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동기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켈리의 공변 모형(이론)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③ 귀인에 따른 성공과 실패 :
㉮ 와이너는 성공이나 실패를 어떤 원천(사물의 근원)에 귀인하는가에 따라 성공 혹은 실패에 대한 기대가 달라질 것이라고 하였다.
㉯ 예를 들어 성공을 능력에 귀인하면 마래의 성공에 대한 기대가 증가될 것이고, 운(運)에 귀인하면 성공에 대한 기대에 별 변화가 없을 것이다.
㉰ 또한 결과를 안정된 특성(능력이나 과제의 난이도)에 귀인하면 불안정한 요인들, 즉 노력이나 운에 귀인했을 때보다 기대가 더 크게 변화하게 될 것이다.
㉱ 이에 대해 프리즈(Frieze)는 네 가지 요인 - 능력, 노력, 과제 난이도, 운 - 외에 기분, 타인의 효과, 잘 하는 것과 같은 요인들도 발견하였다.
㉲ 와이너는 자신의 귀인 모형을 수정하여 '의도성(Intertionality')이라는 제 3의 차원을 추가하였으며, 피로, 기분, 타인의 편향 등이 포함될 수 있다고 하였다.
㉳ 성공과 실패에 대한 귀인을 다르게 하면, 그와 연관된 정서도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 성공과 실패 상황에서 귀인에 따른 정서의 단어 선택 :
성 공 | 실 패 | ||
노 력 | 운 | 능 력 | 운 |
엄청나게 기쁜 기뻐 날뛰는 몹시 기쁜 황홀한 의기양양한 |
놀란 경악한 경탄 경외 깜짝 놀란 |
무능력한 부족한 공황 |
경악한 질려버린 기절할 듯한 |
㉵ 타인의 노력으로 실패를 경험할 경우, '사나운', '복수심에 불타는', '분노한'과 같은 단어들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④ 성취 동기에 관한 와이너의 확장된 귀인 이론 :
㉮ 와이너는 이전 연구에서 더 확장된, 성취 동기에 관한 수정 이론을 제안하였다.
㉯ 그는 사람들이 원인에 대해 내리는 판단을 '소재(Locus)', '안정성(Stability)', '통제 가능성(Controllability)'이라는 세 가지 주요한 차원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행동의 원인을 내면적 태도 및 동기로 설명하는가, 아니면 상황이나 환경적 요인에 귀속하는가에 따라 성향 - 상황 귀인으로 분류되며, 성공 및 실패의 원인이 개인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가에 따라 내적 - 외적 귀인으로 나뉜다.
✔안정성이란 변화 가능성을 근거로 원인을 분류하는 것으로, 성공 및 실패에 대한 귀인이 시간의 결과나 상황이 바뀌어도 변화 가능성이 없는 것이냐, 혹은 언제든지 변화될 수 있는 것이냐에 따라 안정적 - 불안정적 귀인으로 분류된다.
✔사태의 원인에 대한 행위자의 통제 가능성에 따라 통제 가능 - 통제 불가능 귀인으로 분류된다.
㉰ 노력, 기분, 피로는 이전에 내적이며 불안정한 것으로 분류되었는데, 수정 이론에서 노력은 통제 가능한 것, 기분, 피로는 통제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분류된다.
㉱ 신체적인 근거가 있는 오점(질병, 상해 등)은 그 시작 시점이 통제가 불가능하고, 정신적 - 행동적인 것(약물 중독, 아동 학대 등)으로 생각되는 오점은 시작 시점이 통제 가능한 것으로 지각되었다.
㉲ 통제가 가능한 것으로 제시된 오점들은 분노, 더 적은 동정심, 더 적은 도움 행동을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⑤ 드웩(Dweck, 1973)의 통제 소재에 따른 성취 :
㉮ 실패 경험 후 무기력 지향적인 사람은 자신의 실패를 통제 불가능한 요인에 귀인시켰고, 숙달 지향적인 사람은 자신이 낙오한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 숙달 지향과 무기력 지향에 따른 귀인 :
✔숙달 지향의 특징 :
성공 :
- 자신의 성공을 높게 평가한다.
- 성공의 원인을 자신의 능력에 귀인할 가능성이 많다.
- 숙달 지향적인 사람은 성공적인 경향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인다.
실패 :
- 자신을 낙오자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 대체로 긍정적인 태도를 갖는다.
- 실패 후 미래의 성공에 대한 기대치가 더 높다.
✔무기력 지향의 특징 :
성공 :
- 자신의 성공을 잘 기억하지 못한다.
- 자신의 성공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 성공이 특별히 보상적인 사건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 현재의 성공이 미래의 성공을 예언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실패 :
- 통제 불가능한 요인에 귀인한다.
- 대체로 부정적인 생각을 한다.
- 성공 후 실패가 뒤따를 때, 성공의 가치를 더 많이 축소시킨다.
- 성공 후 실패를 경험한 뒤 성공에 대한 생각을 물으면 과제가 쉬웠던 것으로 귀인하는 경향이 있다.
- 실패 후 미래에 대해 성공의 시대를 낮춘다.
- 무기력한 사람은 실패에 더 많은 비중을 둔다.
㉯ 무기력한 개인은 수행 목표(Performance Goals ; 어떠한 수행에 대해서 좋은 평가를 얻는 목표)를, 숙달 지향적인 개인은 학습 목표(Learning Goals ; 자신의 능력을 증가시키는 목표)를 추구한다고 하였다.
㉰ 수행 목표 추구에서 실패하면 무기력에 대한 취약성이 증가되고, 학습 목표에서 실패하면 실패를 성공으로 바꾸기 위한 행동적 책략들이 증진된다.
㉱ 자신의 지적 능력이 고정되어 있다고 본 사람들은 수행 목표를 채택하는 경향이 있으며, 스스로의 지적 능력이 변화될 수 있다고 본 사람들은 학습 목표를 채택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 무기력한 개인은 노력을 능력의 부족을 보여주는 것으로 지각하고, 숙달 지향적인 개인은 노력이 스스로의 능력을 증명하기 위한 하나의 책략으로 지각하였다.
㉳ 이에 대해 드웩은 고정 마인드를 가진 사람은 자신의 능력을 정해져 있고 변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며, 성장 마인드를 가진 사람은 자신의 가능성을 믿고 어떤 일이든 도전하며, 자신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한다고 하였다.
㉴ 즉, 무기력 지향의 사람은 수행 목표를 추구하고 고정 마인드를 가지는 경향이 있으며, 숙달 지향의 사람은 학습 목표를 추구하고 성장 마인드를 가지는 경향이 있다고 본다.
(4) 귀인과 학습된 무기력 :
① 긍정 심리학(Positive Psychology)을 창시한 미국의 심리학자 마틴 셀리그만(Martin Seligman,1942~)은 학습된 무기력이 인간의 우울증과 유사하다고 생각했다.
② 학습된 무기력의 초기 모형에서는 사람들이 자신에게 일어나는 일에 대해 아무런 통제력이 없다고 생각할 때 무기력해진다고 주장하였다.
③ 이후 재구성된 학습된 무기력의 모형에서는 어떤 사람이 통제력이 없는 것을 외적인 사건에 귀인할 수도 있고, 내적인 사건에 귀인할 수도 있다고 주장하였다.
④ 즉, 자신의 상황을 통제할 수 있게 해주는 특성이 다른 사람들에게는 있는데, 자신에게는 없다고 생각하는 '개인적인 무기력 귀인'이 자존감을 낮출 것이라고 하였다.
⑤ 우울증 환자는 사건에 대한 통제력이 없는 것에 대하여 구체적 상황에 귀인하기보다는 총체적인 상황에 귀인한다.
⑥ 일테면 능력과 같은 귀인의 안정적 요인의 결과라고 지각되는 무기력은 무기력의 지속기간을 연장시킬 것이다.
⑦ 이에 관한 하나의 주장은 저항의 결과로 통제력을 다시 얻지 못했을 때 학습된 무기력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⑧ 새롭게 제시된 학습된 무기력의 모형인 '우울증의 무희망 이론'에서 무희망 우울증에서는 두 가지 기본적인 기대가 전형적으로 나타난다고 보았다.
✔첫째, 아주 큰 가치가 있는 결과를 얻기가 불가능하다거나, 매우 혐오적인 결과는 피할 수 없다.
✔둘째, 이런 상황들을 변화시키는데 있어서 그 당사자는 무기력하다는 것이다.
⑨ 우울증의 무희망 이론은 귀인의 기본적인 역할이 덜 강조되었다.
■ 다음 시간에 계속, 동기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및 참조 : [동기와 정서], 동기의 종류, 핵심 이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