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정적 정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행복의 개념, 원인, 만족하는 삶을 사는 사람들의 특징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정적 정서①(행복의 개념, 정서의 기준과 행복의 비교, 만족하는 삶을 사는 사람들의 특징, 주
■ 오늘부터는 정적 정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기본 정서 중 슬픔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3.03.20 - [이야기가 있는 정원, 동기와 정서] - ✔슬픔(Sorrow,
narrare3.tistory.com
② 행복과 성격 :
㉮ '하향적'이라는 의미는 나의 성격이나 기질이 행복을 통제한다는 것이고, '상향적'이라는 의미는 반대로 생활 상의 사건들이 나의 행복을 좌우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많은 사람들이 자신에게 주어진 생활 사건으로 인해, 예상되는 것보다 일관되게 덜 행복하다.
㉰ 행복의 결정 요인 중 하나는 사람들의 천성적인 성향 또는 성격이다.
㉱ 현재의 행복의 정도는 몇 년 후 얼마나 행복할 것인가에 대한 좋은 예측 요인이 된다.
㉲ 유전자가 이 개인차에 어느 정도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일란성 쌍둥이들이 이란성 쌍둥이들보다 삶의 만족에 있어서 더 강하게 닮아 있다.
- 많은 유전적 요인들이 신경 전달 물질이나 그 수용기의 생성을 변화시킴으로써, 행복의 개인차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 신경 전달 물질의 영향 :
- 높은 도파민 수준이나 도파민 수용기의 높은 반응성을 나타내는 유전적 성향을 가진 사람들이 행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 도파민 수용기의 높은 반응성은 외향성과 관련이 있고, 외향성은 행복과 매우 높은 상관을 가지는 성격적 특질이다. 그러나 도파민 수용기와 외향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들은 일관적이지 않다는 결과를 보여준다.
- 엔도르핀 전달 물질들도 기분에 영향을 주는데, 엔도르핀의 방출은 행복할 때 증가하고, 슬플 때 감소한다.
✔정서의 신경과학⑥(정서와 신경 전달 물질, 도파민, 세로토닌, 기능, 역할, 공격성, 운동 통제,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정서의 신경과학적 측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시상하부, 섬피질, 전전두피질, 중격의지핵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
narrare3.tistory.com
③ 행복과 부(富) :
㉮ 예를 들어 복권에 당첨된 사람은 당첨 직후에 당연히 매우 높은 행복감을 보고하였으나, 몇 달이 지난 후 행복도는 평균 수준까지 내려갔다.
㉯ 과거 한동안 심리학자들은 부가 행복과 별로 관련이 없다는 결론을 내렸지만, 실제로 넓은 범위의 사람들을 조사해보면, 부유한 사람은 평균적으로 가난한 사람보다 더 행복한 경향이 있다.
㉰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부의 특징 :
- 빈곤한 사람들은 자신들의 주변에 더 잘사는 친구들이나 친척들이 있을 때 특히 불행할 수 있다.
- 어떤 사건의 정서적 영향은 그것이 예상되었던 것보다 더 좋은지 더 나쁜지에 달려있다.
- 건강에 따라 빈곤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 가난하면서 행복한 것은 가능하지만, 가난하고 아프면서 행복하기는 어렵다.
✅ 삶의 만족도가 높은 나라들의 특징 :
- 전반적으로 부유한 국가의 사람들은 가난한 국가의 사람들보다 더 높은 삶의 만족을 보고한다.
- 전반적으로 매우 종교적인 나라들에서 삶의 만족도가 더 높았다.
- 사회적 소수자들에 대한 처우가 좋은 나라들에서 삶의 만족도가 더 높다.
- 남성과 여성에게 동등한 지위를 제공하는 나라에서 삶의 만족도가 더 높은 경향이 있다.
④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변인들 :
㉮ 관계 :
- 일반적으로 가까운 사람들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 사람들이, 그리고 결혼한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더 행복한 것으로 묘사된다. 이는 강한 우정과 낭만적 애착이 사람들에게 유익하다는 뜻이다.
- 결혼과 행복의 관계는 경우에 따라 다르지만, 행복한 부부들이 평균적으로 불행한 부부들에 비해 삶이 훨씬 더 행복하다.
- 행복한 사람들은 더 행복한 친구들을 갖는 경향이 있고, 어떤 사람이 행복하면 그 사람의 친구들도 행복하다고 느낀다. 행복은 전염되는 경향이 있다.
- 행복은 친밀한 관계를 촉진시키고, 친밀한 관계는 행복을 증가시킨다.
㉯ 건강한 사람은 건강하지 않은 사람들보다 더 행복하다 :
- 행복한 사람들은 거의 같은 정도로 아픈 경우에 슬픈 사람들보다 아프다는 말을 덜 하고, 더 적은 수의 증세들을 보고하는 경향이 있었다.
㉰ 종교적인 신념을 가진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더 행복한 경향이 있다 :
- 이는 종교가 명확한 목적 의식, 고난 시의 위안, 안정성, 공동체 소속감 등을 제공해 주기 때문이다.
㉱ 인생의 목표 :
- 행복한 사람들은 인생의 목표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더 높다.
- 돈을 벌겠다는 목표는 인간을 항상 행복으로 이끌어주지는 않는다.
- 이와 관련하여 심리학자인 아들러(Adler)는 우월성(superiority)의 추구야말로 사람들의 일차적 동기이며, 사람들이 그러한 목표를 서로 다른 방법으로 추구한다고 주장하였다.
✔아들러의 우월성의 추구에 대한 참조 글 :
✔아들러(Adler)의 개인 심리학①(프로이트와 아들러의 차이점, 총체적 존재, 사회적 존재, 목표지
◆ 오늘부터는 개인심리학(Individual Psychology)의 창안자, 혹은 창시자인 알프레드 아들러(Alfred Adler : 1870~1937)에 대해서 말씀드려 보도록 하겠다. 기시미 이치로. 고가 후미타케의 「미움받을 용기
narrare3.tistory.com
- 우월성을 얻기 위해 노력하는 가장 건강한 방법이자 만족을 느끼도록 이끌 가능성이 가장 높은 방법은 사회의 개선, 세계 평화, 공정성 또는 지식의 발전 등과 같이 자기 자신을 넘어서는 어떤 것의 복지를 추구하는 것이다.
- 이러한 아들러의 이론은 후에 자존감(Self-esteem, 자아 존중감)으로 발전되었는데, 이는 삶에 대한 만족이 자존감 자체에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추구할 만한 것, 가치 있는 목표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 자존감은 1890년대 미국의 심리학자인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 1842~1910)가 처음 주장한 이후 아들러를 거쳐 인본주의 심리학자들(에이브러햄 매슬로, 칼 로저스 등)에 의해 발전되었다.
윌리엄 제임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 1842년 1월 11일, 뉴욕주 뉴욕 ~ 1910년 8월 26일, 뉴햄프셔주 탬워스)는 미국의 철학자, 심리학자이다. 프래그머티즘 철학의 확립자로 알
ko.wikipedia.org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이론②(욕구위계 5단계, 생리적 욕구, 안전의 욕구, 애정과 소속에 대한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에이브러햄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이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인본주의 이론의 이해, 인간에 대한 관점, 인본주의 심리학의 핵심 가정 등에 대해 궁금하신
narrare3.tistory.com
✔로저스의 인간중심이론③(인본주의, 인간중심상담, 충분히 기능하는 사람, Self, 경험에 대한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칼 로저스의 인간중심이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위협과 불안의 경험을 포함한 자기개념의 부적응 상태, 부적응의 원인, 왜곡, 부인 또는 부정, 인간중심
narrare3.tistory.com
■ 다음 시간에 계속, 정적 정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및 참조 : [동기와 정서], 개별 정서, 핵심 이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