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동기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귀인 이론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④ 켈리(Kelley)의 공변 모형(Covariation Model) :
㉮ 켈리는 우리가 사건에 대한 귀인을 할 때는 관찰된 것에 가장 잘 들어맞는 설명을 선택한다고 주장하며 '공변 모형(Covariation Model)'을 제시하였다.
💬 공변 모형은 켈리(Kelley, 1967, 1971, 1972, 1973)가 제시한 이론 모형으로서, 사람들이 자신과 타인이 왜 특정한 방식으로 행동했는지에 대해 인과적인 추론을 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모형이다.
다른 사람들도 같은 행동을 하는지, 다른 대상에 대해서도 같은 행동을 하는지, 다른 상황에서도 같은 행동을 하는지의 세 가지 정보를 토대로 해서, 내적 귀인(행동의 원인을 행위자의 성향으로 설명하는 것) 또는 외적 귀인(행동의 원인을 대상이나 상황 때문으로 설명하는 것)을 하게 된다.
*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공변 모형 [covariation model]
(심리학용어사전, 2014. 4.)
㉯ 공변 모형에 따르면 사람들은 특정 행동을 여러 번 관찰한 후에, 그 행동과 함께 변화하는 요인들을 고려해 외부 귀인을 할 지, 혹은 내부 귀인을 할지를 고려하고자 한다.
㉰ 우리는 원인들이 일정한 기간에 걸쳐 특정한 결과들과 관련이 되어 있다고 인지한다. 대체로 어떤 결과의 원인으로 가능한 것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특정한 결과와 일관되게 연관이 있는 사건들만이 원인으로 간주된다.
㉱ 사람들은 귀인을 하기 위해 일관성, 합일성, 특이성이라는 세 가지 차원의 정보를 고려하게 된다고 보았다.
- 일관성(Consistency) :
일관성이란, 행동을 하는 사람이 시간의 변화와 상관없이 특정 상황에서 항상 동일한 행동을 하는 것을 말한다.
- 합일성(Consensus) :
합일성이란, 특정 행동이 많은 사람들에게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일관성'이 '시간'에 따른 개념이라면, '합일성'은 '사람'에 따른 개념이라는 것이다.
- 특이성(Distinctiveness) :
특이성은 특 정 결과가 특정한 원인이 있을 때만 발생하는 것으로, 이 원인이 없는 경우에는 특정 결과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특이성이 높은 경우 성향 측면으로 귀인되는 반면, 특이성이 낮은 경우 상황 측면으로 귀인된다.
✅ 공변 모형에서 귀인의 판단을 내리기 위해서는 합의성, 특이성, 일관성이라는 세 가지 정보가 필요하다.
첫째, 합의성(consensus)은 행동과 행위자의 공변, 즉 여러 사람들이 같은 행동을 하는지의 여부이다.많은 사람들이 같은 행동을 할 경우에는 합의성이 높고, 사람들이 같은 행동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합의성이 낮다.
둘째, 특이성(distinctiveness)은 행동과 자극(상황)의 공변, 즉 다른 자극에 대해서도 같은 행동을 하는지의 여부이다. 행위자가 다른 자극에 대해서도(즉 다른 상황에서도) 같은 행동을 한다면 특이성이 낮고, 한 특정 자극에만(즉 한 종류의 상황에서만) 그 행동을 한다면 특이성이 높다.
셋째, 일관성(consistency)은 행동과 시간의 공변, 즉 비슷한 상황에서 항상 같은 행동을 하는지의 여부를 뜻한다. 행위자가 항상 같은 행동을 한다면 일관성이 높고, 다른 때에는 그 행동을 하지 않는다면 일관성이 낮다.
*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공변 모형 [covariation model]
(심리학용어사전, 2014. 4.)
✔공변 모형에 대한 도식 :
✔상황 : 철수는 이웃집 개만 보면 무서워 한다.
↓
합치성 | 특이성 | 일관성 |
낮음 철수 외의 다른 사람들은 그 개를 보고 무서워하지 않는다. |
낮음 철수는 이웃집 개 뿐만 아니라 다른 개를 볼 때도 무서워 한다. |
높음 철수는 개를 볼 때 항상 무서워 한다. |
높음 철수 외의 다른 사람들도 그 개를 무서워 한다. |
높음 철수는 다른 개를 볼 때 무서워하지 않는다. |
높음 철수는 개를 볼 때 항상 무서워 한다. |
↓
내 부 귀 인 | 외 부 귀 인 |
철수의 내적 요소에 귀인한다. | 철수의 외적 요소 즉, 이웃집 개에 귀인한다. |
㉲ 만약 판단을 내릴만한 사례가 단 하나밖에 없는 상황에서는 인과 도식에 의존한다.
㉳ *도식은 우리가 과거에 했던 인과 관계에 대한 경험으로부터 생겨난다.
✅ 도식(schema) : 정보를 체제화하고 해석하는 인지적 개념 또는 틀
㉴ 인과 도식의 특성 :
- 우리의 인과 도식은 우리의 현실에 대한 기본적인 생각을 반영한다.
- 정보에 관한 특정한 조작이 수행될 수 있는 틀을 제공한다.
- 도식은 애매한 정보나 최소의 정보에 구조를 제공한다.
- 세계가 어떻게 조직화되어 있는가에 관한 가정들이 도식에 담겨 있다.
- 관찰되지는 않았지만 어떤 일이 일어났을 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우리가 불완전한 정보를 바탕으로 귀인할 수 있게 해준다.
㉵ 한 가지 관찰만 가능하고 여러 가지 설명들이 가능한 상황에서 결정을 내리는데 도움이 되는 도식적 원리 :
- 절감 원리 :
어떤 결과에 대한 그럴듯한 원인이 존재한다면 결과를 설명할 수 있는 다른 원인을 생각할 가능성이 줄어든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천둥번개가 치는 날 전기가 나갔다면 퓨즈가 끊어진 이유도 있을 수 있지만, 우리는 번개가 쳐서 송전소에 문제가 생긴 것으로도 귀인할 수 있다.
- 증대 원리 :
증대는 현재 존재하는 외적 조건들이 어떤 행동을 억제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 행동이 존재할 때에 일어난다. 예를 들어 회의 시간에 모두 찬성하는 일에 홀로 반대하는 의견을 낸다면, 반대 의견을 낸 사람이 강경한 입장을 가지고 있다고 상황적 특성에 귀인할 가능성을 증대시킨다는 것이다.
⑤ 우리가 귀인을 할 때 바탕으로 하는 것은 그 행동의 객관적인 원인이 아니라, 우리가 그 행동의 원인이라고 지각하는 것에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⑥ 또한 귀인 과정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우리는 개인이 그 상황을 어떻게 지각하는지를 이해하는데 주의를 기울여야만 한다.
(3) 관점에 따른 귀인과 성취 동기 :
① 행위자와 관찰자 관점에 따른 귀인 :
✔행위자(자신) → 상황 귀인
✔관찰자(타인) → 성향 귀인
㉮ 행위자는 자신의 배경이나 과거 경험에 대해 알고 있지만, 관찰자는 단지 관찰된 것만 가지고 행동을 판단한다.
㉯ 행위자는 환경적 단서에 초점을 두는데, 이러한 환경은 성공적으로 상호 작용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것들이다.
㉰ 행위자는 스스로를 직접 관찰할 수 없기 때문에, 자기 자신의 반응에 대한 자각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관찰자는 행위자가 관찰되는 행동의 초점이 된다.
㉱ 행위자가 주의를 두고 있는 단서들에 대해서 관찰자가 별로 알고 있지 않을 수 있다.
㉲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관련 실험에서, 같은 행동에 대한 이유를 기술할 때 타인은 성향적 측면에서, 자신은 상황적 측면에서 기술하였다.
㉳ 자기 조절을 하고 있는 사람들은 성향 귀인을 할 가능성이 많았다.
㉴ 이에 대해 존스(Jones)와 니스벳(Nisbett)은 행위자와 관찰자가 행동을 다르게 귀인하는 이유는 이들이 행동을 지각하는 관점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주장하였다.
② 성취와 관련된 요소 :
㉮ 와이너(Weiner)는 성취와 관련된 사건을 이해하는데는 능력(Ability), 노력(Effort), 과제 난이도(Task Difficulty), 운(Lucky)의 네 가지 요소가 있다고 하였다.
성향적 | 상황적 | ||
능 력 | 노 력 | 과제 난이도 | 운 |
- 과거에 성공한 경험이 있다면 특정한 분야에 특정한 능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 과거에 실패한 경험은 스스로의 능력에 대해 낮은 믿음을 갖는다. - 남들이 실패하는 과제를 성공하면, 스스로를 능력 있는 사람으로 지각할 가능성이 높다. |
- 어떤 과제에서 성공하면, 스스로가 더 많은 노력을 들였다고 지각하는 경향이 있다. - 보통 과거의 경험상 노력과 성공적인 결과가 함께 일어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
- 많은 사람들이 과제를 성공하면, 그 과제를 쉬운 것으로 판단하려는 경향이 있다. - 실패하는 과제는 어려운 것이라고 추측하기 쉽다. |
- 어떤 과제의 결과에 대해 우리에게 전혀 통제력이 없을 때에는 그 과제에 운이 관여한다고 가정한다. - 목표 달성 시 행동과 그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한 것 사이에 아무런 관계도 찾지 못하면, 그 성공을 행운으로 돌리게 된다. - 과제를 실패했지만 우리가 한 일 중 그것과 상관이 있는 것이 아무것도 없어 보이면, 운이 없었던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
㉯ 이에 대해 와이너는 안정 -불안정(Stable - Unstable)이라고 부른 차원에 비추어, 우리가 자신의 행동을 분석하는 경향이 있다고 보았다.
㉰ 특히 능력과 과제 난이도는 순간마다 급변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안정된 것이라고 하였다.
㉱ 이에 비해 능력과 운은 상당히 불안정하다고 하였는데, 우리의 노력은 상황에 따라 다르고, 운도 매순간 변화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하였다.
✔안정 - 불안정과 내적 -외적 차원으로 본 네 가지 요소 :
요 소 | 원 인 의 소 재 | 안 정 성 | 통 제 가 능 성 |
능 력 | 내적(성향적) | 안 정 | 통제 불가능 |
노 력 | 내적(성향적) | 불 안 정 | 통제 가능 |
과제 난이도 | 외적(상황적) | 안 정 | 통제 불가능 |
운 | 외적(상황적) | 불 안 정 | 통제 불가능 |
■ 다음 시간에 계속, 동기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및 참조 : [동기와 정서], 동기의 종류, 핵심 이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