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부터는 인지발달 중 지능발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1. 지능의 정의 및 연구
(1) 지능(intelligence)의 정의 :
① 터만(Terman) :
지능은 추상적 사고를 하는 능력, 즉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추상적 성질을 사용하는 능력이다.
✅ 추상적 사고(abstract thinking) :
개별적 사례들로부터 일반적 개념이나 원리를 형성하는 사고이다. 자료들을 비교, 대조하거나, 사실적 설명을 가하는 것은 구체적 사고에 속하는 반면, 자료에 근거하여 추론을 하거나, 유추를 하거나, 추론된 내용들간의 논리적 관계를 설정하는 것은 추상적 사고이다.
추상적 사고는 심상(image)이 관련될 수도 있고, 관련되지 않을 수도 있다.
*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추상적 사고
[抽象的 思考, abstract thinking]
(교육심리학용어사전, 2000. 1. 10., 한국교육심리학회)
② 웩슬러(Wechsler) :
지능은 개인이 합목적적으로 행동하고 합리적으로 사고하며, 환경을 효율적으로 다룰 수 있는 총체적인 능력이다.
③ 비네(Binet) :
지능은 일정한 방향을 설정하고 이를 유지하는 경향성, 자신이 소망하는 바를 성취하기 위해 순응하는 능력, 자신이 도달한 목표를 아는 능력이다.
④ 스피어만(Spearman) :
지능은 사물의 관련성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정신작용이다.
⑤ 피아제(Piaget) :
지능은 단일 형식의 조직이 아닌 적응의 과정을 통해 동화와 조절이 균형을 이루는 형태를 말한다.
(2) 지능의 연구 :
① 비네(Binet) : 일반지능설
지능은 개인의 판단 또는 양식, 실용적 감각, 창의력, 상황에 대한 적응능력과 연관되며, 이해력, 판단력, 논리력, 추리력, 기억력 등 다양한 요소들 간의 포괄적인 관계로 구성된다.
② 스피어만(Spearman) : 2요인설(또는 2인자설)
㉮ 스피어만의 2요인설은 지능에 대한 최초의 요인분석으로, 스피어만은 여러 지적 능력에 관한 검사와 이들 검사 간에 존재하는 상관관계를 설명하는 '요인(Factor)'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 지능은 모든 개인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일반요인(General Factor)'과 함께 언어나 숫자 등 특정한 부분에 대한 능력인 '특수요인(Special Factor)'으로 구성된다고 주장하였다.
일반요인 (G Factor) |
일반요인은 타고난 것으로, 모든 유형의 지적 활동에 공통적으로 작용한다. (예 : 이해력, 관계추출능력, 상관추출능력 등) |
특수요인 (S Factor) |
일반요인 만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특수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작용한다. (예 : 언어능력, 수리능력, 정신적 속도, 상상력 등) |
③ 손다이크(Thorndike) : 다요인설
㉮ 지능은 진리 또는 사실의 견지에서 올바른 반응을 행하는 능력으로, 추상적 지능, 구체적 지능, 사회적 지능으로 구성된다.
㉯ 그 내용으로는 문장력, 수리력, 어휘력, 지시복종성 등이 있다.
④ 써스톤(서스톤, Thurstone) : 다요인설
㉮ 써스톤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종류의 지능검사를 실시한 후 이를 요인분석적 방법으로 연구한 인물이다.
㉯ 지능은 각각 독립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는 개별적인 능력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함으로써, 불분명한 일반지능의 실체를 강조한 일반지능설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 지능은 언어이해, 수, 공간지각, 지각속도, 기억, 추리, 단어유창성 등 7가지 요인(또는 7가지 기초 정신 능력)으로 구분된다.
⑤ 길포드(Guilford) : 복합요인설(입체모형설)
㉮ 길포드는 써스톤의 7가지 기본정신능력에 관한 이론을 발전시켜서 기존의 지능에 대한 협소한 계열을 확대하였다.
㉯ 지능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상이한 정보들을 처리하는 다각적 능력들의 체계적인 집합체이다.
㉰ *지능의 구조는 사람이 생각하고 있는 내용(내용), 수행하도록 요구되는 사고의 종류(조작), 어떤 종류의 답이 필요한가(산출)의 요소들이 종합적으로 작용하여 얻어지는 정신능력이다.
내 용 | 시각, 청각, 상징, 의미, 행동 |
조 작 | 평가, 수렴적 조작, 확산적 조작, 기억파지, 기억저장, 인지 |
산 출 | 단위, 분류, 관계, 체계, 전환, 함축 |
㉱ 지능은 위의 5개의 내용, 6개의 조작, 6개의 결과의 3차원적 입체모형으로 이루어지며, 이들의 상호작용에 의한 180개의 조작적 지적 능력으로 구성된다.
⑥ 카텔과 혼(Cattell & Horn) : 위계적 요인설
㉮ 카텔은 인간의 지능을 '유동성 지능(Fluid Intelligence)'과 '결정성 지능(Crystallozed Intelligence)'으로 구분하였으며, 혼은 이를 토대로 각 지능별 특징적 양상에 대해 연구하였다.
㉯ 일반적으로 웩슬러지능검사의 언어의 소검사들은 결정성 지능과 연관된다. 그런 반면, 동작성 소검사들은 유동성 지능과 관련되며, 문제해결능력을 측정한다고 할 수 있다.
㉰ 혼은 변형된 지능모델을 통해 웩슬러지능검사의 소검사들을 결정성, 유동성, 기억, 속도의 4개의 범주로 구분하였다.
🔳 유동성 지능과 결정성 지능의 특성 :
- 유동성 지능은 일반적으로 경험을 통해 얻을 수 없는 명제적 지식을 말한다.
- 명제적 지식은 순간순간의 상황에서 자신의 지각에 저장되는 것으로, 개인의 유전적 요인을 많이 반영한다.
- 결정적인 지능은 삶의 오랜 시간 속에서 점차 확대되어 가는 지식이라고 할 수 있다.
- '결정적'은 영어식 표현으로 'Crystallozed'라고 하는데, 광물이 결정을 맺어가듯이 후천적 교육과 학습에 의해 인간의 지능이 발전한다고 보는 견해이다.
- 이러한 결정성 지능은 인간의 지식구조를 이룬다고 보는 학교교육에 근간이 된다.
✔유동성 지능 :
- 유전적, 선천적으로 주어지는 능력으로, 경험이나 학습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 뇌와 중추신경계의 성숙에 비례하여 발달하다가 청년기 이후부터 퇴보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 기계적 암기, 지적능력, 일반적 추론능력과 같이, 새로운 상황에서의 문제해결능력으로 나타난다.
✔결정성 지능 :
- 환경이나 경험, 문화적 영향에 의해 발달되는 지능으로, 유동성 지능을 토대로 후천적인 발달이 이루어진다.
- 언어이해 능력, 문제해결 능력, 상식, 논리적 추리력 등과 같이 나이를 먹으면서도 계속 발달할 수 있는 능력으로 나타난다.
■ 다음 시간에 계속, 지능의 발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 [발달 심리학], 인지발달, 핵심이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