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부터는 '학교심리학(school psychology)'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1. 학교 심리학의 정의와 역사
(1) 학교 심리학의 정의 :
① 학교 심리학이란?
㉮ 학교 심리학은 교육자와 학부모가 함께 학생의 정신 건강과 학습 의욕을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교육 심리학, 발달 심리학, 임상 심리학, 지역사회 심리학과 행동 분석학의 원리를 응용한 심리학의 한 분야를 말한다.
✅ 미국 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의 정의에 따르면 학교 심리학은 아동과 청소년 및 그들의 가족, 그리고 학교 교육의 과정에 관하여 학문적, 실제적 관심을 갖는 심리학의 한 전문 영역으로, 심리평가와 개입, 예방,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서비스를 제공하여, 아동과 청소년들이 건강한 발달을 이루고 효과적인 교육적 및 심리적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긍정적인 학습 환경을 도모하는 분야이다.
㉯ 그런가 하면 미국 학교 심리학자들의 또 다른 대표적 단체인 '전국 학교 심리학자 연합회(National Association of School Psychologists, NASP)'에서는 학교 심리학자가 모든 아동들이 안전하고 건강하게, 그리고 지지적인 환경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교사, 학부모, 행동건강 전문가들과 함께 팀을 이루어 자신이 가진 지식과 기술을 사용하는 전문가로 기술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2002년 한국 심리학회 산하 분과학회로 학교 심리학회가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다. 아래는 학교 심리학자에 대한 설명이다.
💬 학교 심리학자(School Psychologist)는 학교라는 장에서 아동 · 학생의 지적·인격적 성장을 돕기 위해 개인이나 집단을 대상으로 직접 · 간접적으로 심리학적 측면에서 지도와 조언을 하는 사람이다.
미국의 경우 대부분의 학교심리학자의 업무는 특수교육과 같은 프로그램에 적합한 학생들을 포괄적으로 평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주 및 연방 시행령과 결합되어 있다.
학교 심리학자의 세 가지 기본 의무는 평가, 자문, 중재다. 한편, 우리나라의 한국심리학회 산하 학교심리학회에서는 학교심리학자의 역할을 평가, 개입, 예방, 자문, 연구 등으로 제시하였다.
첫째, 평가역할로서 학생의 학업기술, 학습적성, 학습환경, 지능, 정서, 사회성 및 행동 발달, 정신건강 상태와 각종 교육적 · 심리적 서비스의 필요성을 평가한다.
둘째, 개입역할로서 학교적응이나 학업수행에 어려움을 보이는 학생의 인지, 정서 및 행동문제, 대인관계 문제나 가족문제를 해결하도록 심리상담이나 각종 심리교육적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그리고 위기관리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교와 학생이 위기에 대처하는 데 도움을 준다.
셋째, 예방역할로서 각종 심리적 · 교육적 위기에 놓여 있는 학생 및 일반 학생의 적응과 건강한 발달을 촉진하고, 하나의 시스템으로서 학교가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학습 환경을 갖추도록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며, 이를 위해서 학생, 학부모, 교사, 학교 관리자와 긴밀하게 협력한다.
넷째, 자문역할로서 학생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교사, 학교 관리자 및 학부모를 참여시킨 가운데 긴밀하게 협조하며 그들에게 전문적 자문을 제공한다.
다섯째, 연구역할로서 각종 교육적 · 심리적 서비스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심리학 실무를 개발하는 데 필요한 연구를 수행한다.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지역이나 학교의 상황에 따라 한 지역에 한 명 내지 한 학교에 한 명의 학교심리학자를 배치해 두고 있다. 그 외에도 학교 소속, 지구교육센터 내지 교육청 또는 교육위원회 소속, 순회심리학자 등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시행하지 않는 제도다.
*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학교심리학자
[school psychologist, 學校心理學者]
(상담학 사전, 2016. 01. 15.,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2) 주요 조직 :
앞에서도 말했듯이, 학교 심리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기관으로 APA(미국 심리학회)와 NASP(전국 학교 심리학자 연합회)가 있다. 두 조직 모두 학교 심리학자에게 매우 중요하지만, 각자의 기관은 서로 강조하는 부분과 강령에 있어 차이가 있다.
① APA :
APA는 1892년 설립되어 모든 심리학 분야를 대표하여 활동하고 있는 조직으로, 처음에는 26명의 회원으로 시작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여 1981년경에는 53,000여명의 회원으로 늘어났다.
심리학은 일반적으로 철학, 물리학, 생리학의 세 분야에 기반을 둔 학문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미국 심리학의 역사는 서로 상충되는 이론, 관점, 주안점으로 대표되지만, 이 중에서 특히 두 가지 상호관련된 트렌드가 학교 심리학에 있어서 중요하다.
㉮ 첫째, 학문적 - 과학적 관심 vs. 응용적 - 전문적 관심의 심리학 내 두 입장 간의 논쟁 :
심리학이 조직된 이래 심리학의 일차적 본질이 과학 지향인지 전문성 지향인지에 대한 문제는 끊임없는 논란이 되어왔다. 학문적 - 과학적 관심을 추구하는 입장에서는 학문적 심리학 지식을 개발하고 보급하는 것에 관심을 두고 있는 반면, 응용적 - 전문적 관심을 추구하는 입장에서는 구체화된 대상 집단에 서비스를 전달하는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 둘째, APA 내의 관심 분야 다양성의 증가 :
APA는 현재 56개 분과를 운영하고 있으며, 그 중 16번째 분과(Educational Psychlogy)과 학교 심리학 분과이다. 참고로, 한국 심리학회는 총 15개 분과를 운영하고 있으며, 그 중 11번째 분과가 학교 심리학 분야이다.
② NASP :
NASP는 주로 박사 학위를 소지하지 않은 실무 위주 학교 심리학자에 의하여 APA에서 충족할 수 없는 전문적 요구를 위하여 구성한 조직이다.
NASP를 시작하게 된 촉매제 역할을 한 것은 오하이오 주 학교 심리학자 연합회의 한 그룹으로, 이들에 의해 1968년 3월 오하이오 주 콜럼버스에서 열린 회의를 통해 일 년 후 1969년 3월 NASP가 공식적으로 출범하게 되었다.
✔1969년 24개 주에서 온 400명의 참석자는 몇 가지 중요한 문제를 구체화하였는데 :
㉮ 학교 심리학이 많은 주에서 전문적 조직을 구축하고 있으나, 이를 아우르는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가 없거나 빈약하다.
㉯ 그 때까지의 학교 심리학 영역에서의 전문 조직은 비조직적이고, 혼란스럽고, 무계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데, 이는 공평하지 않은 주별 성장 차이와 이 상황을 해결할 인력과 재정의 부족에서 기인한다.
㉰ 아동 및 청소년의 정신건강과 교육 개발을 장려하는 것이 많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내 학교 심리학 실무 시행에 있어 보편적이고 정의된 목적이 없다.
㉱ 박사학위를 소지하지 않은 학교 심리학자는 국가적인 정체성과 이들의 전문성에 직면한 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③ APA vs. NASP :
위에서 언급한 두 조직은 이제 학교 심리학자의 훈련, 훈련 프로그램의 인가, 서비스 전달의 기준, 학교 심리학자의 자격 인정, 전문적 실무에 대한 윤리적 기준 등을 개발하는데 있어 명확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아래의 표에서는 APA와 NASP의 지침문서가 비교/제시되고 있다.
분 류 | APA | NASP |
훈련 혹은 인가 기준 |
* Criteria for Accreditation of Doctoral Training Programs and Internships in Professional Psychology(전문심리학 박사과정 및 인턴십 인증기준) * Accreditation Handbook(인증 핸드북) |
* Standards for field Placement Programs in School Psychology(학교 심리 현장배치 프로그램 기준) * Standards for Training Program in School Psychology(학교 심리 교육훈련 기준) |
서비스 전달 및 자격인정 기준 |
* Standards for Providers of Psychological Services(심리 서비스 제공자 표준) * Specialty Guidelines for the Delivery of Sevices by School Psychologists(학교 심리학자의 서비스 전달을 위한 특별지침) |
* Standards for Credentialing in School Psychology(학교 심리학력 기준) * Standards for the Provision of School Psychological Sevices(학교 심리서비스 제공 기준) |
윤리적 기준 | * Ethical Principles of Psychologists(심리학자의 윤리 원리) | * Principles for Professional Ethics(직업 윤리를 위한 원칙) |
기본적으로 두 조직은 자신들의 역사와 전통, 지향점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중요한 여러 가지 문제들에 있어 다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아래의 네 가지 문제는 이들이 서로 어떻게 다른 입장을 취하는지를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이다.
㉮ 학교 심리학의 계보 :
APA는 학교 심리학자는 학교라는 환경에서 가능하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 심리학자라는 입장으로, 학교 심리학은 일반 심리학에서 직접적으로 분파한 영역이라고 본다.
이와 달리 NASP는 학교 심리학에 대해 심리학과 교육학을 혼합한 영역이라는 입장으로, 학교 심리학자는 심리학자이자 교육학자라고 본다.
㉯ 전공 vs. 직업 :
APA는 학교 심리학자가 독자적으로 전문적인 역할을 하는 치료자라기보다는 심리학적 실무를 진행하는 전문가라는 입장을 취하고,
NASP는 학교 심리학을 심리학과 교육학 양쪽과 관련된(하지만 양쪽 영역의 어떤 정체성에도 의존하지 않는) 독립적인 직업이라는 입장을 취한다.
㉰ 자율적인 실무를 위한 진입 수준 :
APA에서는 박사수준(박사학위 소지자)의 실무자들에게만 감독 없이 자율적으로 일하는 것을 허용하였다.
NASP에서는 공립학교 및 사설 기관에서 감독이 필요없는 자율적인 실무를 할 수 있는 자격을 6년 훈련 경험 혹은 전문가 수준으로 명시하고 있다.
또한 APA에서는 학교 심리학 훈련생의 감독 자격에 있어서도 박사 수준의 훈련을 통해서만 충분히 감독 가능한 능력이 갖춰진다고 하였고,
NASP에서는 박사 학위 자체만으로 감독 역량을 평가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으며, 전문적인 감독자는 학위 수준보다는 입증된 역량에 근거하여 선택하여야 된다고 하였다.
㉱ 학교 심리학에서의 직함 :
APA에 따르면 전문적인 심리학자는 박사 학위 소지자로 정의된다. 이 조건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APA의 정책에 따라 심리학자라는 호칭은 사용할 수 없으며, 제안된 다른 직함의 사례로 "학교 심리학 조사관(School Psychological Examiner)", "학교 심리학 기사(School Psychological Technician)" 등을 주장하고 있다.
NASP는 자신들의 기관명을 따서 "National Association of School Psychologocal Personnel(전미 학교 심리학자 협회, NASPP)"로 명칭을 변경할 것을 제안하였다.
* 역사가 긴 APA와 상대적으로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는 NASP는 '적대적인 관계'라고 하기보다는 중요한 문제가 있을 때마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협력 및 상호 이득이 될 수 있는 활동을 촉진하는 형태로 학교 심리학의 발전을 위하여 서로를 개방하는 방식으로 활동하고 있다.
(3) 학교 심리학과 학교 상담의 차이 :
학교 심리학과 유사한 분야로, 언뜻 보기에는 별 차이가 없어 보이는 학교 상담과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세분화된 정의에 따르면 학교 심리학(school psychology)과 학교 상담(school counseling)은 중요한 차이가 있다.
✔학교 심리학 :
- 특수한 요구에 맞게 고안된 영역으로 학교 심리학자는 학생을 평가하여 구별하며, 이를 바탕으로 특이점이 있는 학생을 모니터링하고 학업을 위한 계획을 세워주며, 사회-정서적으로 개입하는 역할을 주로 한다.
- 학급과 학교 기능이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데 데이터를 활용하며, 학생이 행동에 문제를 보이거나 학업에 문제가 있을 경우 교사들과 상담하여 해결책을 찾는다.
✔학교 상담 :
- 학교 상담은 특수한 학생이 아닌 학생 전체를 위한 영역이라고 볼 수 있다. 학교 상담교사는 학생이 도전하고 성공할 수 있도록 격려하는 역할을 주로 수행한다.
- 중. 고등학교에서 학교 상담교사는 학생이 마약, 알코올과 또래집단의 압력을 견디도록 돕는다. 또한 이보다 저학년에서 학교 상담교사는 학생에게 사회적 기술을 훈련시키거나 잘애 목표를 확실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그렇기는 하지만 오늘날 학교 심리학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에는 특수학생뿐만 아니라 학생 전체를 위한 서비스도 포함되어 있어, 어떤 학생을 다루는지에 대한 점에서의 구분만큼은 점차 희미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다음 시간에 계속, 학교 심리학의 역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및 참조 : [학교 심리학], 학교심리학의 기초, 핵심이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