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야기가 있는 정원, 성격심리

✔호나이의 신경증적 성격이론①(카렌 호나이, 신프로이트 학파, 안전과 사랑의 욕구, 기본적 불안, 기본적 악, 현실적 자기와 이상적 자기)

by 이야기가 있는 정원 2021. 2. 6.
728x90
반응형
728x170

 

 

 

 

 

◆ 오늘부터는 "신경증적 성격이론"으로 유명한 카렌 호나이(Karen Horney, 1885~1952)와 그의 이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1. 프로이트 이론의 수정과 발전  : 

 

여러분들도 잘 아시다시피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은 유럽에서 유럽으로, 특히 유럽에서 미국으로 건너가면서 비약적으로 수정. 발전되기에 이른다. 

 

프로이트와 한때 뜻을 같이 하는 동지였으나 후에 독자적인 길을 걷게 되는 두 거장, 알프레드 아들러와 칼 구스타프 융을 필두로, 지나치게 생물학적이고 기계적인, 또한 남성우월적이고 인간의 모든 욕구를 '성(性)' 하나만으로 집약시킨 프로이트의 이론은 반론에 부딪히고 수정되어갔으며, 

 

프로이트가 특별히 관심을 쏟지 않았던 '사회적(이고 환경적인) 관점'이 대두되기 시작했다. 그도 그럴 것이, 당시의 세계(20세기 초반)는 1차 세계대전, 러시아 혁명 후 마르크스적 사회주의 국가의 성립,  그리고 1차 세계대전 후 독일사회민주당의 약진이 두드러지는, 그야말로 한 치 앞도 바라볼 수 없는 격동의 시기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아들러는 프로이트의 이론, 즉 인간의 근본적인 욕구를 오로지 '성'뿐만이 아닌, '권력에의 욕구(충동)'에 더 무게를 두었는데, 이는 철학자 니체와 비슷한 주장이다. 

 

즉, 인간의 성격에 대한 사회. 문화적 영향을 강조한 것이다. 

 

그런가하면 융은 인간의 마음은 리비도(혹은 에로스)나 권력에의 충동만으로 환원되는 것은 아니라고 보고, 여기에 '집단무의식'의 개념을 더하여 이를 상징적. 신화적인 각도에서 바라보았다. 비록 일각에서 '신비주의'라는 비판을 받기는 했지만 환경적 요인, 그리고 대인관계와 문화적 요인 모두 중요하게 여긴 것이다. 

 

*출처 및 참조 : [네이버 지식백과], 사상사 개설, 신프로이트 이론의 대두

 

 

따라서 프로이트의 이론과 업적이 모두 부정당했다기 보다는, 현대의 심리학이 미국이라는 토양 위에서 크게 꽃을 피움으로써, '시대에 뒤떨어졌다'는 지적을 받았던 그의 이론이 수정과 반박을 통해 '더욱 현대적으로 확장되었다'고 하는 것이 보다 사실에 가까울 것이다. 

 

 

2. 신 프로이트 학파, 그리고 카렌 호나이 : 

 

이렇게 해서 국제적으로 전파된 프로이트의 이론은 미국을 중심으로 해서 그 독자적인 특색을 드러내는데, 그것이 바로 '신 프로이트 학파(neo-freudians)'이다. 

 

여기에는 앞서 말씀드린 알프레드 아들러와 칼 구스타프 융이 포함되며(이들이 '신 프로이트 학파 혹은 '후기 프로이트 학파'의 시조라고 할 수 있다), 에릭 프롬, 에릭 에릭슨, 설리반, 카렌 호나이, 라파포트 등이 대표적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728x90

 

 

✔카렌 호나이(Karen Horney)의 등장

 

①호나이는 남성중심적인 정신분석이론에 반발하여, 자신의 경험과 함께 성격형성에 대한 사회적. 문화적 영향력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자신의 이론을 발전시키고자 하였다. 

 

②일찌기 프로이트는 신경증에 대해 「개인의 위기적 상황에 의해 야기되거나, 위기가 다가오는 것을 예고하는 불안을 회피하기 위해서 자아가 발동시키는 방어적 반응(방위반응)」으로 생각했다. 

 

③호나이가 특히 주목한 것이 바로 '신경증(neurosis)'인데, 그녀는 평생 동안 신경증이 있는 개인을 연구하고 치료하는데 탁월한 업적을 쌓은 '최초의 여성 정신과 의사 중 한 사람'이자 심리학자, 그리고 이론가이다. 

 

④그녀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이 남성의 발달에만 지나치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고 비판하였는데, 한 예로 여성들이 '남근선망(Penis Envy)'을 가진다는 프로이트의 주장에 맞서, '자궁선망(Womb Envy)'의 개념을 제안하였다. 이는 한마디로 남성들이 출산의 능력을 가진 여성들을 부러워한다는 것이다. 

 

⑤또한 기존 정신분석이론의 오류가 인간을 지나치게 기계적이고 생물학적으로만 본 것에서 기인했다고 보고, 이를 제거함으로써 정신분석이론과 학문이 인간과학으로서의 충분한 가능성을 실현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⑥아들러와 마찬가지로 개인의 성격형성에 있어서 사회적 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였으며, 특히 '온화함'과 '애정'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3. 호나이 이론의 특징 : 

 

①인간을 기본적으로 외롭고 나약한 존재로 본다.

 

②성 본능과 공격본능을 주장한 프로이트와는 다르게, 인간을 「안전(Safety)과 사랑(Love)의 욕구에 의해 동기화되는 존재」로 본다.

 

③기본적 불안(Basic Anxiety)을 신경증의 토대로 본다. 

 

④신경증적 욕구와 함께 그와 관련된 강박적 태도가 신경증적 성격을 유발한다고 생각한다(신경증적 욕구 + 강박적 태도 = 신경증적 성격 유발).

 

⑤개인의 자기체계를 '현실적 자기(Real Self)'와 '이상적 자기(Ideal Self)'로 구분한다. 

 

⑥그리고 이상적 자기를 이루어야 한다는 당위적 요구를 신경증의 핵심으로 본다.

 

⑦현대사회의 구조, 즉 자본주의 사회의 매커니즘이 개인으로 하여금 신경증적 욕구와 당위적 욕구에 대한 압박을 가중시킨다고 주장한다. 

 

⑧따라서 심리치료를 통해 신경증적 악순환을 해소해야만, 개인이 자신이 지니고 있는 잠재력을 발현할 수 있게 된다고 본다. 

 

 

4. 성격의 문화적 영향 : 

 

①호나이가 정신분석이론을 수정하고 변형시킨 중요한 방식 중 하나는 성격에서 신경증적 발달을 조장하는 사회적 요인과 문화적 요인의 중요성을 인정한 것이다.

 

②프로이트가 문화를 성 추동과 공격 추동의 승화된 표현(특히 예술 등에서)처럼 본 것에 반하여, 호나이는 신경증적 부적응 행동의 형성과, 그것이 강화되는데 있어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으로 문화적 가치와 실제를 보았다. 

 

 

300x250

 

 

③그녀는 우리의 문화 속에 내재하고 있는 전형적인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였는데, 이것들은 개인의 삶에서 갈등으로 "거울반사"되고 종종 신경증의 형성으로 우리들을 이끈다고 생각하였다.

 

④또한 신경증의 형성에 강하게 내포되어 작용하고 우리 모두에게 문제를 창출해내는, 아래와 같은 우리의 지배적 문화 조건을 밝혔다. 

 

 우리의 지배적 문화 조건 : 

 

● 안전, 권력 및 자존감에 대한 우리의 욕구를 만족시키는 것과 잘못 연관되어 있는 '소유에 대한 불합리한 추구'

 

● 경제적 중심으로부터 우리 삶의 모든 영역으로 뻗어나가 사랑, 사회적 관계, 학교생활 및 놀이를 손상시키는 '파괴적인 경쟁'

 

● 우리가 우리 사회에서 상속받은 모든 갈등을 사랑이 해결해 줄 거라는 비현실적인 기대를 가진, '사랑에 대한 과장된 욕구'

*출처 : [자기에게로 가는 여행], Willard B. Frick, 교육과학사 

 

 

 

 

 

반응형

 

 

 

5. 주요 개념 :

 

①기본적 불안(Basic Anxiety) :

호나이는 기본적 불안을 "적대적인 세계에서 자신도 모르게 증가하는 모든 측면에 파고드는 고독감과 무력감"으로 정의하였다.

 

특히 기본적 불안은 개인이 적대적인 세계와의 관계 속에서 느끼는 "불안전감(Feelings of Insecurity)"에서 비롯되는데, 이것은 유전적인 것이 아닌 문화와 양육의 산물로 볼 수 있다고 하였다. 

 

그녀는 프로이트와는 달리 안전과 사랑의 추구에서 비롯된 기본적 불안을 인간행동의 추진력으로 생각하였다. 

 

②기본적 악(Basic Evil) : 

호나이는 개인으로부터 불안전감을 불러 일으키는 환경 내의 모든 부정적 요인을 '기본적 악'으로 보았다. 특히 아동에게 있어서는 지배, 고립, 과보호, 무관심, 부모의 불화, 돌봄과 지도의 결핍, 격려와 애정의 결핍 등이 기본적 악이라고 생각했다. 

 

 

 아동에게서 일어나는 기본적 불안 : 

「만약 한 아동이 일관성 있게 사랑받고, 존중받고, 대접받는 애정 어린 성장조건에서 자란다면, 그 아동은 자기 -실현을 향해 성장할 수 있으며, 모든 건강한 성장의 원천과 핵심적인 힘이 되고 진정한 자기의 발달을 촉진하는 감정, 소망, 장점 및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한편, 아동이 좋지 않은 영향(지배적이고, 과보호적이고, 위협적이고, 아동을 충분히 사랑하기에 무능한 부모)을 받게 되면, 이것들은 아동의 발달에서 역효과를 갖게 될 것입니다. 

그 아동은 결국 근심, 불신 및 고립감을 수반한 깊은 불안정성을 발달시킵니다. 」

 

*출처 : [자기에게로 가는 여행], Willard B. Frick, 교육과학사 

 

 

 

▶ 다음 시간에 계속, 호나이 이론의 주요개념에 대해 말씀드리겠다. 

 

*출처 및 참조 : [성격심리학], 정신역동, 핵심이론

[자기에게로 가는 여행], Willard B. Frick, 교육과학사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