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리반의 대인관계이론②(타인과 교류하는 3가지 경험양식, 원형적 경험, 병렬적 경험, 통합적 경험, 해리, 병렬적 왜곡, 승화)
◆ 저번 시간에는 설리반(Harry Stack Sullivan)이 주창한 「대인관계이론(대인관계 정신분석 ; Interpersonal Psychooanalysis)」의 등장배경, 이론의 특징, 그리고 대인관계이론의 개념, 즉 역동성(Dynamism), 자기체계(Self - System), 자기상 형성 또는 자기의 정형화(Personification of Self) 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시기 바란다. ✔설리반의 대인관계 이론①(대인관계 정신분석, 대인관계 치료, IPT, 자기체계, 역동성, 자아보 ■ 오늘부터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이 성격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문화적 요인들을 간과했다고 비판하고, 그 대안으로서 「대인관계 정신분석(Interpersonal Ps..
2021. 2. 23.
✔굿바이 블랙독, 내 안의 우울과 이별하기(독서치료, 그림책 치료, 윈스턴 처칠, 매튜 존스톤, 우울증에서 벗어나게 하는 편안한 그림책, 그림책 추천)
■ 세계 제 2차대전(1939~1945)을 연합국 측의 승리로 이끈 지도자로 잘 알려져 있는 영국의 윈스턴 처칠( Winston Leonard Spencer Churchill, 1874~1965)수상. 1. (누구나 다 알 수도 있는) 처칠에 관한 몇가지 흥미로운, 또는 놀라운 사실 ①그는 대대로 귀족집안 출신으로 알려졌지만, 학창시절(청소년 시기)의 그는 말썽꾸러기 낙제생 그 자체였다 : (습관성 지각과 바닥을 기는 성적으로 대변된다). 특히 수학성적이 좋지 않았던 그는 후에 샌드 허스트 사관학교에 입학할 때, '수학이 필요하지 않은 병과'인 기병사관을 지망하는데, 놀랍게도 졸업시 성적은 상위 10%(150명 중 8등)였다. 당시의 생활기록부에 따르면 그는 ‘품행이 나쁜 믿을 수 없는 학생으로, 의욕과..
2021. 2. 20.
✔설리반의 대인관계 이론①(대인관계 정신분석, 대인관계 치료, IPT, 자기체계, 역동성, 자아보호체계, 자기의 정형화, 좋은 나, 나쁜 나, 내가 아닌 나)
■ 오늘부터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이 성격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문화적 요인들을 간과했다고 비판하고, 그 대안으로서 「대인관계 정신분석(Interpersonal Psychooanalysis)」를 제시한 설리반(Sullivan ; 1892~1949)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1. 등장배경 : ①설리반(Harry Stack Sullivan)은 미국의 뉴욕주 노르위츠라는 곳에서 농부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정서적으로 메말랐고 지나치게 과묵한 아버지, 그리고 정신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우울증)였던 어머니의 영향으로 그의 어린 시절은 외롭고 불행했다고 한다. ②후에 그가 대인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론으로 발전시킨 것은 그 자신의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정신적 외상에서 비롯된 것으로 본다. ③성장하여 시카..
2021. 2. 16.
✔호나이의 신경증적 성격이론③(의사결정을 위한 전제조건, 성격의 문화적 영향, 우리의 지배적 문화조건, 남성 심리학과 여성 심리학)
■ 지난 시간에는 카렌 호나이의 신경증적 성격이론 중 신경증적 욕구(Neurotic Needs), 이에 따라 그녀가 제시한 「애정과 인정(Affection and Approval)」을 포함한 '10가지의 신경증적 욕구', 신경증의 경향성 3가지, 즉 타인을 향해 나아가는 태도, 타인에 대항하는 태도, 타인을 회피하는 태도, '현실적 자기'와 '이상적 자기', 당위성의 횡포, 특히 '해야만 한다는 것의 압제'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시기 바란다.
2021. 2. 13.
✔호나이의 신경증적 성격이론②(신경증적 욕구, 신경증적 경향성, 타인을 향해 나아가는 태도, 타인에 대항하는 태도, 타인을 회피하는 태도, 신프로이트학파, 현실적 자기와 이상적 자기)
■ 저번 시간에는 유럽에서 유럽으로, 그리고 유럽에서 미국으로 건너갔던 프로이트의 이론과, 특히 미국에서 비약적 발전과 확장을 이루게 되는데 가장 크게 공헌했던 이른바 "신프로이트 학파(neo-freudians)"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신프로이트 학파는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 프로이트의 이론을 일정부분 수용하면서 그가 큰 관심을 두지 않았던 사회적. 문화적 영향력에 대한 지지가 그 특징인데, '후기 프로이트 학파'라고 불리기도 하는 이들에는 알프레드 아들러와 칼 구스타프 융이 포함되며(이들이 '신 프로이트 학파 혹은 '후기 프로이트 학파'의 시조라고 할 수 있다), 에릭 프롬, 에릭 에릭슨, 설리반, 카렌 호나이, 라파포트 등이 대표적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중 최초의 여성정신과 의사 중 한 명..
2021. 2. 9.
✔호나이의 신경증적 성격이론①(카렌 호나이, 신프로이트 학파, 안전과 사랑의 욕구, 기본적 불안, 기본적 악, 현실적 자기와 이상적 자기)
◆ 오늘부터는 "신경증적 성격이론"으로 유명한 카렌 호나이(Karen Horney, 1885~1952)와 그의 이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1. 프로이트 이론의 수정과 발전 : 여러분들도 잘 아시다시피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은 유럽에서 유럽으로, 특히 유럽에서 미국으로 건너가면서 비약적으로 수정. 발전되기에 이른다. 프로이트와 한때 뜻을 같이 하는 동지였으나 후에 독자적인 길을 걷게 되는 두 거장, 알프레드 아들러와 칼 구스타프 융을 필두로, 지나치게 생물학적이고 기계적인, 또한 남성우월적이고 인간의 모든 욕구를 '성(性)' 하나만으로 집약시킨 프로이트의 이론은 반론에 부딪히고 수정되어갔으며, 프로이트가 특별히 관심을 쏟지 않았던 '사회적(이고 환경적인) 관점'이 대두되기 시작했다. 그도 그럴 것이,..
2021. 2. 6.
✔칼 융(Carl G. Jung)의 분석심리학③(아동기, 청년기 및 성인초기, 중년기, 노년기, 외향형, 내향형, MBTI, 사고, 감정, 감각, 직관, 보상적 기능, 합리적 기능, 비합리적 기능, 프로이트와 융)
■ 저번 시간에는 칼 융이 제시한 '원형(Archetype ; 집단무의식을 구성하고 있는, 인류의 역사를 통해 물려받은 정신적 소양. 꿈이나 신화, 예술 등에 나타나는 상징을 통해서 표현된다)'의 주요 종류인 자기(Self), 페르소나(Persona), 그림자(Shadow), 그리고 아니마(Anima)와 아니무스(Animus)에 대해 말씀드렸다. ✔칼 융(Carl G. Jung)의 분석심리학②(자기(Self), 자기실현, 페르소나, 사회적 가면, 융의 그림자, 아 ◆ 저번 시간에는 칼 구스타프 융이 제시한 분석심리학(Analytical Psychology)의 등장배경, 프로이트와 그의 관계, 리비도(Libido)를 필두로 한 두 사람의 견해 차이, 분석심리학의 이론적 특징, 그리고 narrare3.tis..
2021. 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