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부터는 인간의 성장과 발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유전과 발달(DNA, 염색체, 유전과 환경의 영향, 상호작용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유전과 발달(발달의 생물학적 기초, 유전과 환경, DNA, 염색체, 세포분열, 운하화와 반응범위,
◆ 오늘부터는 발달의 생물학적 기초(유전과 발달, 유전과 환경)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1. 유전과 발달 (1) 유전의 기본요소 : ① DNA(deoxyribonucleic acid) : ㉮ DNA는 꼬인 사다리처럼 보이는 두 개
narrare3.tistory.com
1. 인간의 성장과 발달
(1) 태아기(prenatal period, prebirth stage) :
① 태아기의 발달 :
㉮ 이 기간 동안 태아는 여러 신체기관이 형성되고 기능이 시작되며, 기관의 크기와 무게가 급속하게 증가하게 된다.
㉯ 개인의 발달에 태내의 환경이 영향을 미치기 전에 관여하는 것이 유전이다. 개인이 가지고 있는 유전 정보는 한 개인의 발달을 위한 '테두리'를 설정해준다.
② 태아기의 과정 :
㉮ 배포기 :
- 수정 후 2주 간의 기간을 말한다.
- 즉, 수정에서부터 수정체가 나팔관을 거쳐 자궁벽에 착상하기까지의 시기이다.
㉯ 배아기 :
- 수정 후 2주~8주에 일어난다.
- 태아의 신체 계통과 각 기관의 발달이 가장 급속하게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 수정체의 내면은 외배엽. 중배엽. 내배엽의 세 개의 층으로 분리된다.
외배엽 (ectoderm) |
머리카락, 손, 발톱, 피부의 외층, 감각세포 및 신경계 형성 |
중배엽 (mesoderm) |
근육, 골격, 순환계, 피부의 내층이 형성 |
내배엽 (endoderm) |
장기, 호흡기, 기관지, 폐, 취장, 간 등의 기관 형성 |
- 이 시기 말에 형성되는 심장과 뇌 등의 순환계와 신경계가 기능을 시작한다.
- 매우 빠른 발달과 분화과정으로 태내 환경에 가장 민감한 시기이므로, 모체가 질병이나 영양부족, 약물의 영향 등을 받으면 태아에게 손상을 입힐 수 있다.
- 배아기 끝 무렵에 얼굴 모습이 나타나고, 손가락이나 발가락, 외적 생식 기관을 구별할 수가 있다.
- 또한 이 시기에 아기가 자궁벽으로부터 떨어져 나오는 자연유산을 조심해야 한다.
㉰ 태아기 :
- 수정 후 3개월~출산 전까지의 기간을 일컫는다.
- 신체기관의 분화는 더 이상 일어나지 않지만, 배아기에 형성된 기관의 구조는 더욱 정교화되고, 기능이 보다 원활해지는 등 빠른 발달을 보인다.
- 4개월 말 무렵에는 태아의 움직임을 산모가 느끼며, 5개월 경에는 딸꾹질, 빨거나 삼키기 등의 반사가 나타난다. 또 손톱, 땀샘이 나타나며 솜털도 보인다.
- 눈이 발달하며, 중추신경과 근육도 세밀하게 발달한다.
✅ [태아기의 발달] :
배포기 | 수정 후 약 2주간 |
-수정란이 급격한 세포분열을 하는 시기 -자궁 속으로 들어온 후 배포가 착상되어 임신이 이루어지는 시기 |
배아기 | 임신 후 2~8주 사이 |
-신체기관이 분화하는 시기 -주요 신체기관과 신경계가 형성되는 시기 -기형발생물질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시기 -임신 기간 중 환경이 가장 치명적인 영향력을 발휘하는 시기 |
태아기 | 임신 8주 ~출생까지 |
-신체기관이 발육하는 시기 -배아기 보다 중추신경계가 더 빠르게 발달하는 시기 -모든 기관 체계가 정교해지는 시기 |
(3) 태내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① 임신부의 영양 상태 :
㉮ 임신부의 영양 상태는 태아의 발달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태내환경이 된다.
㉯ 또 체중 미달, 조산, 성장 지체, 지적 결함, 사산의 위험성을 초래할 수도 있다.
㉰ 특히 임신 초기의 영양 결핍은 뇌와 신경계의 발달에 지장을 초래한다.
② 임신부의 질병 :
㉮ 성병, 매독, 임질은 태아의 사망, 정신지체, 시. 청각 손실 및 유산을 초래할 수 있으며, 풍진, 홍역, 독감, 유행성이하선염, 수두, 성홍열 등은 태아의 심장 결함 및 질환, 정신지체 기형, 백내장, 청력 손실뿐 아니라 심하면 사망에 이르게 할 수도 있다.
㉯ 임신 후 1개월 이내에 어머니가 풍진에 걸리면 58%의 신생아가 장애를 보일 정도로 위험하다는 보고가 있으며, 2개월까지 26~36%의 가능성으로 장애를 보일 수 있고, 5개월 이후부터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③ 임산부의 정서 상태 :
임산부의 강한 정서적 경험은 태아의 발육에 지장을 줄 수 있고, 출생 후 정서적 불안정을 보일 수도 있다.
④ 임산부의 연령 :
㉮ 임산부의 연령이 높을 수록 태아의 지적 장애가 나타날 가능성이 커진다.
㉯ 이는 분만장애, 불임 및 다운증후군과 연관을 보인다. 그런 반면, 10대의 출산은 아기의 체중미달이나 미숙아가 될 위험성이 크다.
⑤ 약물복용 :
㉮ 진정제인 탈리도마이드를 복용한 경우 아기의 사지발달에 결함을 보였고, 마약류의 복용은 신체장애와 지적 발달의 지체를 수반한다.
㉯ 특히 임신 1~3개월은 태아가 약물에 가장 취약한 시기로, 테라토겐(Teratogen)은 기형을 유발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⑥ 알코올 :
임신 중 알코올 섭취로 '태아 알코올 증후군(Fetal Alchol Syndrome)'이 있다.
⑦ 흡연 :
많은 연구에서 흡연은 저체중아의 출산, 자연유산의 증가, 임신과 출산에 관련된 문제의 증가 또는 사망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 있다.
(4) 각종 증후군 :
① 태아 알코올 증후군(Fetal Alchol Syndrome) :
임신한 여성의 음주는 그 양과 횟수에 관계없이 ADH와 ALDH가 생성되어, 레티노산(Retinoic acid)생성이 결핍되므로 태아의 뇌세포 발달 과정을 교란시켜 태아의 행동발달, 학습능력을 떨어뜨리고 정신장애를 초래함.
② 다운증후군(Down Syndrome) :
- 성 염색체의 이상 중에서 21번 삼체성이 가장 흔한데, 이를 다운 증후군, 혹은 몽고증이라고 한다.
- 즉, 21번 염색체가 쌍을 이루지 않고 세 개가 존재함으로써, 정상인 46개의 염색체보다 더 많은 47개가 되는 유형이다.
- 주로 나이가 많은 초산부(주로 35세 이상)에서 주로 발생하며, 600명~700명 중 1명 꼴로 나타난다.
③ 에드워드 증후군(Edward Syndrome) :
- 18번 염색체가 3개인 선천적 기형증후군으로, 다운 증후군 다음으로 흔하다(약 8천 명당 1명 꼴).
- 에드워드 증후군은 장기의 기형 및 전신지체장애가 발생하며, 대부분 출생 이후 10주 이내에 사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④ 클라인펠터 증후군(Klinefelter Syndrome) :
- 정상인의 성염색체는 남성이 XY, 여성이 XX이지만, 클라인펠터 증후군에서는 XXY, XXXY 등의 여러 가지 이상한 형태를 보인다.
- 따라서 남성 염색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방이 발달하는 등 여성의 신체적 특성이 나타나기도 한다.
⑤ 터너 증후군(Turner Syndrome) :
터너 증후군은 성염색체의 이상으로 X염색체가 1개이며, 전체 염색체 수가 45개로 외견상 여성이지만 2차적 성적 발달이 없고, 목이 매우 가늘다.
⑥ 혈우병(Hemophilia) :
혈우병은 혈액이 응고되지 않는 선천적 장애로, 성염색체인 X염색체의 이상이 그 원인이며, 질병에 대한 저항력이 약하다.
⑦ 크렉 아기(Crack Baby) :
'크렉(Crack)'이란 코카인을 정제한 것을 말하며, 임산부가 이를 복용할 경우 태아의 인지기능에 손상을 입는다. 출생 당시에는 정상으로 보이지만, 몸의 크기가 작고, 머리 둘레도 비정상적으로 작아서 지능이 낮을 가능성이 높다.
⑧ 페닐케톤뇨증(Phenylketonuria) :
페닐케톤뇨증은 단백질 대사 이상 장애로, 음식물에 들어있는 페닐 알라닌을 분해하는 효소의 부족으로 발병하지만, 출생 즉시 특수한 식이요법으로 정상생활을 유지할 수 있다.
⑨ X 염색체 결함 증후군(X 결함 증후군, fragile-X syndrome) :
성염색체의 이상으로서 X 염색체가 구부러져 있거나 너무 가는 것이 원인이 되어 발병하는 유전적 질환을 말한다. 이는 여성보다 남성에게 많이 나타나는 증상으로, 얼굴이 길고, 귀가 크며, 비정상적인 뇌파 등이 특징이다.
(5) 출산기 :
① 모체의 자궁 속에 있던 태아가 모체 밖으로 나오는 과정을 말하며, 수정으로부터 약 280일 경에 이루어진다.
② 개구기의 단계에 초산일 경우 대략 12시간 정도 소요가 되며, 출산 경험이 있는 산모의 경우 약 6시간 정도 걸린다.
③ 진통은 불규칙한 자궁 수축으로부터 규칙적인 수축이 일어나며, 다음의 세 단계로 진행된다.
✅ [출산의 단계] :
개구기 (dilatation stage) |
아기의 머리가 통과될 수 있을 만큼 자궁경부가 열리는 단계 |
만출기 (expulsion period) |
아기의 머리가 산도를 통해 움직이며, 밖으로 완전히 나올 때까지의 단계 |
후산기 (placental stage) |
태반과 탯줄이 나오는 단계 |
④ 출산 시의 문제 :
㉮ 장기적 진통이나 난산은 태아의 뇌에 압력이 가해져 출혈, 산소결핍증, 신경계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 임신 28~37주에 출산한 경우를 조산이라고 하며, 체중 미달아는 정상 시기에 태어났어도 2.5kg 이하인 경우를 말한다.
㉰ 체중 미달로 인해 나타난 인지적 결함은 산소결핍증으로 인한 것보다 더 지속적인 경향을 보이나, 대부분의 미숙아는 4세경이 되면 운동 및 지적 발달에서 정상아와 큰 차이가 없다.
㉱ 약간의 산소 결핍은 출산시 모든 아기들이 경험하는 보편적인 현상이다.
■ 다음 시간에 계속, 인간의 성장과 발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및 참조 : [발달심리학], 발달의 생물학적 기초, 핵심이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