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융(Carl G. Jung)의 분석심리학③(아동기, 청년기 및 성인초기, 중년기, 노년기, 외향형, 내향형, MBTI, 사고, 감정, 감각, 직관, 보상적 기능, 합리적 기능, 비합리적 기능, 프로이트와 융)
■ 저번 시간에는 칼 융이 제시한 '원형(Archetype ; 집단무의식을 구성하고 있는, 인류의 역사를 통해 물려받은 정신적 소양. 꿈이나 신화, 예술 등에 나타나는 상징을 통해서 표현된다)'의 주요 종류인 자기(Self), 페르소나(Persona), 그림자(Shadow), 그리고 아니마(Anima)와 아니무스(Animus)에 대해 말씀드렸다. ✔칼 융(Carl G. Jung)의 분석심리학②(자기(Self), 자기실현, 페르소나, 사회적 가면, 융의 그림자, 아 ◆ 저번 시간에는 칼 구스타프 융이 제시한 분석심리학(Analytical Psychology)의 등장배경, 프로이트와 그의 관계, 리비도(Libido)를 필두로 한 두 사람의 견해 차이, 분석심리학의 이론적 특징, 그리고 narrare3.tis..
2021. 2. 2.
✔칼 융(Carl G. Jung)의 분석심리학②(자기(Self), 자기실현, 페르소나, 사회적 가면, 융의 그림자, 아니마와 아니무스, Logos, Eros, 원형)
◆ 저번 시간에는 칼 구스타프 융이 제시한 분석심리학(Analytical Psychology)의 등장배경, 프로이트와 그의 관계, 리비도(Libido)를 필두로 한 두 사람의 견해 차이, 분석심리학의 이론적 특징, 그리고 개인무의식, 집단무의식, 콤플렉스, 아니마와 아니무스 등 분석심리학 이론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았다. ✔칼 융(Carl G. Jung)의 분석심리학①(프로이트와 칼 융, 프로이트와 융의 편지, 리비도, 심리유형 ◆ 오늘부터는 칼 융(카를 구스타프 융, 1875~1961)이 제시한 분석심리학(Analytical Psychology)에 대해서 말씀드리도록 하겠다. 1. 분석심리학의 등장배경 : 때는 20세기 초인 1903년, 스위스의 부르그홀 narrare3.tistory.com 오늘은 융이..
2021. 1. 30.
✔칼 융(Carl G. Jung)의 분석심리학①(프로이트와 칼 융, 프로이트와 융의 편지, 리비도, 심리유형론, 개인무의식, 집단무의식, 콤플렉스, 원형, 정신, 자기(Self), 만다라)
◆ 오늘부터는 칼 융(카를 구스타프 융, 1875~1961)이 제시한 분석심리학(Analytical Psychology)에 대해서 말씀드리도록 하겠다. 1. 분석심리학의 등장배경 : 때는 20세기 초인 1903년, 스위스의 부르그홀츨라이(Burgholzli) 정신병원에서 일하고 있던 칼 융은 프로이트의 「꿈의 해석(The Interpretation of Dreams)」을 읽게 된다. 융은 당시 개인의 무의식을 탐구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페히너와 골턴이라는 사람들이 기존에 고안했던 '단어 연상 검사(단어 연상 실험, word association test)' 를 활용하고 있었는데, 「꿈의 해석」을 통해 인간의 마음에 대한 자신의 연구와 프로이트의 연구가 연관성이 있음을 깨닫게 된다. 이렇게 해..
2021. 1. 26.
✔아들러(Adler)의 개인심리학③(출생순위, 형제관계, 인성발달, 심리적 순위, 프로이트와 아들러 이론의 비교)
■ 저번 시간에 우리들은 개인심리학(Individual Psychology)의 창시자 알프레드 아들러가 제시한 주요개념 중 생활양식, 생활양식의 4가지 유형, 창조적 자기, 가상적 목표(허구적 최종 목적론), 그리고 초기 기억 또는 초기 추억에 대해 알아보았다.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시기 바란다. ✔아들러(Adler)의 개인심리학②(알프레드 아들러, 생활양식, 생활양식의 4가지 유형, 창조적 자기 ■ 저번 시간에 이어 오늘도 알프레드 아들러(Alfred Adler : 1870~1937)의 개인심리학의 주요개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아들러(Adler)의 개인 심리학①(프로이트와 아들러의 차이점, 총체적 존 narrare3.tistory.com 오늘은 말씀드린대로, 출생순위와 형제관계에 대..
2021. 1. 22.
✔아들러(Adler)의 개인심리학②(알프레드 아들러, 생활양식, 생활양식의 4가지 유형, 창조적 자기, 가상적 목표, 허구적 최종목적, 초기기억, 초기추억)
■ 저번 시간에 이어 오늘도 알프레드 아들러(Alfred Adler : 1870~1937)의 개인심리학의 주요개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아들러(Adler)의 개인 심리학①(프로이트와 아들러의 차이점, 총체적 존재, 사회적 존재, 목표지 ◆ 오늘부터는 개인심리학(Individual Psychology)의 창안자, 혹은 창시자인 알프레드 아들러(Alfred Adler : 1870~1937)에 대해서 말씀드려 보도록 하겠다. 기시미 이치로. 고가 후미타케의 「미움받을 용기 narrare3.tistory.com 4. 생활양식(Style of Life) : ■ 아들러는 한 개인을 의식과 무의식, 원초아와 자아, 초자아로 구분한 프로이트의 주장을 반대하면서, 인간은 더 이상 분류. 분리. 분할할 수 없는 완..
2021. 1. 19.
✔아들러(Adler)의 개인 심리학①(프로이트와 아들러의 차이점, 총체적 존재, 사회적 존재, 목표지향적. 창조적 존재, 주관적 존재, 열등감과 보상, 우월성의 추구, 사회적 관심)
◆ 오늘부터는 개인심리학(Individual Psychology)의 창안자, 혹은 창시자인 알프레드 아들러(Alfred Adler : 1870~1937)에 대해서 말씀드려 보도록 하겠다. 기시미 이치로. 고가 후미타케의 「미움받을 용기」라는 책이 국내에서 워낙 공전의 대히트를 쳐서 그럴까, 누구나 아들러라는 심리학자의 이름을 한 번 쯤은 들어보았고, 그가 제시한 '열등감' 또는 '격려'라는 주요개념, 혹은 기법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우선 이 자리를 빌어 잠시나마 아들러의 삶을 들여다보도록 하자. ✔프로이트(Freud)와의 교류, 그리고 결별 때는 1902년, 아들러는 프로이트의 저서, 「꿈의 해석」을 옹호하는 서평과 논문을 출간한 것을 계기로 프로이트와 직접적인 교류를 하기 시작했다. 누구나..
2021. 1. 14.
✔까칠남 프로이트, 무의식을 해석하다④(방어기제, 자아방어기제, 투사, 합리화, 부인, 정신분석 입문, 꿈의 해석)
◆ 지난 시간에 우리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그리고 성격발달 이론에서 매우 두드러진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불안(anxiety)'과 불안의 세 가지 유형(현실적 불안, 신경증적 불안, 도덕적 불안)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 유형들은 굳이 프로이트의 이론을 깊이 연구하지 않았어도 비교적 널리 알려져 있어서 접하기가 쉬운데, 누군가가「우리는 왜 불안을 느끼는가?」라고 질문을 던진다면, 최대한 간단하게 이렇게 대답할 수 있겠다. 💬인간은 자신이 더 이상 안전하다고 느낄 수 없을 때 불안해진다 라고. 바꿔 말해서 인간은 "자신이 안전하다"고 느껴야만 편안하고, 즐거울 수 있으며, 나아가 행복해질 수 있다. '불안(不安)'이라는 한자어 자체가 '안전하지 못하다' '편안하지 못하다'라는 뜻이니까. ✔까칠남 프로이트..
2021. 1.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