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야기가 있는 정원, 동기와 정서

✔동기의 종류⑬(켈리의 이론, 공변 모형, 일관성, 합의성, 특이성, 인과 도식, 특성, 절감, 증대 원리, 행위자 관찰자 관점, 상황, 성향 귀인, 와이너, 성취와 관련된 요소)

by 이야기가 있는 정원 2023. 1. 6.
728x90
반응형
728x170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동기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귀인 이론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3.01.03 - [이야기가 있는 정원, 동기와 정서] - ✔동기의 종류⑫(귀인 이론, attribution theory, 행위의 원인, 하이더 일반인 심리학, 기본적 귀인 오류, 존스 데이비스 대응 이론, 귀인 이론의 세 가지 기본 가정, 사회적 바람직성)

 

✔동기의 종류⑫(귀인 이론, attribution theory, 행위의 원인, 하이더 일반인 심리학, 기본적 귀인 오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동기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인지적 일관성, 인지 부조화, 자기 인식 이론 등에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3.01.02 - [이야

narrare3.tistory.com

 

 

④ 켈리(Kelley)의 공변 모형(Covariation Model) : 

 

㉮ 켈리는 우리가 사건에 대한 귀인을 할 때는 관찰된 것에 가장 잘 들어맞는 설명을 선택한다고 주장하며 '공변 모형(Covariation Model)'을 제시하였다.

 

💬 공변 모형은 켈리(Kelley, 1967, 1971, 1972, 1973)가 제시한 이론 모형으로서, 사람들이 자신과 타인이 왜 특정한 방식으로 행동했는지에 대해 인과적인 추론을 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모형이다.

다른 사람들도 같은 행동을 하는지, 다른 대상에 대해서도 같은 행동을 하는지, 다른 상황에서도 같은 행동을 하는지의 세 가지 정보를 토대로 해서, 내적 귀인(행동의 원인을 행위자의 성향으로 설명하는 것) 또는 외적 귀인(행동의 원인을 대상이나 상황 때문으로 설명하는 것)을 하게 된다.

*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공변 모형 [covariation model]

(심리학용어사전, 2014. 4.)

 

 

㉯ 공변 모형에 따르면 사람들은 특정 행동을 여러 번 관찰한 후에, 그 행동과 함께 변화하는 요인들을 고려해 외부 귀인을 할 지, 혹은 내부 귀인을 할지를 고려하고자 한다.

 

㉰ 우리는 원인들이 일정한 기간에 걸쳐 특정한 결과들과 관련이 되어 있다고 인지한다. 대체로 어떤 결과의 원인으로 가능한 것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특정한 결과와 일관되게 연관이 있는 사건들만이 원인으로 간주된다.

 

㉱ 사람들은 귀인을 하기 위해 일관성, 합일성, 특이성이라는 세 가지 차원의 정보를 고려하게 된다고 보았다. 

 

- 일관성(Consistency) :
일관성이란, 행동을 하는 사람이 시간의 변화와 상관없이 특정 상황에서 항상 동일한 행동을 하는 것을 말한다.

 

- 합일성(Consensus) :

합일성이란, 특정 행동이 많은 사람들에게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일관성'이 '시간'에 따른 개념이라면, '합일성'은 '사람'에 따른 개념이라는 것이다. 

 

300x250

 

 

- 특이성(Distinctiveness) :

특이성은 특 정 결과가 특정한 원인이 있을 때만 발생하는 것으로, 이 원인이 없는 경우에는 특정 결과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특이성이 높은 경우 성향 측면으로 귀인되는 반면, 특이성이 낮은 경우 상황 측면으로 귀인된다.

 

공변 모형에서 귀인의 판단을 내리기 위해서는 합의성, 특이성, 일관성이라는 세 가지 정보가 필요하다.

첫째, 합의성(consensus)은 행동과 행위자의 공변, 즉 여러 사람들이 같은 행동을 하는지의 여부이다.많은 사람들이 같은 행동을 할 경우에는 합의성이 높고, 사람들이 같은 행동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합의성이 낮다.

둘째, 특이성(distinctiveness)은 행동과 자극(상황)의 공변, 즉 다른 자극에 대해서도 같은 행동을 하는지의 여부이다. 행위자가 다른 자극에 대해서도(즉 다른 상황에서도) 같은 행동을 한다면 특이성이 낮고, 한 특정 자극에만(즉 한 종류의 상황에서만) 그 행동을 한다면 특이성이 높다.

셋째, 일관성(consistency)은 행동과 시간의 공변, 즉 비슷한 상황에서 항상 같은 행동을 하는지의 여부를 뜻한다. 행위자가 항상 같은 행동을 한다면 일관성이 높고, 다른 때에는 그 행동을 하지 않는다면 일관성이 낮다.

*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공변 모형 [covariation model]

(심리학용어사전, 2014. 4.)

 

 

✔공변 모형에 대한 도식 :

 

 

✔상황 : 철수는 이웃집 개만 보면 무서워 한다.

 

 

합치성 특이성 일관성

낮음

철수 외의 다른 사람들은
그 개를 보고 무서워하지 않는다.

낮음

철수는 이웃집 개 뿐만 아니라
다른 개를 볼 때도 무서워 한다.
높음

철수는 개를 볼 때
항상 무서워 한다.

높음

철수 외의 다른 사람들도
그 개를 무서워 한다.

높음

철수는 다른 개를 볼 때
무서워하지 않는다.
높음

철수는 개를 볼 때
항상 무서워 한다.

 

 

내 부 귀 인 외 부 귀 인
철수의 내적 요소에 귀인한다. 철수의 외적 요소 즉, 이웃집 개에 귀인한다. 

 

 

㉲ 만약 판단을 내릴만한 사례가 단 하나밖에 없는 상황에서는 인과 도식에 의존한다.

 

*도식은 우리가 과거에 했던 인과 관계에 대한 경험으로부터 생겨난다.

 

 

✅ 도식(schema) : 정보를 체제화하고 해석하는 인지적 개념 또는 틀

 

 

 

 

도식

정보를 체제화하고 해석하는 인지적 개념 또는 틀. [ 1. 개요] 심리학 및 인지 과학에서 도식(schema)은 생각이나 행동의 조직된 패턴을 일컫는다. 도식은 선입견의 정신적 구조, 세계에 대한 관점

terms.naver.com

 

 

㉴ 인과 도식의 특성 :

 

- 우리의 인과 도식은 우리의 현실에 대한 기본적인 생각을 반영한다.

 

- 정보에 관한 특정한 조작이 수행될 수 있는 틀을 제공한다.

 

- 도식은 애매한 정보나 최소의 정보에 구조를 제공한다.

 

- 세계가 어떻게 조직화되어 있는가에 관한 가정들이 도식에 담겨 있다.

 

- 관찰되지는 않았지만 어떤 일이 일어났을 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우리가 불완전한 정보를 바탕으로 귀인할 수 있게 해준다.

 

한 가지 관찰만 가능하고 여러 가지 설명들이 가능한 상황에서 결정을 내리는데 도움이 되는 도식적 원리 :

 

- 절감 원리 :

어떤 결과에 대한 그럴듯한 원인이 존재한다면 결과를 설명할 수 있는 다른 원인을 생각할 가능성이 줄어든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천둥번개가 치는 날 전기가 나갔다면 퓨즈가 끊어진 이유도 있을 수 있지만, 우리는 번개가 쳐서 송전소에 문제가 생긴 것으로도 귀인할 수 있다. 

 

- 증대 원리 :

증대는 현재 존재하는 외적 조건들이 어떤 행동을 억제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 행동이 존재할 때에 일어난다. 예를 들어 회의 시간에 모두 찬성하는 일에 홀로 반대하는 의견을 낸다면, 반대 의견을 낸 사람이 강경한 입장을 가지고 있다고 상황적 특성에 귀인할 가능성을 증대시킨다는 것이다. 

 

우리가 귀인을 할 때 바탕으로 하는 것은 그 행동의 객관적인 원인이 아니라, 우리가 그 행동의 원인이라고 지각하는 것에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⑥ 또한 귀인 과정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우리는 개인이 그 상황을 어떻게 지각하는지를 이해하는데 주의를 기울여야만 한다. 

 

 

(3) 관점에 따른 귀인과 성취 동기 : 

 

① 행위자와 관찰자 관점에 따른 귀인 : 

 

✔행위자(자신) → 상황 귀인

 

✔관찰자(타인) → 성향 귀인 

 

㉮ 행위자는 자신의 배경이나 과거 경험에 대해 알고 있지만, 관찰자는 단지 관찰된 것만 가지고 행동을 판단한다. 

 

㉯ 행위자는 환경적 단서에 초점을 두는데, 이러한 환경은 성공적으로 상호 작용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것들이다.

 

㉰ 행위자는 스스로를 직접 관찰할 수 없기 때문에, 자기 자신의 반응에 대한 자각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관찰자는 행위자가 관찰되는 행동의 초점이 된다.

 

㉱ 행위자가 주의를 두고 있는 단서들에 대해서 관찰자가 별로 알고 있지 않을 수 있다. 

 

 

반응형

 

㉲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관련 실험에서, 같은 행동에 대한 이유를 기술할 때 타인은 성향적 측면에서, 자신은 상황적 측면에서 기술하였다

 

㉳ 자기 조절을 하고 있는 사람들은 성향 귀인을 할 가능성이 많았다.

 

㉴ 이에 대해 존스(Jones)와 니스벳(Nisbett)은 행위자와 관찰자가 행동을 다르게 귀인하는 이유는 이들이 행동을 지각하는 관점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주장하였다. 

 

② 성취와 관련된 요소 : 

 

㉮ 와이너(Weiner)는 성취와 관련된 사건을 이해하는데는 능력(Ability), 노력(Effort), 과제 난이도(Task Difficulty), 운(Lucky)의 네 가지 요소가 있다고 하였다. 

 

성향적 상황적
능 력 노 력 과제 난이도
- 과거에 성공한 경험이 있다면 특정한 분야에 특정한 능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 과거에 실패한 경험은 스스로의 능력에 대해 낮은 믿음을 갖는다.




- 남들이 실패하는 과제를 성공하면, 스스로를 능력 있는 사람으로 지각할 가능성이 높다.
- 어떤 과제에서 성공하면, 스스로가 더 많은 노력을 들였다고 지각하는 경향이 있다.


- 보통 과거의 경험상 노력과 성공적인 결과가 함께 일어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 많은 사람들이 과제를 성공하면, 그 과제를 쉬운 것으로 판단하려는 경향이 있다.



- 실패하는 과제는 어려운 것이라고 추측하기 쉽다. 



- 어떤 과제의 결과에 대해 우리에게 전혀 통제력이 없을 때에는 그 과제에 운이 관여한다고 가정한다.


- 목표 달성 시 행동과 그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한 것 사이에 아무런 관계도 찾지 못하면, 그 성공을 행운으로 돌리게 된다.



- 과제를 실패했지만 우리가 한 일 중 그것과 상관이 있는 것이 아무것도 없어 보이면, 운이 없었던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 이에 대해 와이너는 안정 -불안정(Stable - Unstable)이라고 부른 차원에 비추어, 우리가 자신의 행동을 분석하는 경향이 있다고 보았다.

 

㉰ 특히 능력과 과제 난이도는 순간마다 급변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안정된 것이라고 하였다. 

 

㉱ 이에 비해 능력과 운은 상당히 불안정하다고 하였는데, 우리의 노력은 상황에 따라 다르고, 운도 매순간 변화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하였다.

 

 

✔안정 - 불안정과 내적 -외적 차원으로 본 네 가지 요소 : 

 

요 소 원 인 의 소 재 안 정 성 통 제 능 성
능 력 내적(성향적) 안 정 통제 불가능
노 력 내적(성향적) 불 안 정 통제 가능
과제 난이도 외적(상황적) 안 정 통제 불가능
외적(상황적) 불 안 정 통제 불가능

 

 

 

■ 다음 시간에 계속, 동기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및 참조 : [동기와 정서], 동기의 종류, 핵심 이론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