 

 

■ 다음 시간에 계속, 학습의 본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및 참조 : [학습 심리학] 학습의 본질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