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정적 정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삶의 사건, 삶의 만족을 감소시키는 사건, 존 볼비의 애착 이론, 사랑의 유형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시기 바란다.
㉯ 아마에(甘え) :
- 영어에는 양육자에 대한 (유아의) 사랑의 느낌에 적용되는 특별하고 단일한 정서 단어가 존재하지 않는다.
- '아마에'는 일본어로서 유아가 어머니에게 느끼는 감정과 흡사한 의미를 지닌다.
- 아마에를 굳이 한국의 언어로 표현하자면 정확하지는 않지만 '아이가 엄마에게 부리는 응석, 어리광'쯤 된다.
- 이 정서는 유아가 발달상 어머니와 분리 수준이 높아지는 생후 6개월경 시작되는데, 아이들이 엄마와 자신은 하나라는 느낌을 갖도록 한다.
- 아마에는 애착이 시작되는 시기와 비슷하게 일어난다.
- 유아 뿐만 아니라 성인도 힘들거나 아플 때 자신을 친절하게 보살펴 주는 사람에 대해 이런 정서를 느낄 것이다.
- 일본에서는 성인기에도 어머니와 자식 간의 관계는 다른 모든 관계들이 갈망하는 가장 이상적인 관계로 간주한다.
- 따라서 아마에는 종종 일본적인 정서로 여겨지기는 하지만, 동시에 인류에게 있어 공통된(기본적인) 심리적 현상이기도 하다(Doi, 1973).
- 그런가 하면 미국과 같은 나라에서는 독립성을 매우 높은 가치로 부여하기 때문에, 아마에를 유발할 수 있는 상황을 의도적으로 회피하고자 하는 것으로 보인다.
- 미국 대학생들은 주로 아마에와 관련된 느낌을 '의존적인, 아기와 같은'과 같은 부정적인 정서 경험과 연결시키고, 일본인 대학생들은 긍정적. 부정적 정서 모두와 관련짓는다.
② 돌봄으로서의 사랑 :
㉮ 돌봄은 어리고, 무력하며, 절박하고, 고통스러워 하는 사람이 관련된 광범위한 상황에서 활성화될 수 있다.
㉯ 돌봄 체계의 활성화와 관련될 수 있는 세 가지의 정서 상태는 동정, 연민, 자애적 사랑이다.
- 동정은 고통을 겪고 있는 사람에게 대한 걱정 어린 관심으로 정의된다.
- 연민은 동정과 비슷하지만, 받아들이는 사람이 어떤 곤경에 처해 있다는 것이 더 강조된다.
- 자애적 사랑은 어림과 취약성의 단서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정서로 정의된다.
㉰ 동정과 연민은 개인적 괴로움이나 타인의 고통을 볼 때 느끼는 자기초점적 불안과 대비되지만, 자애적 사랑은 반드시 타인의 고통에 대한 반응일 필요는 없다.
㉱ 동정, 연민, 자애적 사랑 모두 다른 이를 돕도록 동기화시킬 수 있다.
㉲ 타인의 고통에 대해 가장 큰 동정심을 느끼는 것으로 보고한 참여자들이 남을 돕는 행위를 가장 많이 보인다. 즉, 세 가지 정서 상태 중 동정이 가장 강력한 정서이다.
㉳ 고통에 처한 누군가를 돕는 것은 그 사람의 슬픔에 공감하지만, 그 정서를 조절할 수 있어서 압도되지 않을 때 가장 커질 것이다.
㉴ 따라서 이는 개인차가 있는데, 어떤 사람들은 타인의 고통에 비해 동정으로 반응하고, 또 어떤 사람들은 개인적 괴로움으로 반응한다.
㉵ 동정은 생리적 지표, 얼굴 표정, 행동 경향성이 조합된 정서와 유사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 또한 연민과 자애적 사랑이 정서인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③ 성적 욕망 :
㉮ 대부분의 사람들은 문화적인 차이에도 불구하고 성적인 매력을 높여주는 몇몇 특징들에 대해 합의를 이룬다(즉, 성적 매력에는 문화를 넘어선 공통의 특징이 있다).
- 건강한 사람(신체적 건강미가 있는 사람)이 더 섹시하게 보인다.
- 윤기 있는 머리 카락, 깨끗하고 생기가 있는 피부는 매력적으로 여겨진다.
- 허리와 둔부의 크기는 0.7 : 1의 비율이 이상적으로 여겨진다.
- 여러 얼굴을 컴퓨터로 합성했을 때 평균치인 얼굴은 매우 매력적이라고 평정한다. 즉, 평균적인 특징은 친숙한 것이고, 이에 따라 편안하게 느껴진다.
㉯ 매력은 신체적 건강, 그리고 다산성과 긍정적 상관관계를 갖는다.
㉰ 연구 결과 어린아이의 얼굴과 비슷하게 부드럽고 둥근 얼굴, 큰 눈, 작은 코를 가진 여성성은 남성과 여성의 얼굴 모두에서 매력적임을 발견하였다.
㉱ 성격적인 매력에 있어서는 밝고 친절한 성격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사랑의 생물학적 관점과 공감 :
① 옥시토신(oxytocin) :
㉮ 생물학적으로 애착, 돌봄, 성 간의 가장 큰 유사성은 뇌하수체 호르몬인 옥시토신과 관련이 있다.
㉯ 옥시토신의 역할 :
- 출산 시 자궁의 수축을 유도한다.
- 모유를 생성하고 분비하며, 유선을 자극한다.
- 모성 행동을 하는 신경 전달 물질을 방출하는데 관여한다.
- 어머니와 아기의 피부 접촉도 옥시토신을 방출하는데, 이것은 애착 행동, 즉 모성 유대를 촉진한다.
㉰ 일반적으로 한 쌍의 암수 관계를 맺는 종들은 그렇지 않은 종들에 비해 성행위를 하는 동안 뇌의 특정 영역에서 옥시토신과 바소프레신(vasopressin)을 더 많이 분비한다.
㉱ 바소프레신 수용기를 더 많이 가진 남성이 아내와 더 친밀한 관계를 맺고, 이혼에 대해 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옥시토신은 낭만적 관계가 아닌, 신뢰가 요구되는 관계에서의 행동을 예측하며, 사회적 지지와 신체적 건강의 관계에도 관여한다는 증거가 있다.
② 내인성 아편제 :
㉮ 엔도르핀이 친밀한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분리 고통으로 인한 동물의 울음이 엔도르핀의 급격한 감소와 관련이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 예를 들어 원숭이들이 어미에게서 분리될 때 소량의 모르핀을 주사하면 울음이 감소하는 반면, 아편성 수용기를 차단하는 날록손은 울음을 증가시킨다.
㉰ 사람들은 사랑하는 사람을 잃어버리거나 헤어졌을 때 실제로 육체적인 고통과 비슷한 경험을 하는데, 엔도르핀은 이때 천연 진통제와 같은 역할을 한다.
㉱ 관련 실험에서 아편제 반응이 부족한 쥐들은 애착 쾌감의 발달이 매우 약했다.
③ 공감 :
관계의 긍정적인 측면들을 생각할 때 사람들은 종종 공감을 떠올린다. 공감은 공감적 정확성과 정서적 공감의 두 가지 측면에서 정의내릴 수 있다.
㉮ '공감적 정확성'은 타인의 생각과 느낌을 알아차리는 능력이다.
- 상대방의 생각과 느낌을 추측함에 있어서 남성과 여성은 같은 정도의 정확도를 보였다.
- 파트너가 말을 많이 할 때 특히 자신에 대한 말을 할 때, 정확성은 매우 높았다.
- 파트너가 신체적으로 매력적인 경우에 더 높았다.
- 평균 학점이 더 높은 사람들이 더 정확하게 공감하는 경향성이 있었다.
- 자주 미소를 짓는 사람들이 파트너를 평가하는데 정확한 것으로 밝혀졌다.
㉯ '정서적 공감'은 타인의 정서를 실제로 느끼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주관적 경험 뿐만 아니라 생리적 반응과 표현의 유사성을 포함한다.
- 정서적 공감은 각자의 생리적 상태와 행동의 상태를 맞추는 자연스러운 기제의 결과이다.
- 공감적 조망 수용에 대한 질문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은 사람들이 정서적 얼굴 표정 사진을 볼 때 '거울 신경(mirror neuron)' 세포의 활동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 우리가 이야기하는 것이 공감적 정확성인지 아니면 정서적 공감인지에 따라 공감의 영향은 달라진다.
㉱ 다시 말해 상대가 느끼는 것이 무엇이냐에 따라 공감의 영향은 달라진다. 즉, 상대가 화가 나 있는 상황에서의 정서적 공감은 해로울 수 있다는 것이다.
㉲ 행복한 관계를 갖는 사람들은 서로에게 불쾌한 감정을 거의 표현하지 않으며, 표현한다고 하더라도 상대방은 대개 그것을 알아차리지 못한다.
㉳ 파트너가 관계에 위협이 되는 어떤 것에 대해 생각할 때, 공감적 정확성은 관계에 대한 낮은 만족도와 관련이 있었다. 반대로 파트너의 생각과 느낌이 위협적인 것이 아닐 때, 공감적 정확성은 높은 관계의 만족과 관련이 있었다.
■ 다음 시간에 계속, 정적 정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및 참조 : [동기와 정서], 개별 정서, 핵심 이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