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야기가 있는 정원, 동기와 정서

✔동기의 종류⑪(인지적 일관성, 귀인, 균형 이론, 하이더, Heider, 인지 부조화 이론, 생기는 이유, 페스팅거, Festinger, 문제점, 비판점, 균형, 불균형 관계, 자기 인식 이론, 벰)

by 이야기가 있는 정원 2023. 1. 2.
728x90
반응형
728x170

 

 

 

 

 

✅ 지난 2022년 한 해동안

제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들께 감사드리며,

2023년 새해에는

좋은 일들만 가득하시길 빕니다.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동기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사회적 동기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2.12.27 - [이야기가 있는 정원, 동기와 정서] - ✔동기의 종류⑩(사회적 동기, 일관성, 동조 현상, 개념, 상황, 이유, 동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복종, 순종, 자기 지각 이론, 문간에 발 들여놓기, 낮은 공 기법, 사회적 촉진)

 

✔동기의 종류⑩(사회적 동기, 일관성, 동조 현상, 개념, 상황, 이유, 동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동기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부모와의 분리, 의존성 우울증, 박탈 소인증, 감각 박탈, 애착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narrare3.tistory.com

 

2. 인지적 일관성과 귀인

 

(1) 인지적 일관성(인지 일관성 이론, cognitive consistency theory) : 

 

① 균형 이론(balance theory) : 

 

㉮ 프리츠 하이더(Fritz Heider, 1946)는 사람 사이, 사물 사이, 사람과 사물 사이의 관계에서 균형을 이루려는 경향이 존재한다고 주장하였는데, 이것이 '인지 일관성 이론(인지적 일관성)'의 모태가 되는 균형 이론의 시작이다.

 

✅ 인지 일관성 이론 :

인간의 사고, 믿음, 태도 및 행동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가 동기를 생성할 수 있다고 주장한 사람들은 내적인 비일관성을 최소화하려고 시도한다는 것으로, 어떤 사람의 최적의 상태는 그 사람의 사고, 믿음, 태도 및 행동이 서로 일관적인 상태라는 것

 

 

 

 

인지 일치 이론

인지 일치 이론은 다양한 인지주의 이론의 바탕인 균형 이론에서 파생된 이론으로 개인이 심리적으로 일관성을 유지하려고 하는 동기를 가지고 있다는 가정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terms.naver.com

 

㉯ 사람과 사물 사이의 관계는 긍정적일 수도 있고 부정적일 수도 있다 : 긍정적인 관계란 선호하는 관계나, 소속되는 관계 등을 포함한다.

 

㉰ 균형이 깨어진 관계는 균형을 되찾기 위한 개인들 간의 의사소통에 이르게 한다.

 

㉱ 균형 이론은 균형이 깨어진 관계가 동기 유발적이라는 생각을 지지한다.

 

 

 

Fritz Heider - Wikipedia

Austrian psychologist Fritz Heider (19 February 1896 – 2 January 1988)[1] was an Austrian psychologist whose work was related to the Gestalt school. In 1958 he published The Psychology of Interpersonal Relations, which expanded upon his creations of bala

en.wikipedia.org

 

 

② 균형 이론의 문제점 : 

 

㉮ 어떤 사람이 불균형을 어떻게 해결하는지에 대해서는 설명해주지 않는다.

 

㉯ 균형이 깨어진 항목들 사이의 관계의 정도를 고려하지 않는다.

 

㉰ 행동이 촉발되기 위해 얼마만큼의 불균형이 일어나야 하는가를 알 수가 없다.

 

 

반응형

 

㉱ 균형 이론은 균형이 깨어진 상태의 일반적인 동기적 특성을 나타내는 데에는 유용하지만, 정확한 예측이 가능하도록 자세하게 구체화된 이론은 아니다.

 

③ 인지 부조화 이론(cognitive dissonance theory) : 

 

㉮ 인지 부조화의 개념 : 

 

- 인지 부조화 이론은 미국의 사회 심리학자인 레온 페스팅거(Leon Festinger)가 주장한 것으로, 우리의 인지가 부조화를 이룰 때 부조화를 해결하기 위해 동기가 활성화된다는 이론이다. 

 

- 즉, 우리가 우리의 믿음, 태도 및 의견을 우리의 외현적 행동과 일치하도록 유지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인다는 것이다. 

 

 

 

레온 페스팅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레온 페스팅거(Leon Festinger, 1919년 5월 8일~1989년 2월 11일)는 미국 사회심리학자로서 인지부조화(cognitive dissonance)와 사회비교이론(social comparison theory)으로 잘 알려

ko.wikipedia.org

 

- 다시 말해 일관성이 유지되면 우리의 동기는 촉발되지 않는다.

 

- 우리의 인지는 조화, 부조화, 무관함의 세 가지 형태로 나타나는데, 두 개의 인지가 비일관적일 때 부조화로 간주된다.

 

- 생성된 부조화의 강도는 그 사람에게 중요한 요소일수록 부조화가 더 크다.

 

㉯ 부조화가 생기는 이유 : 

 

- 예상한 사건이 우리가 생각한 것과 다르게 진행될 때 생길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신이 치른 시험에서 당연히 100점을 맞았을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50점이라는 결과가 나왔을 때 등이 있다.

 

- 자신이 생각하는 문화적인 규범과 비일관적일 때 생길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험에서 부정행위를 하고 싶어질 때 등이 있다.

 

자신의 태도와 상반되는 행동에 대한 정당화가 불충분할 때 생길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험의 부정 행위에 대한 정당화가 부족할 때 등이 있다.

 

- 즉, 인지들 사이에 비일관성 혹은 갈등이 존재할 때 부조화가 일어난다고 볼 수 있다.

 

㉰ 부조화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 :

 

- 인지(태도)를 변화시킨다 :

공개적으로 자신의 행동을 수행한 경우 태도를 변화시키기 쉬울 수 있다.

 

- 행동을 변화시킨다 :

반복되는 행동이 태도와 갈등을 일으킨 경우로, A 점수를 늘 받는 학생이 C를 받으면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을 바꾸기 보다는 먼저 공부를 더 열심히 할 것이다. 

 

- 제 3의 요소를 끌어들이기 :

갈등하고 있는 요소들이 중요한 것들일 때 흔히 선택할 수가 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합리화의 개념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④ 인지 부조화의 문제점 : 

 

㉮ 인지부조화에 대한 비판 : 

 

- 정확함의 부족으로 한 사람 안에서 어떤 두 가지 인지가 서로 갈등을 일으킬지 예언하기가 어렵다. 

 

- 부조화가 여러 가지 다른 방법으로 감소될 수 있다.

 

- 인지 부조화로 설명된 상황이 다른 대안적 방식으로 설명될 수 있다.

 

㉯ 인지 부조화의 대안 : 자기 지각 이론(자기 인식 이론, Self-perception theory, SPT) 

 

- 심리학자인 다릴 벰(Daryl Bem)은 우리는 외부인이 우리를 관찰하는 것처럼 자신의 행동을 관찰한 다음, 이 관찰을 기초로 판단을 내린다고 주장하였다. 

 

300x250

 

💬 자기 인식 이론(SPT, Self-perception theory)은 심리학자 다릴 벰(Daryl Bem)이 개발한 태도 형성에 대한 설명이다.

이것은 사람들이 자신의 행동을 관찰하고 어떤 태도가 그 원인이 되었는지 결론을 내림으로써 사람들이 자신의 태도(경험 부족 등으로 이전의 태도가 없었고 감정적 반응이 모호한 경우)를 개발한다고 주장한다.

태도가 행동을 결정한다는 계획행동이론같은 통념적인 개념 및 이론이 있기 때문에 이 이론은 본질적으로 상충될수있다. 게다가 이 이론은 사람들이 내부인지 및 기분 상태에 접근하지 않고 태도를 유도한다고 제안한다.

 그 사람은 다른 사람의 행동을 설명하려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자신의 명백한 행동을 합리적으로 해석하려 한다는 것이다.

* 출처 : [위키 백과], 자기 인식 이론

 

 

- 다시 말해, 우리는 다른 사람의 행동을 분석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스스로의 행동을 분석한다는 것이다.

 

- 벰은 대부분의 부조화 관련 연구에서, 측정된 행동은 어떤 태도 혹은 신념에 대한 자기 지각(인식)이라고 지적하였다.

 

-  그러면서 사람은 누구나 가용한 증거를 기반으로 단순히 자기 판단을 하는 것이지, 태도와 행동 사이의 비일관성으로 인해 생겨난 혐오적인 동기의 결과가 아니라고 하였다. 

 

인지 부조화 이론이 인지적 불일치에서 발생한 부정적인 감정으로 인해 믿음이 변화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자기 지각(인식) 이론은 우리가 단순히 행동하고 말하는 것은 무엇이든 믿으려 한다. 

 

⑤ 결과적으로 자기 지각(인식) 이론은 사람들의 믿음이 초기에 어렴풋하고 모호하며 약한 상황에 잘 적용되며, 인지 부조화 이론은 사람들의 믿음이 초기에 명확하고 두드러지고 강한 상황에 가장 잘 적용된다. 

 

 

■ 다음 시간에 계속, 동기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및 참조 : [동기와 정서], 동기의 종류, 핵심 이론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