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부터는 심리 평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1. 지능 평가
(1) 지능의 정의 :
① 학습 능력 :
㉮ 지능은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능력 또는 유익한 것을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을 일컫는다.
지능
(intelligence) :
유전적으로 부여된
인간의 중추신경계의 특징과
경험 · 학습 · 환경요인에 의해 만들어진
발달된 지능의 복합물
- 출처 : [네이버 지식 백과]
[상담학 사전]
지능
유전적으로 부여된 인간의 중추신경계의 특징과 경험 · 학습 · 환경요인에 의해 만들어진 발달된 지능의 복합물. 새로운 과제를 다루고 성취하기 위해 사전지식과 경험을 적용하는 능력/지능(I
terms.naver.com
㉯ 지능이 높은 사람은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지능이 낮은 사람은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이 낮다.
② 적응 능력 :
㉮ 지능은 전체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자, 생활상의 새로운 문제와 상황에 대처하는 정신적 적응력이기도 하다.
㉯ 지능이 높은 사람은 새로운 환경의 변화에 비교적 잘 적응하는 반면, 지능이 낮은 사람은 잘 적응하지 못하는 양상을 보인다.
③ 추상적 사고 능력 :
㉮ 지능은 추상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이자, 이를 구체적인 사실과 연관시킬 수 있는 능력이다.
㉯ 지능이 높은 사람은 자신이 소유한 지식을 통해 구체화된 현상을 파악하는 동시에, 이를 서로 연관시킬 수 있다.
추상적 사고
(abstract thinking)
구체적인 사실들에 대한 사고를 넘어
눈에 보이지 않는 추상적 개념을 이해하는
이성 작용.
- 출처 : [네이버 지식 백과]
두산 백과
추상적 사고
구체적인 사실들에 대한 사고를 넘어 눈에 보이지 않는 추상적 개념을 이해하는 이성 작용. '추상적 사고'란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지적 발달의 하나로써, 구체적인 사실들에 대한 사고를 넘어
terms.naver.com
④ 총합적 . 전체적 능력 :
㉮ 지능은 어떠한 목적을 향해 합리적으로 행동하고 체계적으로 사고하며, 환경을 효과적으로 다루는 유기체의 종합적인 능력이다.
㉯ 지능이 높은 사람은 학습 능력, 적응 능력, 추상적 사고 능력 등을 통해 성공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
(2) 학자별 정의 :
① 웩슬러(Wechsler) :
지능은 개인이 합목적적으로 행동하고 합리적으로 사고하며, 환경을 효율적으로 다룰 수 있는 총체적인 능력이다.
② 비네(Bnet) :
지능은 일정한 방향을 설정하고 그것을 유지하는 능력, 목표 달성을 위해 일하는 능력, 행동의 결과를 수정하는 능력이다.
③ 터만(Terman) :
지능은 추상적 사고를 하는 능력, 즉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추상적 상징을 사용하는 능력이다.
④ 스피어만(Spearman) :
지능은 사물의 관련성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정신 작용이다.
⑤ 서스톤(Thurston) :
지능은 추상적 개념과 구체적 사실을 연관시킬 수 있는 능력이다.
⑥ 피아제(Piaget) :
지능은 단일 형식의 조직이 아닌 적응 과정을 통해 동화와 조절이 균형을 이루는 형태를 말한다.
⑦ 스턴(Stern) :
지능은 사고를 작동시켜 새로운 요구에 의식적으로 적응하는 일반적 능력이다.
⑧ 핀트너(Pintner) :
지능은 새로운 환경에 자신을 적응시키는 능력이다.
⑨ 게이츠(Gates) :
지능은 학습해 가는 능력 또는 다양하고 광범위한 사실들을 파악하는 복합화된 능력이다.
⑩ 디어본(Dearborn) :
지능은 학습된 능력, 즉 경험에 의해 습득되는 능력이다.
⑪ 프리만(Freeman) :
지능은 지능 검사에 의해 측정된 것이다.
2. 지능 이론
(1) 스피어만(Spearman)의 2요인설 :
① 스피어만은 여러 지적 능력에 관한 검사와 이들 검사 간에 존재하는 상관 관계를 설명하는 '요인(Factor)'의 개념을 지능에 최초로 도입하였다.
② 지능은 모든 개인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일반 요인(General Factor)'과 언어나 숫자와 같은 특정한 부분에 대한 '특수 요인(Special Factor)'으로 구성된다.
③ 일반 지능이 낮더라도 음악이나 미술 등 예능에서 천재성을 보이는 경우가 나타날 수 있는데, 이는 일반 요인이 아닌 특수 요인에 의한 것이다.
일반 요인 | - 생득적인 것으로, 모든 유형의 지적 활동에 공통적으로 작용한다. (예 : 이해력, 관계 추출 능력, 상관 추출 능력 등) |
특수 요인 | - 일반 요인만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특수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작용한다. (예 : 언어 능력, 수리 능력, 정신적 속도, 상상력 등) |
(2) 손다이크(Thorndike)의 다요인설 :
① 손다이크는 지능을 진리 또는 사실의 견지에서 올바른 반응을 행하는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② 지능은 추상적 지능, 구체적(실제적) 지능, 사회적 지능으로 구성되어 있다.
㉮ 추상적 지능 : 언어나 수 등 상징적 기호를 처리하는 능력
㉯ 구체적(실제적) 지능 : 동작에 의해 사물을 조작하는 능력
㉰ 사회적 지능 : 다른 사람을 이해하거나 사람과 협력하는 능력
③ 손다이크가 제시한 구체적(실제적) 지능은 웩슬러(Wechsler)의 동작성 지능이나 비요(Viaud)의 실용적 지능으로 발전하였으며, 사회적 지능은 돌(Doll)의 사회 성숙 척도에 영향을 미쳤다.
(3) 서스톤(Thurstone)의 다요인설 :
① 서스톤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종류의 지능 검사를 실시한 후, 이를 요인 분석적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② 지능은 각각 독립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는 개별적인 능력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함으로써, 불분명한 일반 지능의 실체를 강조한 일반 지능설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③ 지능은 '언어 이해(Verbal Comprehension)', '수(Numerical)', '공간 시각(Spatial Visualization)', '지각 속도(Perceptual Speed)', '기억(Memory)', '추리(Reasoning)', '단어 유창성(Word Fluency)' 등 7가지 요인으로 구성된다.
■ 다음 시간에 계속, 심리 평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및 참조 : [임상 심리학], 심리 평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