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야기가 있는 정원, 성격심리

✔아들러(Adler)의 개인 심리학①(프로이트와 아들러의 차이점, 총체적 존재, 사회적 존재, 목표지향적. 창조적 존재, 주관적 존재, 열등감과 보상, 우월성의 추구, 사회적 관심)

by 이야기가 있는 정원 2021. 1. 14.
728x90
반응형
728x170

 

 

 

 

 

◆ 오늘부터는 개인심리학(Individual Psychology)의 창안자, 혹은 창시자인 알프레드 아들러(Alfred Adler  : 1870~1937)에 대해서 말씀드려 보도록 하겠다. 

 

기시미 이치로. 고가 후미타케의 「미움받을 용기」라는 책이 국내에서 워낙 공전의 대히트를 쳐서 그럴까, 누구나 아들러라는 심리학자의 이름을 한 번 쯤은 들어보았고, 그가 제시한 '열등감' 또는 '격려'라는 주요개념, 혹은 기법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우선 이 자리를 빌어 잠시나마 아들러의 삶을 들여다보도록 하자.

 

 

✔프로이트(Freud)와의 교류, 그리고 결별

 

때는 1902년, 아들러는 프로이트의 저서, 「꿈의 해석」을 옹호하는 서평과 논문을 출간한 것을 계기로 프로이트와 직접적인 교류를 하기 시작했다. 누구나 그렇겠지만 특히 이론과 연구 분야에서 자신의 주장을 지지하는 사람이 있다는 것은 그 자체로 큰 힘이 되는 법.

 

이에 프로이트는 자신의 토론 그룹에 아들러를 정식으로 초청하였고, 몇 년 후인 1910년 아들러는 이 토론 그룹에서 발전한  "비엔나 정신분석학회(Vienna Psychoana- lytic Society)"의 의장으로서 활동하게 된다. 

 

즉, 프로이트가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정신분석 모임의 초기 학회원 중의 한 사람이 된 것이다. 

 

하지만 프로이트와 아들러는 달라도 너무 달랐다. 둘의 교류는 1911년에 완전히 종지부를 찍게 된다. 1910년에 의장이 된 아들러가 1년 만인 1911년에 탈퇴를 해버렸으니, 그 이전부터 프로이트와 아들러는 반목을 지속해 온 것이 된다. 

 

 

 

✔달라도 너무 달랐던 두 사람, 프로이트와 아들러

 

잘 알려진대로, 초기의 두 사람은 매우 조화로운 관계였다. 하지만 시간이 흐를 수록 지나치게 유아성욕(또는 범성욕) 등 무의식적 마음의 작용만을 강하게 주장하는 프로이트로 인해 그의 불만은 점차로 커져갔다.

 

특히나 프로이트는 자신의 이론에 대해 엄격하게 충성할 것과, 언제나 이것만이 옳은 것이라는 획일화를 요구하는 꼰대스러움의 정석을 보여주었으므로, 그들의 갈등은 실로 이만저만한 게 아니었을 것이다.

 

 

 

📝(아들러는) 어린 시절 구루병 때문에 4세가 되어서야 걸음마를 시작하였고, 폐렴 때문에 목숨이 위험한 상황도 겪었다. 게다가 아들러는 3세 때 자기 침대 옆에서 동생이 죽는 것을 경험하였는데, 자신의 병약함과 동생의 죽음은 아들러가 아주 어린 시절부터 의학에 관심을 갖는 원인이 되었다.

아들러는 형에 대해서는 열등감에서 비롯된 경쟁심이 심했고, 동생이 생겼을 때는 어머니의 사랑을 동생에게 빼앗겨 버렸다. 그런 이유로 아버지의 보살핌을 받으면서 아버지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게 되었다.

이 같은 경험에 따라 프로이트(Freud)의 오이디푸스콤플렉스를 받아들이기가 어려웠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아들러 [Alfred Adler] (상담학 사전, 2016. 01. 15.,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아무튼 학회에서 탈퇴한 아들러는 그 후 그와 뜻을 같이 하는 동지들과 '자유 정신분석 연구학회'라는 독자적인 집단을 형성했는데, 이것이 후에 개인심리학이 확장되고 발전하는 계기가 된다. 

 

 

✔개인심리학의 기본가정

 

 

■ 아들러가 주창하고 그의 동료 혹은 제자들이 발전시킨 개인심리학의 기본 가정은 아래와 같다. 

 

1. 총체적 존재 : 

 

①아들러는 개인의 성격에 대해 "통합적이고 분리할 수 없는 전체로 보아야 한다"라고 했으며 「인간은 목표를 향해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삶을 지속해 나가는 역동적이고 통합된 유기체」라고 정의하였다. 

 

②특히 인간을 의식과 무의식, 원초아와 자아, 초자아로 구분한 프로이트의 입장을 반대하면서, 인간은 더 이상 분류. 분리. 분할할 수 없는 완전한 전체라고 했는데, 아들러는 이러한 자아일치된(통합된) 성격구조를 '개인의 생활양식' 이라고 지칭했다. 

 

 

 

300x250

 

 

2. 사회적 존재(사회적 관심) :

 

①아들러에 의하면 인간은 본질적으로 사회적 존재이며, 인간의 행복과 성공은 대개 사회적 유대와 연관되어 있다고 생각했다. 

 

②따라서 인간의 행동은 사회적 맥락 속에서 이해되어야 한다고 보았으며, 사회적 관심은 가르치고, 배우고, 사용하면 발달할 수 있는 부분으로, 사회적 관심이 발달할수록 열등감과 소외감은 감소한다고 주장하였다. 

 

 

 

3. 목표 지향적. 창조적 존재 :

 

①그는 개인의 성격 형성에 있어 유전과 환경의 중요성을 인정함과 동시에, 인간은 그 두 요인을 뛰어넘는 제 3의 힘인 창조력을 가지고 있는 존재로 보았다. 

 

②즉, 목표를 지향하는 개인은 창조적인 힘을 가지고 자신의 인생을 선택하고 좌우할 수 있는 존재라고 생각했다. 

 

 

4. 주관적 존재 :

 

아들러는 현상학적 관점을 수용하여, 개인이 자신과 자신을 둘러싼 환경을 어떻게 인식하고 해석하느냐에 따라 그의 행동 방식이 결정된다고 주장하였다. 

 

아들러가 주장한 개인의 세 가지의 인생과제 :

●일과 여가(Work & Leisure)

●우정과 사회적 관계(Friendship & Society)

●성과 사랑(Sex & Love)

 

 

 

 

 

✔개인심리학의 주요개념

 

 

1. 열등감과 보상(Inferiority and Compensation) :

 

 

■ 아들러는 '열등감'에 대해 자기완성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로 : 

 

① 인간의 심리 깊숙이 자리한 열등감이 모든 병리현상의 일차적 원인이며,

② 많은 정신병리 현상은 열등감에 대한 이차적 반응으로 보았다. 

 

▶ 또한 보상은 열등감 극복을 위한 시도로, 인간이 더 높은 단계로 발전하기 위해 노력할 수 있도록 하는 동기부여의 요소라고 생각했다. 

 

 

2. 우월성의 추구(Striving for Superiority) :

 

① 아들러는 인간이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적을 우월성의 추구라고 보았고, 이는 단지 열등감을 극복한다는 소극적인 입장이 아니라 보다 적극적인 향상과 완성을 지향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② 즉, 우월에 대한 욕구는 모든 인간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열등감을 보상하려는 선천적인 욕구에서 비롯되는 것이라고 보았다. 

 

③ 인간은 개인으로서 자기완성을 위해 노력하는 동시에 사회의 일원으로서 문화의 완성을 위해 힘쓴다.

 

 

728x90

 

 

목표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 방향 : 

▶개인의 목표를 사회적 이타성으로 발전시키는 경우 → 긍정적인 양상으로 전환될 수 있다(사회적 관심, 타인의 복지 추구 등).

▶개인적인 우월성만을 강조하는 경우 부정적인 경향을 나타낼 수 있다(이기적인 목표를 추구 : 심하면 신경증적 증상이 나타남).

*출처 : [상담심리학], 상담의 이론, 핵심이론

 

 

반응형

 

 

3. 사회적 관심(Social Interest) : 

 

① 사회적 관심은 개인이 이상적 공동사회 추구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성향, 즉 개인의 목표를 사회적 목표로 전환하는 것을 일컫는다(심리적 성숙의 판단기준이 된다고 본다). 

 

② 개인은 다른 사람들과 유대를 맺으려는 소속의 욕구와 함께 자신이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를 사회 속에서 실현하려는 욕구를 가진다. 

 

③ 개인이 다른 사람들과 협동하면서 사회적인 기여를 하려고 노력하는 것은 건강한 삶의 본질이다.

 

④ 이와 같은 사회적 관심은 아동기의 경험에 의해 발달하기 시작하며, 특히 어머니에게서 지대한 영향을 받는다.

 

⑤ 사회적 관심이 발달하는 경우 열등감과 소외감이 감소하므로, 이를 개인의 심리적 건강을 측정하는 도구로 사용하기도 한다. 

 

 ◆ 다음 시간에 개인심리학의 주요개념에 대해서 계속 이어나가도록 하겠다. 

 

*출처 및 참조 : 「자기에게로 가는 여행」,  Willard B. Frick, 교육과학사

 

*사진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상담학 사전, 철학사전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