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부터는 정적 정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기본 정서 중 슬픔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1. 행복과 정서
(1) 행복의 개념과 정서 :
① 인생의 목표와 행복 :
㉮ 많은 사람들이 인생의 일차적 목적을 '행복'이라고 말한다.
㉯ 행복이란 무엇인지, 행복은 정서인지, 태도나 특질과 같은 것인지와 같은 질문은 행복 관련 연구에서 필수적인 것이다.
㉰ 정적 정서는 분노, 공포, 우울에 대한 연구보다 한참 뒤인 1990년대에 진지하게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 이처럼 정적 연구가 늦어진 이유는 행복이 다른 정서들보다 그 정의와 측정이 훨씬 더 어렵기 때문으로 보인다.
② 정서와 행복 :
㉮ 공포와 분노는 전형적인 정서의 예이지만, 행복은 정서의 정의에 딱 맞게 떨어지지 않는다.
✅ 정서의 기준과 행복의 비교 :
✔정서는 자극에 대한 반응이다 :
사람들은 종종 특별한 이유 없이 행복하기도 하다. 행복이나 만족감은 다른 전형적인 정서들보다 더 오래 지속된다. 어떤 면에서 행복은 성격 특질에 가깝다.
✔정서는 생리적, 행동적, 주관적 변화들의 복합적인 연쇄이다 :
행복이 유발하는 행동이 무엇인지 구체적이고 기능적인 행동을 특정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정서는 상황에 대한 기능적 반응이다 :
행복이 우리 삶에 어떤 방식으로 적응적인가? 행복이 상황적으로 적합도를 높이지만 행복의 이득은 공포, 분노, 또는 혐오의 이득에 비해 덜 분명하다.
㉯ 행복은 삶에 대한 일반적인 만족감이라는 의미에서, 대부분 표준적인 정서에 대한 정의에 부합하지 않는다.
㉰ 대부분 일반인이나 연구자들이 행복이라고 부르는 것은 기분이나 감정으로서의 자격을 갖춘 장기적이고 성향적 측면을 말한다.
✅ 행복하거나 만족하는 삶을 사는 사람들의 특징 :
- 자율성, 자신이 처한 상황에 대한 능숙함, 인격적 성숙, 타인과의 긍정적 관계, 인생에 대한 능숙함, 인생에 대한 목표, 자기수용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 특히, 이들은 나쁜 기분일 때 빨리 회복하는 편이다.
- 주관적인 안녕(subjective well-being)이 높아 자기 삶을 즐겁고 흥미로우며, 만족스러운 것으로 평가한다.
③ 특질로서의 행복 측정 :
㉮ 행복을 삶에 대한 만족감이 높고 전반적인 정적 정서 경험이 빈번하고 부적 정서 경험이 드문 것으로 정의한다.
㉯ 행복은 정서의 인지적 측면과 감정적 측면을 반영하고, 생리적 반응과 행동을 가지고 행복이라고 주장하기 어렵기 때문에, 행복의 측정은 주로 자기보고(식 검사)에 의존한다.
✔삶에 대한 만족 척도(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 척도) :
- Diener(1985)등이 개발한 원척도를 김혜영(2008)이 번안한 척도이며, 일상생활 속에서 피검자가 스스로 삶에 만족하는지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 검사의 대상은 청년기부터 노년기까지의 성인을 대상으로 한다.
- 각 진술문에 대해 피검자가 동의하는 정도(예를 들면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 '매우 동의한다' 등)에 따라 평가한다.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의 일부분인 정적 정서 척도 :
- 이 척도는 부정적인 단어(겁먹은 불편함, 괴로운, 부끄러운 등) 10개와 긍정적 단어(열성적인, 흥미를 가진, 단호한, 흥분된, 기민한, 강한 등) 10개로 구성되어 있다.
- 응답자는 일정한 시간 동안 척도상 각각의 단어가 자신의 느낌을 얼마나 잘 묘사하고 있는지를 1부터 5점까지 평정한다.
- 정적 정서 척도를 높은 에너지와 전반적인 긍정적 기분을 측정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는데 많은 연구자들이 동의한다.
✔질문지를 이용한 정서 조사 :
- 사람들에게 얼마나 행복한지 또 만족하고 있는지 직접 물어보는 대신, 그들의 연설이나 글의 일부를 뽑아서 행복을 느끼는 것에 대해 얼마나 언급하고 있는지 세어본다.
- 한 천주교의 수녀 단체는 1930년대 및 1940년대 젊은 신입 수녀들에게 자신에 대해 기술하도록 요구하고, 이 자전적 수필을 보관하였다. 자신의 수필에 가장 정적인 정서를 표현했던 사람들이 가장 오래 생존하였다.
- 위의 연구는 혼입이 될만한 생활 방식의 변인들이 거의 없었다는 점에서 매우 주목할만한 - 행복의 명백한 효과를 보여주는 - 연구이다.
(2) 행복의 원인 :
① 자기 보고된 행복의 원인 :
㉮ 어느 정도 부유한 국가들에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전반적으로 행복하다고 말한다.
㉯ 행복한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보다 그들의 유전자를 더 성공적으로 물려줄 가능성이 높다.
㉰ 행복에 필요한 요건들에 대한 질문에 공통된 답변들은 자신들에게 일어날 수 있는 것들이었는데, 그것은 아래와 같았다 :
- 더 많은 돈 혹은 소유물
- 훌륭한 일자리와 안정된 미래
- 새로운 연인 혹은 현재 연인과의 더 나은 관계
- 높은 학점
- 가족이나 친구들과의 더 많은 시간
- 더 많은 수면
㉱ 무엇이 당신을 행복하게 하는가에 대해 공통된 답변들은 현재 자신의 행동이거나, 쉽게 가용한 것(친구, 가족, 자연 등)에 대해 느끼는 것들이었다 :
- 친구와 가족
- 남자 친구 혹은 여자 친구
- 성공이나 성취의 느낌
- 편히 쉬는 것
- 스포츠를 하고 활동적이 되는 것
- 자연을 즐기는 것
- 음악과 유머
- 신앙
- 다른 사람들을 행복하게 하는 것
㉲ 일테면 중년의 미국 성인들은 그들의 가족 및 친구들과의 관계가 삶에 대한 만족의 주요 원천이라고 말했다. 또한 공통적인 답변으로는 신체적 건강, 재정적 안정성, 자기개발, 만족스러운 직업, 신념, 생활 속의 활동들을 단순히 즐기는 것 등이 포함되었다.
㉳ 그런가 하면 서로 다른 생활 양식을 가진 사람들은 서로 다른 답변을 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대학 교육을 받은 사람들은 자신이 성취한 것을 주로 언급하였고, 고등학교 교육만을 받은 사람들은 자율성의 느낌(사건이나 상황을 자신이 통제하고 있다고 느끼는 것)에 대해 대해 언급하는 경향이 있었다.
㉴ 이로 미루어 볼 때 통제감은 거의 모든 사람에게 중요하며, 통제감을 갖는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보다 더 행복할 뿐 아니라 더 건강한 경향이 있다.
💬 통제감(perceived control)은 사람이 내면, 행동, 자신을 둘러싼 환경에 대해 자신이 통제권을 갖고 있다고 믿는 믿음으로 정의할 수 있다.
통제감에는 두 가지 측면이 있다. (1) 통제하려는 대상이 과거에 속하는지 미래에 속하는지와 (2) 통제하려는 대상이 결과, 행동, 과정 중 어느 것인지이다.
* 출처 : [위키 백과], 통제감
■ 다음 시간에 계속, 정적 정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및 참조 : [동기와 정서], 개별 정서, 핵심 이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