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은 성격평가 질문지(PAI)와 TCI 기질 및 성격 검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16PF와 NEO-PI-R 검사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1. 성격 평가 질문지(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PAI)
(1) 개요 :
성격 평가 질문지는 1991년 미국의 심리학자 모레이(Morey)가 성격과 정신병리를 평가하기 위해 개발한 객관적 검사로, 임상 장면에서 환자나 내담자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한 자기보고형 검사를 말한다.
💬 한국에서는 2001년에 김영환, 김지혜, 오상우, 임영란, 홍상황이 표준화하였다. 대상은 18세 이상의 성인이며, 자기보고형 질문지로서 다양한 정신병리를 측정하기 위해 구성된 성격검사다.
이 검사는 임상진단, 치료계획 및 진단집단을 변별하는 데 정보를 제공해 줄 뿐만 아니라 정상인에게도 적용할 수 있다.
*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성격 평가 질문지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性格評價質問紙]
(상담학 사전, 2016. 01. 15.,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2) 특징 :
① 총 34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22개의 척도들을 4개의 타당성 척도, 11개의 임상 척도, 5개의 치료 척도, 2개의 대인 관계 척도 등 서로 다른 영역을 평가하는 척도들로 분류하고 있다.
② 환자 집단의 성격 및 정신 병리적 특징과 동시에, 정상 성인의 성격 평가에도 매우 유용하다.
③ 우울, 불안, 정신 분열병 등과 같은 축 I 장애뿐만 아니라 반사회적, 경계선적 성격장애와 같은 축 II 장애를 포함하고 있어, DSM-IV의 진단 분류에 정보를 제공한다.
④ 대부분의 질문지형 성격 검사가 '그렇다-아니다'의 양분법적 반응 양식으로 되어 있지만, PAI는 4점 평정 척도로 이루어져 있어 행동의 손상 정도, 또는 주관적 불편감 수준을 정확히 측정하고 평가한다.
⑤ 분할 점수를 사용한 각종 장애의 진단과 꾀병이나 과장 및 무선적 반응과 같은 부정적 왜곡, 물질 남용으로 인한 문제의 부인과 같은 긍정적. 방어적 반응 왜곡의 탐지에도 유용하다.
⑥ 각 척도는 3~4개의 하위 척도로 구분되어 있어 장애의 상대적 속성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평가할 수 있다.
⑦ 문항을 중복시키지 않아 변별 타당도가 높고, 여러 가지 지표가 있어 유용하다.
⑧ 환자가 질문지에 반응하는데 그치지 않고, 임상장면에서 반드시 확인해야 할 위기문항을 제시하고 있어, 그 내용을 직접 환자에게 물어봄으로써 추가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임상 척도의 의미를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
⑨ 잠재적 위기 상황의 지표에 관한 중요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 27개의 결정 문항이 있어, 위기 상황에 즉각적으로 개입할 수 있다.
(3) 척도와 내용 :
① 타당도 척도 :
- ICN(비일관성) :
경험적으로 도출한 척도로, 내용이 유사한 문항에 대한 피검자의 반응 일치성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이다.
- INF(저빈도) :
무선 반응, 무관심, 부주의, 정신적 혼란 또는 독해력 결함 등으로 인해 문항에 대해 제대로 반응하지 못한 피검자를 찾아내는 데 유용한 척도이다.
- NIM(부정적 인상) :
바람직하지 못한 인상을 과장하기 위해 반응을 왜곡하거나, 또는 매우 기이하고 희한한 증상과 관련된 문항들을 포함하고 척도이다.
- PIM(긍정적 인상) :
피검자가 매우 바람직한 방향으로 반응했거나 어떠한 사소한 결정도 부정하려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 척도이다.
② 임상 척도 :
- SOM(신체적 호소) :
신체적 기능 및 건강과 관련된 문제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는 문항들을 포함한다.
- ANX(불안) :
불안을 경험할 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임상적 특징들을 측정한다.
- ARD(불안 관련 장애) :
불안 장애와 관련된 3가지 상이한 증후군의 임상적 특징들을 측정한다.
- DEP(우울) :
우울 증후군에 공통적인 임상적 특징들을 측정하는 척도이다.
- MAN(조증) :
조증과 경조증의 임상적 특징을 측정하는 척도이다.
- PAR(망상) :
편집증적인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증상적 및 성격적 요소와 관련된 특징적 현상을 측정하는 척도이다.
- SCZ(정신분열병) :
정신분열병의 다양한 측면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이다.
- BOR(경계선적 특징) :
심한 성격 장애와 관련된 여러 가지 특징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이다.
- ANT(반사회적 특징) :
반사회적 성격의 구성 개념과 관련된 특징 및 행동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이다.
- ACL(알코올 문제) :
알코올을 사용, 남용, 의존과 관련된 행동과 그 결과를 평가하기 위한 척도이다.
- DRG(약물 문제) :
약물 사용, 남용, 의존과 관련된 행동과 그 결과를 평가하기 위한 척도이다.
③ 치료 척도 :
- AGG(공격성) :
공격성, 분노, 적개심과 관련된 태도와 행동적 특징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이다.
- SUI(자살 관련) :
죽음이나 자살과 관련된 사고 및 구체적인 계획 등에 관한 생각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이다.
- STR(스트레스) :
개인이 현재 경험하고 있거나 최근에 경험한 생활 상황적 스트레스인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이다.
- NON(비지지) :
사회적 관계의 가용성과 질을 포함한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부족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이다.
- RXR(치료 거부) :
심리적, 정서적 변화에 대한 개인적 관심과 관련된 속성과 태도를 평가하기 위한 척도이다.
④ 대인 관계 척도 :
- DOM(지배성) :
개인이 대인 관계에서 통제적, 순종적 또는 자율적인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척도이다.
- WRM(온정성) :
대인 관계에서 관여하고 공감하는 정도와, 거절과 불신하는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척도이다.
2. 기질 및 성격검사(Temperament Character Inventory, TCI)
(1) 개요 :
① TCI 검사는 유전적으로 타고난 기질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환경과의 상호 작용 속에서 발달한 성격을 파악하여 개인의 고유한 인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심리 검사이다.
② 이는 로버트 클로닌저(Robert Cloninger)가 심리생물학적 인성 모델에 기초하여 개발한 것으로, 기존의 다른 인성 검사들과 달리, 한 개인의 기질과 성격을 구분하여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③ 이를 통해 한 개인의 사고 방식, 감정 양식, 행동 패턴, 대인관계 양상, 선호 경향 등을 폭 넓고 정교하게 이해할 수 있다.
(2) 기질 차원 :
① 자극 추구 :
새롭거나 신기한 자극, 잠재적인 보상 단서 등에 강하게 반응하는 유전적 경향성으로, 흥분과 보상을 추구하는 탐색 활동을 하며, 단조로움과 처벌은 적극적으로 회피한다. 즉, 두뇌의 행동 활성화 시스템과 도파민 기제와 관련되어 있다.
② 위험 회피 :
위험하거나 혐오스러운 자극에 강하게 반응하는 유전적 경향성으로, 처벌이나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행동을 억제하며, 이전에 하던 행동도 중단한다. 즉, 두뇌의 행동 억제 시스템과 세로토닌 기제와 관련되어 있다.
③ 사회적 민감성 :
사회적인 보상 신호에 대해 강하게 반응하는 유전적 경향성으로, 사회적인 보상 신호에 의해 이전의 보상 또는 처벌 감소와 연합되었던 행동이 유지된다. 즉, 두뇌의 행동 유지 시스템과 *노어에프린 기제(노르에피네프린 norepinephrine 기제)와 관련되어 있다.
④ 인내력 :
보상이 없을 때 혹은 간헐적으로만 강화되는 경우에도 한 번 보상된 행동을 꾸준히 지속하는 경향성을 말한다. 즉, 두뇌의 행동 유지 시스템과 관련되어 있다.
(3) 성격 차원 :
① 자율성 :
자신이 선택한 목표와 가치를 이룰 수 있도록 상황을 만들어 가는 능력으로, 자기 행동에 대한 통제력, 조절력, 적응력과 관련되어 있다.
② 연대감 :
자기 자신을 사회의 통합적인 한 부분으로 지각할 수 있는 정도로, 타인을 수용하고 공감하는데 있어서의 개인차를 보여준다.
③ 자기 초월 :
자기 자신을 우주의 통합적인 한 부분으로 지각할 수 있는 정도로, 개인의 영성과도 관련되어 있다.
✅ TCI 기질 및 성격 검사와 PAI 성격 평가 질문지 공히 반드시 관련 전문교육을 받은 전문가(임상심리사 1급, 2급, 상담심리사 1급, 2급 등)에게 의뢰하셔야 하며, 거주지에 있는 심리상담센터 등에 문의하셔야 한다.
■ 오늘은 PAI 성격 평가 질문지, TCI 기질 및 성격 검사에 대해 알아보았다.
* 출처 및 참조 : [학교 심리학], 학교 심리학에서의 평가, 핵심 이론
댓글