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지능 평가(지능 검사, 지능 이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지능 평가의 개괄, 지능의 정의(학자들의 견해, 일반적 의미)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지능 평가①(지능 검사, 인지 평가, IQ란 무엇인가, 지능 지수의 평균 분포, 학업 성취도, 웩슬
◆ 오늘부터는 지능 평가(지능 검사, 인지 평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지능 평가는 인지 평가의 한 종류이다. - 학생의 인지적 장점(강점)과 약점, 그리고 학생의 종합적인 인지적 잠재
narrare3.tistory.com
2. 지능 이론
(1) 스피어만(Spearman)의 2요인설 :
① 이는 지능에 대한 최초의 요인 분석으로, 스피어만은 여러 지적 능력에 관한 검사와 이들 검사 간에 존재하는 상관 관계를 설명하는 '요인(Factor)'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② 지능은 모든 개인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일반 요인(General Factor)'과 함께 언어나 숫자 등 특정한 부분에 대한 능력인 '특수 요인(Special Factor)'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하였다.
③ 즉, 일반 지능이 낮더라도 음악이나 미술 등 예능에서 천재성을 보이는 경우가 있으며, 이는 일반 요인이 아닌 특수 요인에 의한 것으로 본다.
일반 요인 (G Factor) |
- 생득적(타고난)인 것으로, 모든 유형의 지적 활동에 공통적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예) 이해력, 관계추출능력, 상관추출능력 등 |
특수 요인 (S Factor) |
- 일반 요인만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특수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작용하는 것이다. 예) 언어 능력, 수리 능력, 정신적 속도, 상상력 등 |
(2) 손다이크(Thorndike)의 다요인설 :
① 손다이크는 지능을 "진리 또는 사실의 견지에서 올바른 반응을 행하는 능력"이라고 정의하였다.
② 지능은 '추상적 지능', '구체적(실제적) 지능', '사회적 지능'으로 구성되어 있다.
㉮ 추상적 지능 : 언어나 수 등 상징적 기호를 처리하는 능력
㉯ 구체적(실제적) 지능 : 동작에 의해 사물을 조작하는 능력
㉰ 사회적 지능 : 다른 사람을 이해하거나 사람과 협력하는 능력
(3) 서스톤(Thurstone)의 다요인설 :
① 서스톤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종류의 지능 검사를 실시한 후, 이를 요인분석적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② 지능은 각각 독립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는 개별적인 능력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함으로써, 불분명한 일반 지능의 실체를 강조한 일반 지능설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③ 지능은 '언어 이해(Verbal Comprehension)', '수(Numerical)', '공간 시각(Spatial Visualization)', '지각 속도(Perceptual Speed)', '기억(Memory)', '추리(Reasoning)', '단어 유창성(Word Fluency)' 등 7가지 요인으로 구성된다.
(4) 길포드(Guilford)의 복합 요인설(입체 모형설) :
① 길포드는 서스톤의 7가지 기본 정신 능력에 관한 이론을 발전시켜 기존의 지능에 대한 협소한 계열을 확대하였다.
② 지능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상이한 정보들을 처리하는 다각적 능력들의 체계적인 집합체라고 주장하였다.
③ 지능 구조는 내용(Content), 조작(Operation), 결과(Product)의 3차원적 입체 모형으로 이루어지며, 이들의 상호 작용에 의한 180개의 조작적 지적 능력으로 구성된다고 하였다.
④ 내용(Content)은 사고의 대상으로써 주어진 정보의 내용에 관한 것이며, 조작(Operation)은 사고의 과정으로써 정보를 처리하고 작동하는 지적 활동에 관한 것이다.
또한 결과(Product)는 사고의 결과로써 정보 조작의 결과에 관한 것이다.
내 용 (Content) |
- 시각 : 시각적 지각에 대한 정보 - 청각 : 청각적 지각에 대한 정보 - 상징 : 상징적. 기호적 정보 - 의미(어의) : 의미 있는 단어나 개념의 의미적 정보 - 행동 : 표정, 동작 등의 행동적 정보 |
조 작 (Operation) |
- 평가 : 사고 결과의 적절성을 판단하는 평가 - 수렴적 사고(조작) : 이미 알고 있는 지식이나 기억된 정보에서 어떤 지식을 도출해 내는 능력 - 확산적 사고(조작) : 이미 알고 있거나 기억된 지식 위에 전혀 새로운 지식을 창출해 내는 능력 - 기억 파지 : 정보의 파지 - 기억 저장 : 정보의 저장 - 인지 : 여러 가지 지식과 정보의 발견 및 인지와 관련된 사고력 |
결 과 (Product) |
- 단위 : 각 단위의 정보 - 분류 : 공통적인 특성의 공유 - 관계 : 2개 이상 단위들의 종합 - 체계 : 단위의 조직화된 체계 - 전환 : 기존 정보에 대한 해석 또는 수정과 적용 - 함축 : 어떤 정보에서 생기는 예측, 기대 또는 시사점 |
(5) 카텔과 혼(Cattell & Horn)의 위계적 요인설 :
① 카텔과 혼은 인간의 지능을 '유동성 지능(Fluid Intelligence)'과 '결정성 지능(Crystallized Intelligence)'으로 구분하였다.
② 혼은 카텔의 주장을 토대로 유동성 지능과 결정성 지능의 특징적 양상에 대해 연구하였다.
유동성 지능 |
- 유전적. 신경 생리적 영향에 의해 발달이 이루어지는 반면 경험이나 학습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 신체적 요인에 따라 청소년기에 이르기까지 발달이 이루어지다가, 이후 퇴보 현상이 나타난다. - 속도, 기계적 암기, 지각 능력, 일반적 추론 능력 등이 해당한다. - 웩슬러 지능 검사의 소검사 중 '빠진 곳 찾기, 차례 맞추기, 토막 짜기, 모양 맞추기, 공통성 문제, 숫자 외우기' 등이 유동성 지능을 반영한다. |
결정성 지능 |
- 경험적. 환경적. 문화적 영향의 누적에 의해 발달이 이루어지며, 교육 및 가정환경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 나이가 들수록 더욱 발달하는 경향이 있다. - 언어 이해 능력, 문제 해결 능력, 상식, 논리적 추리력 등이 해당한다. - 웩슬러 지능 검사의 소검사 중 '기본 지식, 어휘 문제, 공통성 문제, 이해 문제' 등이 결정성 지능을 반영한다. |
③ 일반적으로 웩슬러 지능 검사의 언어성 소검사들은 결정성 지능과 연관된다. 반면, 동작성 소검사들은 유동성 지능과 관련되며, 문제 해결 능력을 측정한다고 볼 수 있다.
④ 혼은 변형된 지능 모델을 통해 웩슬러 지능 검사의 소검사들을 다음과 같이 4개의 범주로 분류하였다.
⑤ 환경의 영향을 받는 결정성 지능에는 언어성 소검사 4개가 포함되며, 유동성 지능에는 공통성 문제와 숫자 외우기의 2개 언어성 소검사와 함께 동작성 소검사들이 포함된다.
⑥ 공통성 문제는 결정성 지능과 유동성 지능 모두와 관계가 있으며, 기억과 관련된 소검사로써 기본 지식은 결정성 지능, 숫자 외우기는 유동성 지능과 연관된다.
⑦ 소검사 특유의 변량이 큰 바꿔 쓰기는 운동 속도와 연관된다.
결정성(Crystallized) | 유동성(Fluid) | 기억(Retrieval) | 속도(Speed) |
기본 지식 어휘 문제 이해 문제 공통성 문제 |
빠진 곳 찾기 차례 맞추기 토막 짜기 모양 맞추기 공통성 문제 숫자 외우기 |
기본 지식 산수 문제 숫자 외우기 |
바꿔 쓰기 |
(6) 가드너(Gardner)의 다중 지능 이론 :
① 전통적인 지능 이론이 지능의 일반적인 측면을 강조하는데 반해, 가드너는 문제 해결 능력과 함께 특정 사회적. 문화적 상황에서 산물을 창조하는 능력을 강조하였다.
② 인간의 지능은 일반 지능과 같은 단일한 능력이 아닌 다수의 능력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능력들의 상대적 중요도는 서로 동일하다.
③ 가드너는 지능을 언어 지능(Linguistic Intelligence), 논리-수학 지능(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공간 지능(Spatial Intelligence), 신체-운동 지능(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음악 지능(Musical Intelligence), 대인관계 지능(Interpersonal Intelligence), 개인 내적 지능(Intra Personal Intelligence) 등 7가지의 독립된 지능으로 구분하였다.
④ 최근에는 자연탐구 지능(Naturalist Intelligence) 및 실존적 지능(Existential Intelligence)을 비롯하여 도덕적 감수성(Moral Sensibility), 성적 관심(Sexuality), 유머(Humor), 직관(Intuition), 창의성(Creativity) 등 다양한 지능의 존재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7) 스턴버그(Sternberg)의 삼원지능이론 :
① 스턴버그는 지능을 개인의 내부 세계와 외부 세계에서 비롯되는 경험의 측면에서 성분적 지능(Componential Intelligence), 경험적 지능(Experiential Intelligence), 상황적(맥락적) 지능(Contexyual Intelligence)으로 구분하였다.
② 지능의 세 가지 측면을 토대로 한 성분하위이론, 경험하위이론, 상황하위이론은 다시 각각의 세부적인 하위 이론들로 나눠짐으로써 위계 구조를 이룬다.
③ 삼원지능이론의 각 하위 이론들은 내부 영역, 경험 영역, 외부 영역에서 지능의 근원적 요소들을 포착하여 해당 요소들이 어떻게 지적 사고와 행동을 산출하는지 제시한다.
✔지능의 발달②(가드너 다중지능이론, 스턴버그 삼원지능이론, 성공지능, 지능의 구조, 정보처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지능의 발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각 학자별 지능에 대한 정의, 지능의 연구(비네, 스피어만, 손다이크, 써스톤, 길포드, 카텔과 혼) 등에 대해 궁금하신
narrare3.tistory.com
■ 이상 지능 평가에 대한 개괄적인 설명을 마치고, 다음에는 웩슬러 지능 검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및 참조 : [학교 심리학], 학교 심리학에서의 평가, 핵심 이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