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직무 분석 이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작업 요소, 일, 직위, 직무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직업 심리학] 직무 분석 이론①(직상 기출, 작업 요소, 일, 직위, 직무, 원칙, 직위 분석 질문지
◆ 오늘부터는 직무 분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직업 심리 검사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4.06.21 - [직업 상담, 직업 심리] - ✔[직업 심리학] 직업 심
narrare3.tistory.com
2. 직무 분석의 방법
(1) 최초 분석법(New Analysis Method) :
① 의의 :
직접 작업 현장을 방문하여 분석을 실시하는 방법을 말한다.
② 특성 :
㉮ 분석할 대상 작업에 대한 자료가 드물고, 그 분야에 많은 경험과 지식을 갖춘 사람이 거의 없을 때 사용한다.
㉯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
㉰ 비교적 직무 내용이 단순하고 반복되는 작업을 계속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③ 종류 :
㉮ 관찰법 :
직무 분석자가 직접 작업장을 방문하여 작업자가 하는 직무 활동을 관찰함으로써 직무를 분석한다. 그러나 직무 수행자의 정신적인 활동까지 관찰할 수는 없다.
㉯ 면접법(면담법) :
- 직무 분석자가 특정 직무에 대하여 오랜 경험과 전문 지식, 숙련된 기술과 기능을 지니고 있고 정확한 표현이 가능한 작업자와의 면접(면답)을 통하여 직무를 분석한다.
- 면접에서 질문을 하는 방식에 따라 표준화 면접법(구조적인 면접법), 비표준화 면접법(비구조적 면접법), 반표준화 면접법(반구조적 면접법)이 있다.
✅ 직무 분석을 위한 면접시 면접 진행을 위한 지침 및 유의 사항 :
- 작업자가 말하는 내용에 대하여 의견 대립을 보이지 말아야 한다.
- 노사 간의 불만이나 갈등에 관한 주제에 어느 한쪽으로 편을 들지 말아야 한다.
- 직무에서의 임금 분류 체계에 관심을 보이지 말아야 한다.
- 면접 내내 정중하고 공손한 태도를 보여야 한다.
- 작업자를 얕보는 투로 이야기하지 말아야 한다.
- 사적인 감정을 배제하여야 하며, 조직이나 작업 방법에 대해 비판하지 말고 변화나 개선을 제안하지 말아야 한다.
- 보다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폐쇄형 질문보다 개방형 질문을 하도록 한다.
- 상사나 감독자의 허락을 먼저 받고 작업자와 면접한다 → 면접 대상자들의 상사를 통하여 대상자들에게 면접을 한다는 사실과 일정을 알려 주도록 한다.
- 면접을 통해 수집한 자료는 작업 반장이나 부서장과 검토해야 한다.
㉰ 체험법 :
직무 분석자 자신이 직접 직무 활동을 체험함으로써 직무를 분석한다.
㉱ 설문지법(질문지법) :
직무 분석자가 현장의 작업자 또는 감독자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이들로 하여금 직무의 내용과 조건을 기술하게 하여 직무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는다.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시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작성 요령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
✔직무에 대한 어느 정도의 사전 지식이 요구된다.
✔직무의 성격과 관계없이 모든 직무에 대해서 사용할 수 있다.
✔다수의 작업자가 참여할 수 있으며, 자료 수집이 용이하다.
✔질문지를 통해 질문한 것의 내용만을 얻을 수 있고, 부수적인 정보는 얻을 수 없다.
㉲ 작업 일지법 :
- 작업자들이 정해진 양식에 따라 직접 작성한 작업 일지로부터 직무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한다.
- 그러나 작성자의 문장력에 영향을 받으며, 작성자의 무성의나 의도적인 왜곡이 문제시될 수 있다.
㉳ 녹화법 :
직무 분석자가 작업장의 환경을 관찰하기 어려운 경우 비디오테이프에 작업 장면을 촬영 · 녹화하여 직무를 분석한다.
㉴ 결정적 사건법(중요 사건법) :
- 직무 성과와 관련하여 효과적인 행동과 비효과적인 행동을 구분하여 그 사례를 수집하고, 이러한 사례로부터 효과적인 행동 패턴을 추출하여 분류하는 방법이다.
- 즉, 종업원들이 직무에서 결정적으로 잘한 사건이나 결정적으로 실수를 범한 사건(가장 인상 깊었던 사건)들을 수집한 후, 그러한 사건들에서 있었던 구체적인 행동들을 알아내어 이 행동들로부터 직무에서 요구되는 지식, 기술, 능력 등의 인적 요건들을 추론하는 것이다.
(2) 비교 확인법(Verification Method) :
① 의의 :
지금까지 분석된 자료를 참고로 하여 현재의 직무 상태를 비교 · 확인하는 방법이다.
② 대상 :
㉮ 수행하는 작업이 다양하고 직무의 폭이 상당히 넓어 단시간의 관찰을 통해 분석하기 어려운 경우
㉯ 대상 직무에 대한 참고 문헌과 자료가 충분하여 널리 알려진 직무를 분석하는 경우
(3) 데이컴(DACUM)법 :
① 데이컴(DACUM)은 교육 과정 개발(Developing A Curriculum)의 준말로, 교육 과정 자체와 관련이 깊다.
② 8~12명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데이컴 위원회를 통해 *브레인스토밍 등을 사용하여 단기간에 분석하는 방법으로, 교과 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직무 분석 방법이다.
③ 특정한 직책이나 직업 분야에 고용된 사람이 수행해야 할 작업이나 능력을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파악하는 데 효과적이다.
④ 캐나다에서 고안하였으며, 교과 과정을 개발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법이다.
✅ 브레인스토밍(두뇌폭풍법, Brainstorming) 기법 :
- 직무 분석 대상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자유로운 토의를 통해 직무 분석을 하는 방법이다.
- 널리 사용되는 창의력 개발 방법으로, 조직적이고 구조적이다.
- 일반적으로 10명 내외의 인원이 하나의 주제를 놓고 그에 대한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발표하도록 한다. 이때 1명의 리더가 진행할 수 있고, 리더 없이 진행할 수도 있다.
- 오스본(Osborn)이 개발하였다.
브레인스토밍
일정한 주제에 대해 구성원들의 창의적이고 자유분방한 발상을 통해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법. '두뇌(Brain)'와 '폭풍(Storm)'의 합성어로 머리에서 폭풍이 몰아치듯이 거침
terms.naver.com
■ 다음 시간에 계속, 직무 분석 이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및 참조 : [직업 심리학], 직무 분석 이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