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동기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자아 실현과 통제, 로저스 충분히 기능하는 사람, 매슬로우의 욕구 위계 이론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② 박탈 동기 :
㉮ 생리적 욕구부터 존중감 욕구까지의 네 단계는 자아 실현 단계에 도달하기 전에 만족되어야 하는 욕구들이다.
㉯ 이 네가지 욕구와 관련된 행동들은 완전한 발달을 위해 필요한 것들이 박탈됨으로써 동기화되기 때문에, '박탈 동기(Deprivation Motivation, D - Motivation)'라고 부른다.
㉰ 일테면 생리적 욕구의 수준에서 만성적으로 (동기가) 박탈된 사람에게서는 상위의 욕구들이 전혀 출현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런 사람들의 경우 단순히 먹을 것을 많이 얻는 것 만으로도 충분할 수 있다.
㉱ 또한, 기본적 욕구가 항상 충족되어 온 사람들은 나중에 갑자기 이들 욕구가 충분하지 않게 되더라도 그 영향을 덜 받는다고 하였다.
㉲ 따라서 인간의 출생 후 4년 동안이, 이후의 박탈에 대한 저항을 기르는데 특히 중요하다고 여겼다.
㉳ 욕구의 위계에 있는 각 단계가 완전히 충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하위 욕구가 점점 충족되어지면 상위의 욕구가 행동의 통제에 점점 더 뚜렷한 역할을 하게 된다고 보았다.
③ 자아 실현 도달 :
㉮ 매슬로우는 친분이 있는 사람, 친구, 공인, 역사적인 인물들을 비공식적으로 연구하여 자아 실현에 도달한 사람들의 특징을 결론지었다.
✅ 자아 실현에 도달한 사람들의 특징 :
- 현실을 보다 효과적으로 자각하고, 그에 대해 보다 편안하게 느낀다.
- 자아, 타인, 자연을 수용한다.
- 자발적이다.
- 자기 중심적 과업이 아닌 인류의 이익과 관련된 문제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 사적 자유에 대한 욕구와 분리되어 있다.
- 문화나 환경과 독립적이다.
- 삶의 기본적 경험들을 사랑하며, 단지 일하는 것에서도 기쁨과 아름다움을 찾을 수 있다.
- 신비스럽고 심원한 절정 경험을 자주 한다.
- 인류에 대한 동정심을 갖는다.
- 친밀한 대인 관계를 맺는다.
- 민주주의적인 성격 구조를 갖는다.
- 자아가 실현된 개인은 자신이 도달하기 위해 일하고 있는 목표에 관심을 갖고, 이것을 추구하는 과정과 결과 모두에 만족을 얻는다.
- 철학적이고 적대적이지 않으며, 유머 감각이 있다.
- 창의적이다.
2021.05.14 - [이야기가 있는 정원, 성격심리] -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이론③(자기실현, 절정경험, 자기실현적 인간, 욕구단계, 공헌점 및 제한점)
㉯ 자아가 실현된 사람은 박탈성 욕구를 정복한 사람이며, '성장 동기(growth motivation)'라고 불리는 것에 동기 유발되는 사람이다.
㉰ 물론, 자아가 실현된 사람이 곧 '완벽한 사람'으로 간주되는 것은 아니다.
㉱ 절정을 경험하는 자아 실현자들을 일컬어 '초월자' 또는 '절정 경험자'라고 하였으며, 그렇지 않은 사람들을 '비초월자' 또는 '절정 비경험자'라고 불렀다.
㉲ 매슬로우는 초월한 자아 실현자들은 비초월자보다 자아 실현을 더 많이 한 것으로 여겼다.
④ 자아 실현의 실패와 비판점 :
㉮ 자아 실현에 실패하는 이유 :
- 성장을 향한 경향은 박탈 동기보다 약하며, 환경이나 교육에 의해 쉽게 방해를 받는다.
- 서양의 문화는 인간의 내적 본질이 나쁘다고 강조해 왔으며, 통제 기제에 더 많은 관심을 가졌다.
- 성장은 안전하고 편안한 것에서 벗어나 일정 부분 모험을 필요로 필요로 하는데, 많은 사람들은 성장보다는 안정을 택한다.
- 어떤 면에서 스스로 발휘할 수 있는 능력을 전부 발휘한다는 것도, 많은 사람들에게는 꺼려지는 일이다.
㉯ 자아 실현에 대한 비판점 :
- 매슬로우가 '자아 실현을 한 사람들'이라고 연구. 발표한 인물들에 대한 반복 검증 가능성에 대한 문제가 있다.
- 좋지 않은 교육, 희망(비전) 없는 직업, 사회적 기대에 의해 제한받는 사람들은 자아 실현할 가능성이 별로 없는데, 그렇다면 이 이론은 일반적인 사람들을 기술하는 것이 아닐 수도 있다.
- 즉, 많은 사람들이 자아를 실현하는데 실패한다는 것은 성장을 향한 동기가 매슬로우의 말처럼 일반적인 것이 아닐 수 있다.
- 이론에서 사용한 언어 및 개념들이 모호하며, 증거가 부족하다.
(3) 통제력 :
① 역능 동기(Competence Motivation) :
㉮ 화이트(White)는 통제력 측면을 역능이라고 명명하였다.
㉯ 역능은 스스로의 환경과 효율적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잠재력을 말한다.
㉰ 역능의 추구를 활성화시키는 동기가 존재하는데, 이것을 '영향력 동기'라고 불렀다.
㉱ 영향력 동기는 어린 아이들의 행동에서 분명하게 드러나는데, 환경을 효율적으로 지배하려는 아이의 시도는 놀이 행동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 성인에게서 나타나는 성취 행동 같은 것도 영향력 동기에서 에너지를 얻는다.
㉳ 영향력 동기의 목표는 환경에 어떤 영향을 주고, 그에 따라 환경이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줄지를 발견하는 것이다.
㉴ 환경에 영향을 주고받는 과정에서의 학습이 나중에 유용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경을 통제하고자 하는 동기가 아이를 의자에 오르는 행동을 하게 할 수 있으며, 이 학습은 나중에 식탁 위에 있는 과자를 집어올 수 있는 행동을 하게 한다.
② 개인적 인과 :
㉮ 드참(deCharms)은 통제의 측면을 '개인적 인과'라고 명명하였다.
㉯ 그는 인간에게 있어서 주요 동기는 환경 속에서 변화를 만들어가는데 있어 효과적이고자 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 개인적 인과는 하나의 동기는 아니지만, 다른 모든 동기들이 그것을 바탕으로 형성되는 길잡이가 되는 하나의 원리라고 보았다.
③ 화이트(White)와 드참(deCharms)은 역능과 자기 결정의 추구를 인간 행동의 기본 동기로 강조하였다.
■ 이상 총 16회에 걸쳐서, 동기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 출처 및 참조 : [동기와 정서], 동기의 종류, 핵심 이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